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독감보다 사망위험 높아…고위험군 매년 1회 접종 필요"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국화이자제약, '코로나19 백신 접종' 광고 캠페인 전개 (한국화이자제약 제공) (서울=뉴스1) 김정은 기자 = 한국화이자제약은 2025-2026 절기 코로나19 백신 국가예방접종사업(NIP) 대상자인 65세 이상 고령층을 대상으로 독감 백신과 동시접종을1,4,5 독려하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광고 캠페인은 '화이자 코로나19 백신 접종 고사'를 콘셉트로, 퀴즈 형식을 통해 △코로나19의 독감 대비 높은 사망 위험 △매년 1회 접종 △무료 접종 대상 △65세 이상에서 독감 백신과 동시 접종 권고 등 이번 절기 코로나19 국가예방접종(NIP)의 대상 및 기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한다. 엔데믹 이후 코로나19에 대한 경각심이 낮아졌지만, 코로나19는 고위험군에서 여전히 질병 부담이 높은 호흡기 질환이다. 미국에서 진행된 후향적 코호트 연구에 따르면, 2023-2024 절기 코로나19로 입원한 환자의 30일 사망 위험은 계절성 독감으로 입원한 환자보다 약 ...
기사 본문
지난달 22일 경기 수원시 한 소아청소년과의원에서 한 영유아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인플루엔자(독감) 환자가 증가하면서 17일 ‘독감 유행주의보’가 발령됐다. 보건당국은 예년보다 이르게 시작된 유행에 대비하기 위해 소아·어르신 등 고위험군 중심으로 예방접종을 서둘러 달라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의원급 의료기관에 대한 표본감시 결과, 올해 40주차(9월 28일~10월 4일) 독감 의사환자(발열·기침·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는 독감 의심 환자) 분율은 외래환자 1000명당 12.1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질병청이 산출한 올해 독감 유행 기준인 9.1명을 넘어선 수치다.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최근 4주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38주차(9월 14일~20일) 8명에서 39주차 9명으로 유행 기준에 근접한 뒤, 40주차 12.1명, 41주차에는 14.5명으로 올랐다. 올해 독감 유행주의보는 지난해보다 약 두 달 빨리 내려졌다. 지난해에는 12월 20일에 발령됐다...
기사 본문
의심 환자 1천명당 12.1명…작년보다 두 달 빨라 어린이·임신부·어르신 등 고위험군, 무료 예방접종 진행 중 독감주사 맞는 어린이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전국에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은 독감 환자 수 증가에 따라 17일 0시부로 유행주의보를 발령했다고 밝혔다. 이번 유행 주의보는 지난 6월 13일 2024∼2025절기 독감 유행 주의보가 해제된 지 약 넉 달 만에 발령되는 것이다. 작년에는 올해보다 늦은 12월에 주의보가 발령됐었다. 질병청에 따르면 올해 40주 차인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298개 표본 의료기관의 외래환자 1천명당 독감 의사환자(38도 이상의 발열과 함께 기침, 인후통 등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 분율은 12.1명(1.2%)으로 이번 절기 유행 기준(1천명당 9.1명)을 초과했다. 독감 의사환자 분율은 38주 8.0명, 39주 9.0명, 40주 12.1명, 41주 14.5명으로 계속 늘...
기사 본문
SK바이오사이언스 '스카이셀플루 3가' 등 독감(인플루엔자) 유행철이 본격화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달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2025-2026절기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사업을 시행 중이라고 밝혔다. 무료 접종 대상은 생후 6개월~만 13세 어린이, 임신부, 만 65세 이상 고령자로, 전국 지정 병·의원과 보건소에서 주소지 관계없이 접종할 수 있다. 이번 절기 접종은 이미 9월 말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2회 접종이 필요한 어린이는 지난달 22일부터, 1회 접종 대상 어린이와 임신부는 9월 29일부터 접종이 가능했다. 만 75세 이상 고령자는 10월 15일, 70~74세는 10월 20일, 65~69세는 10월 22일부터 순차적으로 접종이 진행될 예정이다. 플루엔자 예방접종은 입원과 사망 위험을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며, 올해의 경우 바이러스 활동이 예년보다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 10월 중 접종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는 게 질병청의 설명이다. 국내 백신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