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유튜브발 과태료 강화설 ‘사실무근’ 누리집 통해 품목별 배출법 상세 안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카드뉴스 일부. ⓒ기후에너지환경부 [데일리안 = 김소희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인터넷 영상 등에서 확산된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관련 허위 정보를 바로잡기 위해 홍보를 강화한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0월 20일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집을 통해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활동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최근 일부 유튜버가 10월부터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규정 강화, 과태료 과다 부과 등 자극적인 내용의 영상을 게시하고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재활용 가능한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일반적인 분리배출 지침을 제시하고, 각 기초지자체(시·군·구)가 지역 실정에 맞게 조례를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올해 분리배출 지침을 개정한 사실이 없으며, 전국 단위 단속 강화나 과태료 부과 기준 상향을 요청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생활폐기물을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려면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누리...
기사 본문
기후에너지환경부가 '10월부터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 단속이 강화돼 수십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일부 유튜브 영상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바로잡았다. 사진은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튜브 영상들. /사진=유튜브 캡처 최근 유튜브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되고 있는 '10월부터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규정이 강화된다'는 내용의 정보에 대해 정부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바로잡았다. 지난 20일 기후에너지환경부는 '10월부터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 단속이 강화돼 수십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일부 유튜브 영상에 대해 '가짜뉴스'라고 밝혔다.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 유튜브 영상에는 구청 환경과에서 25년간 일한 공무원이라는 인물이 등장해 "라면·과자 봉지를 종량제봉투에 버리면 20만원" "두부 용기 제대로 안 씻고 버리면 9만원" "볼펜 버리면 80만원" 등 과태료를 받은 사례를 봤다고 주장했다. 이 밖에도 '10월부터 종량제 봉...
기사 본문
기사 내용과 관련없는 이미지. [사진 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 김기론 기자] 최근 유튜브를 중심으로 “10월부터 쓰레기 분리배출 단속이 강화돼 과태료가 수십만원씩 부과되고 있다”는 내용의 영상이 확산하자 정부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적극 해명에 나섰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올해 들어 단속이나 과태료 부과 기준이 강화된 적이 없다”며 허위 정보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이다. 지난 20일 기후부는 공식 자료를 통해 “최근 유튜브 등에서 확산된 ‘쓰레기 과태료 폭탄’ 영상은 모두 사실이 아니다”며 “생활폐기물 분리배출 지침을 개정한 사실이 없고, 지방자치단체에 단속 강화나 과태료 상향을 요청한 적도 없다”고 밝혔다. 논란의 영상들은 대부분 ‘전국적으로 단속이 강화되면서 과태료 폭탄을 맞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는 식의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 영상에서는 “구청 환경과에서 25년간 근무했다”는 인물이 등장해 “라면·과자 봉지를...
기사 본문
분리배출 지침 대폭 강화 '가짜뉴스' AI로 만든 '자칭 25년차 구청 환경과 직원' 동원 기후부, 사이트 통한 정확한 정보 확인 부탁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최근 유튜브를 통해 ‘10월부터 종량제봉투 단속이 강화된다’ ‘과태료 10만원, 80만원 폭탄을 맞았다’ 등 거짓 정보가 퍼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사실이 아니다”라고 바로잡았다. 가짜뉴스를 확산하는 유튜브다. (사진=유튜브 캡처) 20일 기후부는 “올해 분리배출 지침을 개정한 바 없으며 단속을 강화해달라고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하거나 과태료 부과 기준을 상향한 사실도 없다”고 밝혔다. 최근 유튜브에는 쓰레기 분리배출 관련 허위 영상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대부분 ‘전국적으로 단속이 강화되면서 과태료 폭탄을 맞는 사례가 속출한다’는 식의 유사한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AI)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한 영상에는 “구청 환경과에서 25년간 근무했다”는 인물이 등장해 ‘라면·과자 봉지를 종량제 봉투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