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7명 전원구조' 여객선 좌초 사고 해경 신속 대응 주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좌초 선박 현장감식 (목포=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20일 오전 전남 목포시 삼학부두에서 해경과 국과수가 2만6천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에 대한 감식을 하고 있다. 제주에서 267명을 태우고 목포로 향하던 퀸제누비아2호는 전날 신안군 장산면에 있는 족도(무인도)에 좌초됐다. 중대한 인명피해 없이 탑승 267명 전원 구조됐다. 해경은 선장 등 3명을 입건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다. 2025.11.20 iny@yna.co.kr (목포=연합뉴스) 천정인 기자 = 무인도에 좌초된 퀸제누비아2호에 탑승하고 있던 승객과 승무원 267명 전원을 구조한 해경의 신속한 대응이 눈길을 끈다. 24일 목포해경에 따르면 해경은 지난 19일 오후 8시 16분께 신안군 장산도 인근 족도(무인도)에 퀸제누비아2호가 좌초됐다는 신고를 받고 89t급 경비정 P-79정을 급파했다. 경비정은 신고 접수 12분만에 현장에 도착, 경찰관 2명이 여객선에 올라타 혼란에 빠진 승객들을 안심시키고 현장을 통제했다. 이어...
기사 본문
19일 오후 전남 신안군 장산면 족도에서 승객 260여명을 태운 여객선이 좌초했다. 사진=목포해양경찰서 제공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좌초된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의 선장 김모 씨(65)가 “선장실에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치해 조타실에 가지 않고도 운항 상황을 지휘할 수 있었다”는 취지로 주장했다. 그러나 사고 당일에는 “위장 장애로 항로를 제대로 모니터링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선원들은 해당 선박이 취항한 이후 사고 해역을 수차례 운항했음에도 김 씨가 한 차례도 조타실에 나오지 않았다고 경찰에 진술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씨는 24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선장은 항상 24시간 대기하는 위치”라고 전제하면서도 “평소 위장 장애로 통증이 심할 때 잠시 휴식을 취할 수밖에 없다”며 “사고 당시에도 통과 지점에 다른 선박이 없는 것을 확인한 뒤, 통증으로 자리를 비운 사이 사고가 발생했다”고 말했다. 좁은 항로를 통과하면서도 직접 선교(조타실)에 나오지 않은 이유에 대해 김 씨는 “목포~...
기사 본문
전남 목포시 삼학부두에 2만6000t급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가 정박돼 있다. 퀸제누비아2호는 전날 제주에서 267명을 태우고 목포로 향하던 중 신안군 장산면에 있는 족도(무인도)에 좌초됐다. 예인선의 도움을 받아 바다로 빠져나온 퀸제누비아2호는 자력으로 항해해 목포 삼학부두에 정박했다. 여객선에 타고 있던 승객과 선원 등 267명은 전원 무사히 구조됐다. 연합뉴스 지난 19일 전남 신안군 해상에서 발생한 여객선 좌초 당시 선장실에서 쉬고 있던 선장이 사고 여객선 취항 후 1년 9개월간 사고 해역을 지나는 동안 한 차례도 조타실 근무를 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해경은 여객선 사고 당시 목포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항로이탈경보장치가 사고 전부터 꺼져 있었던 사실을 파악하고 관제 소홀 여부를 조사 중이다. 목포해양경찰서는 24일 “선장 A씨(60대)가 2024년 2월 28일 취항한 퀸제누비아2호에 승선해 사고해역을 1000여 차례 지나면서 한 번도 조타실에 나온 적이 없는 것으로...
기사 본문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좌초한 대형 카페리 여객선 퀸제누비아2호의 선장이 2024년 2월 해당 노선 취항 이후 조타실에 한 번도 가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목포해경은 선장 A씨가 과거 사고 해역을 1천여 차례 항해하는 동안 조타실에 단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다는 사실을 여객선 직원들의 진술을 통해 확인했다고 어제(24일) 밝혔습니다. 앞서 해경은 중과실치상·선원법 위반 혐의로 선장 A씨를 입건한 상태입니다. 또 해경은 사고해역을 담당하는 관제사 B씨도 업무상과실치상 혐의로 입건해 수사할 예정입니다. 여객선 좌초 사고 당시 VTS의 항로이탈 알람은 이미 꺼져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좌초 #선장 #퀸제누비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