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어 수능 논란…"17번 정답 없다" 이어 "3번 정답 두 개"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지난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브리핑실에서 고교 교사들이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영역 출제경향 분석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3번 문제의 정답이 두 개라는 주장이 나왔다. 올해 수능 국어는 ‘불(火) 국어’였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체감 난도가 높은 상황에서 현직 대학교수들이 잇달아 정답에 이의를 제기하는 양상이다.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이 교수는 23일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10년 이상 연구하고 강연했던 주제가 수능 국어 시험에 지문으로 나왔다고 지인이 알려줘서 문제를 풀어 봤다”고 말했다. 해당 지문에는 ‘고프와 동료 교수들이 제시한 단순관점’이라는 표현과 함께 ‘(단순 관점에서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언어 이해...
기사 본문
'정답 없음' 의혹 17번 문항 이어 또 문제 제기…"지문 내용 자체가 틀려" "수능 비문학, 아이들에 '난수표' 같은 글 보여주고 정답 찾기 요구" 비판도 지문 오류와 복수 정답 주장이 제기된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최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이번엔 정답이 2개인 문항이 있다는 서울대 사범대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이 교수가 지목한 지문은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해 설명한 필립 고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전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다룬 글이다. 해당 지문에는 '(단순 관점에서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
기사 본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이번엔 정답이 2개인 문항이 있다는 서울대 사범대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지문 오류와 복수 정답 주장이 제기된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이 교수가 지목한 지문은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해 설명한 필립 고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전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다룬 글이다. 해당 지문에는 ‘(단순 관점에서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언어 이해가 발달될 수 있으므로 해독 발달 후에는 독서 경험이 독해 능력 발달에 주요한 기여를 한다고 본다’는 문장이 나온다. 이 교수는 그러나 고프의 단순 관점에서 말하는 언어 이해는 읽기 능력이 아닌 ‘듣기 능...
기사 본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진 지난 13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어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은 출제 오류 주장이다. 23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지난 2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수능 국어 3번 문항 지문에 오류가 있으며 정답 또한 두 개라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1~3번 지문. 평가원 제공 3번 문항은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해 설명한 필립 고프 미국 텍사스-오스틴 대학교 전 교수의 ‘단순 관점’에 관한 내용이다. 지문은 ‘언어 이해’를 “말로 듣거나 글로 읽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정의했는데, 이 교수는 해당 부분이 이론을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론상 언어 이해란 글로 읽은 내용의 의미...
기사 본문
반복되는 수능 국어지문 논란 올해 17번 "정답 없다" 이어 단순 관점 이론 다룬 3번문항 서울대교수 '정답 2개' 주장해 "고교생 평가용 맞나" 비판도 지난 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문제를 두고 오류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이충형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교수가 17번 문항의 오류를 지적한 데 이어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가 '3번 문항의 정답이 2개'라고 주장하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오류 인정 여부와 별개로 수능이 지나치게 난해한 지문과 문항으로 출제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병민 교수는 지난 2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2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문항은 필립 고프 전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명예교수가 제시한 독해 능력 이론인 '단순 관점'을 다룬 지문을 읽고 틀린 선지를 찾는 문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갑은 학생 B가 단어를 올바르게 발음...
기사 본문
이병민 교수, 국어 3번 문항 지적 “1~3번 지문이 개념 잘못 설명해” [이데일리 권혜미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주장이 나온 데 이어, 이번엔 정답이 2개인 문항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3일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수능 국어 3번 문항의 정답이 두 개이고 지문에도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사진=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 이 교수가 지목한 지문은 독해 능력을 해독과 언어 이해로 단순화해 설명한 필립 고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전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다룬 글이다. 해당 지문에는 ‘(단순 관점에서는) 해독이 발달되면 글 읽기 경험을 통해서도 언어 이해가 발달될 수 있으므로 해독 발달 후에는 독서 경험이 독해 능력 발달에 주요한 기여를 한다고 본다’는 문장이 나온다. 이 교수는 “지문에서 단순 견해(the simple view of readi...
기사 본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일인 13일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 마련된 고사장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3번 문항이 도마에 올랐다. 문제에 제시된 지문 자체에 오류가 있는 탓에 정답이 2개라는 것이다. 문제를 제기한 이는 지문에 소개된 이론을 오랫동안 연구해온 서울대 교수다.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학과 교수는 지난 21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국어 영역 1~3번 문항에 해당하는 지문이 “(‘단순관점’이라는) 이론을 잘못 설명했다”며 “3번 문항은 정답이 2개”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가 지목한 지문은 독해 능력을 연구한 이론인 필립 고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전 명예교수의 ‘단순 관점’을 다룬 글이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3번 문항과 연관 지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해당 지문에는 “언어 이해는 말로 듣거나 글로 읽은 내용의 의미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중심 내용 파악하기, 추론...
기사 본문
언어 이해 능력 다룬 수능 국어 3번 지문은 '계속 읽으면 언어 이해 발달' 이병민 서울대 교수 "완전히 잘못 해석" "나도 한 번 봐선 몰라...아이들이 알겠나"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과 교수가 2020년 3월 서울대 관악캠퍼스에 위치한 본인 연구실에서 본보 인턴기자와 인터뷰하고 있다. 정준희 인턴기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수능 지문에 나왔는데 틀린 내용을 소개하면 안 되잖아요 ." 이병민 서울대 영어교육과 교수는 23일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이렇게 반문했다. 이 교수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의 첫 번째 지문이 이런 오류를 범했고 이 때문에 3번 문항의 정답은 2개라고 주장했다. 이번 수능 국어 영역의 비문학 지문을 두고 전문가가 직접 나서서 오류를 주장한 건 두 번째다. 논란의 지문은 필립 고프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심리학과 명예교수가 1986년 주창한 독해 능력에 관한 단순 관점(simple view of reading) 모델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