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장·필라테스 피해 구제 신청 3년간 4,967건‥서울시 '환불규정' 확인 당부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자료사진 최근 헬스장, 필라테스 등 체육시설 관련 소비자 피해가 늘어나면서, 서울시가 계약 전 반드시 환불 규정과 해지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서울시내 헬스장·필라테스·요가와 같은 실내 체육시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4,967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입니다. 피해구제 신청 이유로는 계약해지와 위약금 등 계약 관련이 97.5%로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최근 체육시설 구독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자동결제 사실을 미고지하는 등 새로운 유형의 피해도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서울시는 체육시설 계약 전 할인 이벤트로 유인하는 장기 다회 계약에 신중해야 한다면서 사업자의 폐업과 연락두절 사태 등에 대비해 20만원 이상 결제 시 가급적 신용카드로 3개월 이상 할부 결제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또 계약 체결 시 사업자와 추가 협의한 내용은 계약서에 기재하고 환급 기준을 확인하고, 비대면 거래로 체결되는 헬스장 ...
기사 본문
체육시설 피해 구제 신청, 최근 3년 동안 4967건 ‘계약 관련’ 97.5%…서울시, 소비자원과 합동조사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30대 남성 A씨는 ‘올해부터 열심히 운동해야겠다’고 마음먹고 지난 1월 헬스장 12개월 이용권을 39만원에 결제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이사로 더 이상 헬스장 사용이 어려워져 계약해지와 환급을 요구했다. 하지만 헬스장 업주는 “이벤트를 통해 특가 회원권을 계약했기에 환급이 불가하다”고 했다. 최근 A씨처럼 헬스장, 필라테스 등 체육시설 이용 계약과 관련한 소비자 피해가 증가하자 서울시가 계약 전 ‘환불 규정’과 ‘계약해지 조건’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실제로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서울시 내 헬스장·필라테스·요가(이하 헬스장 등)와 같은 실내 체육시설과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4967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설별로는 헬스장이 3668건(73.8%)으로 가장 많았고, 필라테스 1022건(20.6%), 요...
기사 본문
구독 서비스 피해 급증 상반기 위법 사업자 69건 적발 2022년부터 지난 6월까지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서울시 내 헬스장·필라테스·요가와 같은 실내 체육시설과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4967건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음/뉴시스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2022년부터 지난 6월까지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서울시 내 헬스장·필라테스·요가 등 실내 체육시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총 4967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 구제 신청은 매년 증가세로, 특히 헬스장 구독서비스 확산으로 자동결제·해지 방해 등 새로운 유형의 피해도 급증했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피해구제 신청을 시설별로 보면 헬스장이 3668건(73.8%)으로 가장 많았고, 필라테스 1022건(20.6%), 요가 277건(5.6%) 순으로 뒤를 이었다. 피해구제 신청 이유는 계약해지·위약금 등 계약 관련이 97.5% (4843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중도해지 시 환급액 산정 기준을 정...
기사 본문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서울국제스포츠레저산업전에서 필라테스 강사들이 직접 시연하고 있다. 뉴스1 [파이낸셜뉴스] 특가·할인이벤트 등으로 헬스장 이용권을 결제한 뒤 '중도해지 불가' 통보를 받는 등의 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계약 전 반드시 ‘환불 규정’과 ‘계약해지 조건’을 꼼꼼히 확인할 것을 당부했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해 6월까지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서울시 내 헬스장·필라테스·요가 등 실내 체육시설과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4967건에 달한다. 시설별로는 헬스장이 3668건(73.8%)으로 가장 많았고, 필라테스 1022건(20.6%), 요가 277건(5.6%) 순이었다. 피해구제 신청 이유는 계약해지·위약금 등 계약 관련이 97.5%(4843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중도해지 시 환급액 산정 기준을 정상가로 할 것인지, 할인가로 할 것인지를 두고 당사자 간 의견 차이가 커 분쟁으로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