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재와 전쟁에도 올해 산재 사망자 더 늘었다…5인미만 영세사업장 집중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자료제공=고용노동부 정부가 연초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산업재해 사망자는 되레 늘었다. 특히 안전관리 여력이 부족한 영세 사업장에서 사고가 집중되고 추락·충돌 등 후진국형 사고가 반복됐다. 현행 처벌 중심 정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재해조사 대상 사망사고 발생 현황' 잠정결과에 따르면 올해 3분기까지 누적 재해조사 대상 사고사망자는 457명으로 전년 대비 14명(3.2%) 증가했다. 사고 사망 건수는 440건으로 29건(7.1%) 늘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사망자가 210명으로 가장 많았고 전년 대비 7명 증가했다. 기타업종은 128명으로 22명 늘었다. 제조업은 119명으로 15명 감소했다. 기타업종에서는 도·소매업과 농림어업 등 영세 사업장을 중심으로 각각 20명, 19명 늘었다. 건설업 역시 기장 화재사고(6명),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4명) 등 대형 참사와 함께 5억원 미만 소규...
기사 본문
정부 ‘산재와의 전쟁’ 선포 무색 소규모 사업장 사망자 늘어난 영향 50명이상 대형사업장선 6.2% 감소 동아일보DB 정부가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했지만 올해 1∼3분기(1∼9월) 산업재해 사망자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했다. 2022년 관련 통계를 처음 작성한 뒤 산업재해 사망자는 매년 감소세를 보였으나 올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됐다. 2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5년 3분기 재해조사 대상 사고 사망자’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는 45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43명)보다 14명(3.2%) 늘었다. 업종별로는 건설업 산재 사망자가 210명으로 지난해(203명)보다 7명(3.4%) 늘었다. 사망자 증가는 올해 2월 부산 기장군 반얀트리 리조트 공사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6명이 숨졌고 같은 달 25일 서울∼세종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구조물 붕괴 사고로 4명이 사망하는 등 대형 사고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공사금액 5억 원 미만 소규모 건...
기사 본문
올 9월까지 457명 숨져 3% 늘어 처벌 아닌 예방 정책 필요성 제기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오후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현장 브리핑에서 고개를 숙이고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매몰된 7명 중 3명의 시신이 수습됐다./연합뉴스 정부가 ‘산업재해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강력한 제재 정책을 폈지만 올 들어 9월까지 산재 사망자는 작년보다 오히려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관련 통계가 처음 작성된 후 작년까지 계속 감소세를 기록하다 올해 처음 증가세로 전환한 것이다. 특히 영세 사업장의 증가 폭이 컸다. 산업계에선 ‘군기 잡기식’ 처벌 위주 정책을 예방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산재 사망자(1~9월 기준)는 2022년 510명, 2023년 459명, 2024년 443명을 기록했고, 올해는 457명으로 늘었다. 정부의 엄포에도 산재 사고가 줄어들지 않는 건 노동 시장의 고령화와 연관이 있다...
기사 본문
노동부, 산재 현황 부가통계…대형 사고에 영세사업장 사고 잇따라 건설업 산재사망 3분기 누적 210명…떨어져 목숨잃은 노동자 199명 추락사고 잦은 건설현장 (CG) [연합뉴스TV 제공] (세종=연합뉴스) 옥성구 기자 =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산업현장에서 사고로 숨진 근로자가 457명으로 전년보다 14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022년 통계 작성 개시 이래 매년 감소세였던 산업재해 사망자는 올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대형사고에 더해 영세사업장에서의 잇따른 안전사고가 산재 사망자 증가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고용노동부가 25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산재 현황 부가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재해조사 대상 사망자는 모두 45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443명)보다 14명(3.2%) 늘었다. 산재 사망자는 1∼9월 기준 2022년 510명, 2023년 459명, 2024년 443명으로 감소세를 유지했지만, 올해는 처음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산재 현황 부가통계는 노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