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림대 박찬흠 교수 ‘바이오캐비넷’ 27일 누리호 발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한림대춘천성심병원 박찬흠 교수(한림대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장) 연구팀이 개발한 우주 생물학 연구 탑재체 ‘바이오캐비넷(BioCabinet)’이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에 실려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와 함께 우주로 향한다. 사진=한림대춘천성심병원 제공 한림대춘천성심병원 박찬흠 교수(한림대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장) 연구팀이 개발한 우주 생물학 연구 탑재체 ‘바이오캐비넷(BioCabinet)’이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에 실려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와 함께 우주로 향한다. 국내 연구진이 만든 생체조직 프린팅 기술이 우주에서 검증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오캐비넷은 바이오 3D프린터와 줄기세포 배양기를 탑재한 독립형 장치로 우주 환경에서의 인공 심장 자동 제작과 줄기세포의 생존·분화를 관찰하기 위해 개발됐다. 탑재체에는 역분화한 심장 줄기세포를 3D 프린팅해 실제처럼 수축·박동하는 조직을 구현하는 모듈과 편도에서 유래한 줄기세포의 혈관 분화를 확인하는 장치 등 두 가지 실...
기사 본문
“제가 처음 우주의학을 시작할 때만 해도 주변에서 다 미쳤다고 했습니다. 해외에서는 발사체도 없는 나라에서 무슨 우주의학이냐며, 북한보다도 우주 기술에 뒤처진 나라가 아니냐고 했었죠.” 이달 27일로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의 4차 발사에 탑재되는 우주 바이오 실험 장비 ‘바이오캐비닛’을 개발한 박찬흠 한림대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18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처음 연구를 시작하던 10여 년 전을 떠올리며 이 같이 말했다. 박 교수는 “이제는 누리호도 개발되고 우주 의학도 더이상 낯설지 않다”며 “향후 우주 산업의 큰 축이 될 것”이라고 했다. ● ‘미니 심장’ 자동으로 만드는 ‘바이오캐비닛’ 박 교수가 개발한 바이오캐비닛은 3D 바이오프린터와 세포 배양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장치다. 누리호 4차 발사의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중형위성 3호’에 실려 고도 600km에서 60일간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심장 줄기세포와 혈관 세포가 미세중력 상태에서 자라면서 작은 ‘미니 심...
기사 본문
▲ 박찬흠 교수팀이 바이오캐비넷의 전자부 제작 용역을 수행한 카이로스페이스팀과 함께 바이오캐비넷 앞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제공 박찬흠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한림대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장)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캐비넷(BioCabinet)'이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에 탑재돼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우주로 향한다. 바이오캐비넷은 무게 55㎏, 크기 790×590×249㎜의 바이오 3D 프린터와 줄기세포 분화 배양기를 포함한 첨단 연구 탑재체다. 우주 환경에서 자동으로 인간의 인공 심장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구에서는 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우주에서는 신속한 진료가 어렵다. 바이오캐비넷은 우주 공간에서 생체조직을 신속히 제작해 질환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우주 의료 기술'을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무 수행 기간은 60일이며, 세포 상태와 연구 목적에 따라 최대 1년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 박찬...
기사 본문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 탑재 박찬흠(한림대 나노바이오재생의학연구소장·사진) 한림대학교춘천성심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바이오캐비넷(BioCabinet)'이 차세대중형위성 3호기에 탑재돼 오는 27일 누리호 4차 발사를 통해 우주로 향한다. 바이오캐비넷은 무게 55㎏, 크기 790×590×249㎜의 바이오 3D 프린터와 줄기세포 분화 배양기를 포함한 첨단 연구 탑재체다. 우주 환경에서 자동으로 인간의 인공 심장을 제작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구에서는 질환이 발생하면 즉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우주에서는 신속한 진료가 어렵다. 바이오캐비넷은 우주 공간에서 생체조직을 신속히 제작해 질환 반응성을 확인할 수 있는 '우주 의료 기술'을 실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임무 수행 기간은 60일이며, 세포 상태와 연구 목적에 따라 최대 1년까지 연장이 가능하다. 박찬흠 교수는 이번 바이오캐비넷 발사를 발판으로 우주 의생명공학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를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