'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사진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연명의료관리센터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16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꼽았다. 연명의료 결정은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무의미한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연장하지도 단축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한 응답자는 35.5%, '의사조력자살'은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
기사 본문
연명의료결정은 회복 가능성이 없고 임종이 임박한 환자에게,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위한 의료 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 인위적 생명 단축이 아닌 자연스러운 죽음을 맞이하도록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한국 사회가 여전히 말기환자의 의료결정과 관련된 개념을 혼동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존엄사’라는 주관적 표현이 ‘연명의료중단등결정(이하 연명의료결정)’, ‘의사조력자살’, ‘안락사’ 등 서로 다른 의료행위를 뒤섞어 사용하게 만들며, 국민 인식의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한국보건의료연구원)는 지난 6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말기환자 의료결정 관련 용어 인식’을 조사했다. 설문은 말기환자와 관련된 세 가지 시나리오(연명의료결정·의사조력자살·안락사)를 제시하고, 해당 행위를 가장 잘 설명하는 용어를 고르게 했다. 그 결과, ‘연명의료결정’의 정확한 인식률은 85.9%로 비교적 높았지만, ‘...
기사 본문
"인위적 생명 단축·연장 없는 '연명의료 결정'을 가장 선호"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존엄사' 표현 모호해 혼란 야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국가생명윤리정책원 연명의료관리센터 제공] (서울=연합뉴스) 고미혜 기자 =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16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
기사 본문
'안락사' 35.5%·'조력자살' 15.4% '연명 의료 지속'은 7.8% 그쳐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일 때 '연명 의료를 지속하겠다'고 답한 성인은 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연명 치료를 중단하거나, 안락사·의사 조력자살처럼 스스로 삶을 마무리하는 방식을 택했다. 16일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는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해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을 발표했다. 해당 연구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 호에 실렸다. 설문에서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41.3%는 불필요한 연명 의료를 받지 않겠다는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이는 회복 가능성이 없는 상태에서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겠다는 결정을 의미한다. 이어 35.5%는 안락사를, 15.4%는 의사의 도움을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