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노동부, 울산화력 붕괴 관련 HJ중공업 본사 등 압수수색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 울산화력 현장 들어서는 합동 감식팀 9명의 사상자를 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HJ중공업 본사 등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오늘(20일) 오전 9시부터 근로감독관과 경찰관 등 약 50명을 투입해 HJ중공업 본사와 울산 사고 현장 사무소 등 6곳을 압수수색 해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사당국은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 등을 살필 계획입니다. 노동부도 원하청 간 작업지시 관계와 안전 관리체계 등을 확인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항이 있는지 확인할 방침입니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의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무너져 노동자 7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기사 본문
지난 18일 수사당국의 합동감식 차량이 울산화력발전소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 뉴스1 노동당국과 경찰이 최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참사와 관련해 20일 시공사 HJ중공업 본사 등 6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원인 규명에 나섰다. 이번 사고는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가 붕괴하면서 작업자 9명 중 7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중대 재해로, 수사기관은 타워 구조적 결함과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을 규명하기 위한 강제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근로감독관과 수사관 50명을 투입해 HJ중공업 본사와 울산 현장 사무소 등 6개 장소에서 작업지시 문건, 해체 공법 관련 자료, 안전관리 문서 확보 등을 위한 압수수색을 했다. 수사 당국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문건을 바탕으로 보일러 타워 해체 작업이 시방서와 안전계획서에 따라 진행됐는지,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기사 본문
울산화력 현장 들어서는 합동 감식팀 (울산=연합뉴스) 장지현 기자 = 18일 오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 합동 감식을 위해 감식팀 관계자들이 차에서 내리고 있다. 울산경찰청 전담수사팀, 경기남부경찰청 중대재해전담 과학수사팀, 국립과학연구원,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공단 등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내 사고 현장에서 합동 감식에 들어갔다. 2025.11.18 jjang23@yna.co.kr (울산=연합뉴스) 장지현 기자 =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이 최근 9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 20일 시공사인 HJ중공업 본사 등 6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근로감독관과 경찰관 등 약 50명은 이날 오전 9시께부터 HJ중공업 본사와 사고 현장 사무소 등에 들어가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다. 부산노동청과 경찰은 이날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의 해체 작업 과정에서...
기사 본문
시공사 HJ중공업 등 6곳 대상 노동 당국과 경찰이 최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HJ중공업 본사 등 6곳을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지난 13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마지막 매몰자를 찾기 위해 중장비가 동원돼 보일러 타워 구조물들을 해체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지난 6일 울산 남구 소재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보일러 타워 붕괴로 인해 근로자 7명이 사망하고 2명이 다친 사고와 관련해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압수수색에는 근로감독관과 경찰 약 50명이 투입됐다. 이들은 HJ중공업 본사와 사고 현장 사무소 등 6곳을 대상으로 작업 관련 서류 및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하고, 해체 작업 과정에서 붕괴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 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여부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이번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된 증거 자료를 바탕으로 원·하청 간 작업 지시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