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위협하는 ‘새벽배송’…사회적 합의 가능할까[뉴스in뉴스]

2025년 11월 2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4개
수집 시간: 2025-11-23 00:20:48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KBS 2025-11-21 12:36:11 oid: 056, aid: 0012071064
기사 본문

[앵커] 최근 '새벽 배송' 논쟁이 뜨겁습니다. 배송 기사들의 야간 장시간 노동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사회적 대화 기구가 만들어졌지만, 노동자와 소비자, 기업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기 쉽지 않아 보입니다. 경제산업부 이지은 기자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이 기자, 최근 제주에서 쿠팡 배송 기사가 새벽 배송을 하다 숨지는 일이 있었죠. 실제로 고인이 숨지기 전까지 과도한 업무에 시달린 정황이 드러났다고요? [기자] 네, 최근 제주에서 교통사고로 숨진 쿠팡 새벽 배송 기사 고 오승용 씨 인데요. 사고가 난 시간은 새벽 2시 즈음인데, 오 씨는 당시 주 평균 69시간을 일했습니다. 그런데 택배노조가 조사해봤더니 오씨의 실제 근무시간은 그보다 더 길었던 걸로 나타났습니다. 오 씨가 대리점 관리자와 나눈 메시지를 보면, 관리자가 다른 동료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보내줍니다. 숨진 오 씨 본인 아이디가 아닌 아이디로 업무 시스템에 접속하도록 한 겁니다. 또, 다른 아이디로 배송한 내역을 ...

전체 기사 읽기

프레시안 2025-11-21 13:05:11 oid: 002, aid: 0002415480
기사 본문

[새벽배송 논란, 현실과 과제] ① 강태선 서울사이버대 안전관리학과장 야간노동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의학적 정설이다. 야간노동 규제는 국제적 대세다. 한국으로 눈을 돌리면, 산업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는 거의 이뤄진 듯 보였다. 그러나 최근 새벽배송 논란이 그 합의가 어떤 영역에서는 단단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 균열은 왜 생겼을까. 모두가 안전한 일터를 만드는 데 있어 우리가 놓친 것은 무엇이며,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 그 실마리를 찾기 위해 <프레시안>은 전문가와 활동가들에게 새벽배송 논란을 지켜보며 한 생각을 물으려 한다. 편집자 강태선 사이버대학교 안전관리학과 교수는 근로감독관 출신으로 현장성과 전문성을 겸비한 것으로 평가받는 산업안전보건 연구자다. 새벽배송 논란에 대해 강 교수는 사회적 대화의 필요성과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논의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벽배송이 등장한 지 10년이 넘었는데, 이 노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장기 ...

전체 기사 읽기

한국경제 2025-11-22 12:27:13 oid: 015, aid: 0005214697
기사 본문

노동장관 "2급 발암물질" 민주노총 주장 반복 실제론 위험성 평가한 분류 기준 아냐 "햇빛도 1급 발암물질…낮시간 활동 금지해야 하나" 사진=쿠팡 "(새벽배송은) 국제암센터가 2급 발암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서비스인지 공론화돼야 한다." 김영훈 고용노동부장관이 지난 20일 새벽배송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 말이다. 이는 앞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이 "야간노동은 2급 발암 물질"이라며 새벽 배송 전면 금지를 주장한 논리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김 장관이 근거로 든 국제암연구소(IARC)의 자료를 실제로 들춰보면, '2급 발암물질'이라는 말에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IARC는 발암 요인을 '등급(grade)'이 아니라 '군(group)'으로만 분류하고 있고, '새벽배송'이라는 특정 서비스도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다. ◇국제암연구소 "발암성 분류체계, 위험 평가 아니다"라는데 IARC는 각종 화학물질과 직업적 ...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21 15:35:54 oid: 025, aid: 0003484414
기사 본문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20일 오후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근로감독관 정책 공유회에 참석하여 인사말을 하고 있다. 뉴스1 택배 ‘새벽 배송’ 공방이 정치권에서 본격적으로 불이 붙기 시작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새벽 배송에 대해 “심야 노동은 2급 발암물질”이라며 사실상 반대 의견을 내자 국민의힘이 강하게 비판하면서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21일 논평을 내고 “민노총의 새벽 배송 폐지 요구에 침묵으로 일관하던 이재명 정부가 처음 내놓은 공식 입장은 민노총과 다르지 않은 ‘새벽 배송=발암 물질’ 낙인찍기”라며 “새벽 배송 금지라는 시대착오적 규제가 추진된다면 합법적인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반드시 저지하겠다”고 했다. 전날 김 장관은 정부세종청사 노동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심야 노동은 국제 암 연구소가 2급 발암 물질로 규정할 정도로 해로운데, (새벽 배송이) 이를 감내해야만 할 정도의 필수적인 서비스인지 공론화돼야 한다”며 새벽 배송에 대해 사실상...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