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한강버스, 가장 안전한 배터리 썼다"[2025국감]

2025년 10월 21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51개
수집 시간: 2025-10-21 08:43:1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아시아경제 2025-10-20 12:18:56 oid: 277, aid: 0005666785
기사 본문

배터리 화재 취약 질의에 오 시장 "안전성 보강된 형태"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강버스에 탑재된 배터리가 화재 위험이 높다는 지적에 대해 "가장 안전한 배터리를 사용했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한강버스에 탑재된 배터리가 화재 위험성이 높다는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연합뉴스 이 의원은 "한강버스에 3만개의 NCM 배터리가 탑재돼 있는데 이 배터리가 LFP 배터리에 비해 열폭주 위험이 높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카카오 데이터센터, 인천 전기차 화재 모두 같은 계열의 배터리"라며 "기온이 40도까지 오르는 여름에도 이것이 안전한지 성능 시험을 해 보셨냐"고 물었다. 오 시장은 "이 경우에는 (배터리가) 액침형이라 보통 버스, 다른 교통수단에 쓰는 것보다 훨씬 안전성이 보강된 형태"라며 "지금까지 개발된 배에 쓸 수 있는 배터리 중 가장 안전한 것을 썼다"고 했다. 여름철 성능 시험 여부에 대해 박진영...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0-20 07:00:00 oid: 025, aid: 0003476361
기사 본문

정착지→요충지→물류거점→문화공간 한강 흐름에 우리나라 반만년 담겼죠 한강은 한반도의 중심이자, 교통의 중심, 시민들의 휴식처이기도 합니다. 우리 역사의 중심에서 수천 년 세월을 말없이 흘러왔고, 그 만큼 수많은 이야깃거리를 품고 있죠. 한강을 바라보고, 놀러 가며 친숙하다고 생각하지만 그에 얽힌 역사나 문화에 대해서는 알고 있는 것이 적은데요. 걷기 좋은 계절, 한강 유역 및 인근 문화유산을 거닐며 한강 역사문화탐방을 해보는 건 어떨까요. 한강 유역 및 인근 문화유산을 거닐며 한강역사탐방에 나선 최수혁·윤보영·황지유(왼쪽부터) 학생기자가 우리 역사의 중심에서 수천 년 세월을 말없이 흘러온 한강 앞에서 포즈를 취했다. 강원도 태백시의 검룡소에서 발원해 경기도 김포시의 보구곶리까지 총 514km 길이를 자랑하는 한강은 세계 어느 도시의 강에 견주어도 뒤지지 않아요. 검룡소에서 시작된 남한강은 충청북도를 지나 경기도 양평으로 흘러가고, 강원도 금강산 부근에서 시작된 북한강은 강원도 춘천시...

전체 기사 읽기

비즈워치 2025-10-21 06:44:09 oid: 648, aid: 0000040868
기사 본문

[2025 국정감사] 與, 한강버스 안전·보증 문제 등 집중 난타 GH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 배제 지적 서울시와 경기도 등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부동산 문제가 '뜨거운 감자'가 된 가운데 각 지자체 산하 주택 관련 공기업인 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와 경기주택도시공사(GH)도 화제가 됐다. 주택사업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지적과 함께다. SH는 서울시 주요 사업 중 하나인 '한강버스'에 대해 빚보증을 섰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GH는 국가첨단산업단지 추진 과정에서 사업 참여가 배제된 점이 관심사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자료=NATV 국회방송 유튜브 갈무리 한강버스, 고장·배터리 등 안전 문제 지적 20일 서울시청에서 열린 국토위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는 오세훈 시장의 역점사업 중 하나인 한강버스와 관련한 의원들의 질의가 쏟아졌다. 특히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서울시와 SH가 ...

전체 기사 읽기

MBN 2025-10-21 07:24:11 oid: 057, aid: 0001914213
기사 본문

【 앵커멘트 】 서울시 국정감사에서는 오세훈 시장을 겨냥한 민주당 의원들의 공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지난달 운행을 시작하다 중단된 한강버스가 표적이 됐는데, 오 시장도 호락호락하진 않았습니다. 전민석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민주당은 서울한강버스의 안전 검증이 부실했다며 집중포화를 쏟아냈습니다. 지난달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한 한강버스는 불과 열흘 만에 다섯 번 고장을 일으킨 뒤 한 달 가까이 승객을 태우지 않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천준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시범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서 보고도 안 받으시고 조치도 제대로 안 한 상태에서 왜 이렇게 성급하게 운항을 허가하셨습니까?" ▶ 인터뷰 : 오세훈 / 서울시장 - "디테일한 기계 고장에 대해서 어떻게 제가 하나하나 다 챙기겠습니까?" 한강버스 운영사가 시중은행에서 500억 원을 빌리는 과정에서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사실상 보증을 선 것은 아닌지, 여당 의원들이 캐묻기도 했습니다. ▶ 인터뷰 : 전용...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