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업무상 부주의 직접 원인'...이재용 원장 등 19명 입건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배터리랙 전원차단·절연작업 없이 일하다 불…열폭주는 없어" ▲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를 수사하는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이 10월 2일 오전 국정자원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연합뉴스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초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데이터센터 화재와 관련해 경찰이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을 포함한 관계자 19명을 대거 입건했다. 대전경찰청은 25일 수사 중간 결과를 발표하며 "이번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 전원을 완전히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이 이뤄진 데 따른 업무상 부주의가 직접 원인"이라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업무상 실화 혐의로 이 원장과 국정자원 담당자 3명, 시공업체 현장소장과 작업자, 책임 감리 등 총 9명이 입건됐다. 여기에 해당 공사를 낙찰받은 원도급 업체와 불법 하도급 방식으로 실제 작업을 수행한 업체 등 5개 업체의 대표·이사·팀장 등 10명은 전기공사업법 위반 혐의로 입건됐다. 이 가운데 재하도급을 통해 실질적으로 공사를 진행한 ...
기사 본문
국가 전산시스템 마비 사태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는 작업자들이 전원을 차단하거나 절연하지 않고 작업하다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 등 총 19명을 업무상 실화나 불법 하도급 등 혐의로 입건했다. 지난 9월 27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가 소화수조에 담겨있다. 연합뉴스 ━ 배터리 랙 전원 차단 안해 대전경찰청 형사기동대는 25일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국정자원 화재 원인과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감정 결과 등을 발표했다. 경찰에 따르면 화재 당시 UPS(무정전전원장치)본체 전원과 1번 랙 전원만 차단한 상태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또 컨트롤 박스에 부착된 전선을 분리해 테이프로 감는 절연 작업도 하지 않았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UPS시스템에 연결된 배터리를 이전하기 위해서는 UPS본체의 전원을 차단한 다음 이와 연결된 각각의 배터리 랙(부속전원·1~8번) 상단 콘트롤 박스(BPU)...
기사 본문
"배터리랙 전원차단·절연작업 없이 일하다 불…열폭주는 없어" 국정자원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 설명하는 이재용 원장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이 지난 9월 29일 정부세종청사 민원동 공용브리핑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브리핑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대전=연합뉴스) 이주형 강수환 기자 =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와 관련, 경찰이 이재용 원장을 포함해 국정자원 관계자와 공사업체 관계자 등 19명을 무더기 입건했다. 대전경찰청은 이번 화재와 관련해 이 원장을 포함한 국정자원 관계자 4명, 시공업체 현장 소장과 작업자, 책임 감리, 현장 작업자 등 9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와 함께 해당 공사를 낙찰받은 업체와 불법 하도급 형식으로 실제 공사를 진행한 업체 등 모두 5개 업체 대표와 이사, 팀장 등 10명을 전기공사업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이들 중...
기사 본문
작업자들, 배터리 이설 작업 당시 전원 미차단·절연 미실시 국과수 "차단기 끄지 않고, 작업 관련된 인적행위로 발화 추정" 국정자원 원장, 과장 등 10명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 5개 업체 10명 불법 하도급 혐의 입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박우경 기자 국가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작업자들이 기본적인 안전조치를 지키지 않아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국정자원 원장을 포함한 10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25일 대전경찰청 수사전담팀은 "관련자 진술과 압수물 분석,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의 감정 결과를 종합하면, 이번 화재는 작업자들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절연 작업을 하지 않은 채 작업을 진행한 과실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무정전 전원장치(UPS) 시스템에 연결된 배터리를 이전하기 위해서는 UPS 본체 전원을 차단한 뒤 연결된 각 배터리 랙(1~8번) 상단의 콘트롤 박스(BPU) 전원까지 모두 차단해야 한다. 하지만 화재 당시 작업...
기사 본문
경찰, 수사 결과 발표…19명 무더기 입건 8개 배터리랙 중 7개 전원차단 없이 작업 불법 하도급의 재하도급 ‘엉터리 인력관리’ 수주 업체들, 하는 일 없이 11억 나눠가져 지난 9월28일 경찰 합동감식반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 감식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최예린 기자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h:730’을 쳐보세요.)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는 전산실의 리튬이온배터리를 옮기는 공사를 하면서 배터리랙 전원을 다 끄지 않은 채 전선 분리 작업을 하다가 불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경찰은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을 비롯해 공사업체 관계자 등 19명을 무더기 입건했다. 대전경찰청 전담수사팀은 지난 9월26일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 사건 관련 업무상 실화와 전기공사업법 위반 등 혐의로 19명을 입건했다고 25일 밝혔다. 업무상 실화 혐의 입건자는 국정자원에서 이재용 원장과 담당 과장·팀장·직원 등 4명, 하도급 시공업체(...
기사 본문
지난 9월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는 작업자들의 과실로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작업자들은 리튬이온 배터리 전원 차단과 절연작업 등 기본 절차를 지키지 않았다. 경찰은 이재용 국정자원장을 포함해 공사업체 관계자 등 19명을 무더기로 입건했다. 대전경찰청은 25일 브리핑을 열고 “관련자 진술과 압수물 분석,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를 종합하면 작업자들이 기본 작업 절차인 리튬이온 배터리 내 전원을 차단하지 않아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 감식을 위해 지난 9월 28일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경찰은 이 원장과 국정자원 담당자 3명, 시공업체 현장 소장과 작업자, 책임 감리, 현장 작업자 등 9명을 업무상실화혐의로 입건했다. 공사를 낙찰받은 업체와 하도급 형식으로 실제 공사를 진행한 업체 등 6개 업체 대표와 이사, 팀장 등 10명을 전기공사법 위반 혐의로 ...
기사 본문
경찰과 소방,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지난 9월 28일 화재 현장 합동감식을 위해 대전 유성구 화암동 국가정보자원관리원으로 들어서고 있다. 이종섭 기자 지난 9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는 리튬이온배터리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이설 공사를 진행한 작업자들의 과실 때문이라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가 나왔다. 경찰은 화재와 관련해 관리·감독 책임이 있는 국정자원 원장과 불법 하도급이 확인된 시공·하도급 업체 대표 등 모두 19명을 업무상 실화와 전기공사업법 위반 혐의로 입건했다.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수사전담팀은 25일 “국정자원 배터리 이설 작업 중 발생한 화재는 작업자들이 전원을 차단하지 않고, 절연 작업을 하지 않은 채 작업을 진행한 과실로 인해 발생했다”고 밝혔다. 화재 원인에 대한 경찰의 결론은 그동안 확보한 관련자 진술과 압수물 분석, 국과수 감정 결과 등을 토대로 한 것이다. 국과수는 국정자원 화재에 관련해 최근 경찰에 “작업자들의 작업과 ...
기사 본문
업무상 실화·불법하도급 등 혐의 리튬이온 배터리 이동 작업하며 전원 차단, 절연 없이 부주의하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달 10일 화재 피해 복구가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외부로 옮겨진 리튬이온 배터리들을 살펴보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경찰이 초유의 국가 전산망 마비 사태를 초래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이재용 원장을 포함한 국정자원 및 공사업체 관계자 등 19명을 무더기 입건했다. 국정자원 화재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등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은 채 작업하다 발생했고, 공사 과정에서 불법하도급이 이뤄졌다는 수사 결과도 내놓았다. 대전경찰청은 국정자원 화재와 관련해 이 원장을 포함한 국정자원 관계자 4명, 시공업체 현장 소장과 작업자, 책임감리 등 9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했다고 25일 밝혔다. 또 공사를 낙찰 받은 업체와 불법하도급 형식으로 공사를 진행한 업체를 포함한 5개 업체 대표와 이사, 팀장 등 10명을 전기공사업법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