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만에 여의도공원 3배 정원 조성… 서울 '5분 정원도시' 눈앞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서울시, 축구장 95개 넓이 68만㎡ 정원 조성 성동구 가로 정원/사진=서울시 서울시는 1007개의 다양한 정원을 조성하는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를 예정보다 1년 앞당겨 조기 완성했다고 20일 밝혔다.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는 시민 누구나 어디서든 정원을 만날 수 있도록 가로변, 유휴지, 하천변, 주택가 안팎 등 서울 도심 곳곳에 정원을 조성하는 '정원도시 서울'의 주요 핵심 사업 중 하나다. 서울시는 "현재까지 선보인 정원은 1010개로 '걸어서 5분 내 정원을 만날 수 있는 서울'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연말까지 140곳을 추가 조성해 목표를 초과(115%)해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로 정원으로 변화한 부지는 모두 68만㎡(약 2만500평)로 여의도공원(23만㎡)의 3배, 국제 규격 축구장(7140㎡) 약 95개에 달하는 크기다. 특히 시멘트 등 인공포장을 제거하고 녹지를 조성하거나 버려진 공간을 정원으로 되살려 새롭게 녹지로 ...
기사 본문
서울시가 주택가 유휴부지를 정원으로 꾸민 마을정원. [사진 서울시] 서울 중구 시청역 주변에서 근무 중인 30대 직장인 A씨는 업무 중 잠시 짬이 날 때면 회사 앞에 조성된 ‘한뼘정원’을 찾는다. 점심시간엔 세종대로를 따라 이어진 사람숲길부터 서울광장숲까지 산책한다. 그런가하면 서울 관악구 신림동에 사는 20대 대학생 B씨는 정원을 따라 통학한다. 집 앞 도덕문화공원에서 출발해 도림천에 있는 매력정원을 지나쳐 관악산 나들목공원, 으뜸공원을 차례로 걷다 보면 학교에 도착한다. 정원을 조성해 달라진 서울시민의 일상이다. 서울시 곳곳에 다양한 정원을 조성하겠다며 서울시가 추진했던 정원 프로젝트가 예정보다 일찍 완성됐다. 목표를 달성한 서울시는 연말까지 추가로 정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매력·동행가든 프로젝트 조기 완성 서울 성동구에 서울시가 설치한 가로정원.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20일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가 목표 완공 시점을 1년 앞당겨 미리 끝났다”고 발표했다. 매력가...
기사 본문
매력가든·동행가든 1010곳 조성 완료 축구장 95개 넓이 68만㎡ 정원 조성 이산화탄소 469톤 줄이는 효과까지 서울 성동구에 조성된 가로정원 [서울시 제공] [헤럴드경제=손인규 기자] 시청역 주변에서 근무 중인 30대 직장인 A씨는 업무 중 잠시 짬이 날 때면 회사 앞에 조성된 ‘한뼘정원’에서 잠시 숨을 고른다. 점심시간에는 세종대로를 따라 이어진 ‘사람숲길’ ‘환구단 정원’ ‘서울광장숲’을 산책하며 녹음을 즐기는 것이 직장생활의 활력소다. 지난해부터 3년간 서울 곳곳에 1010개의 다양한 정원을 조성하는 것으로 골자로 한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가 조기 완성됐다. ‘걸어서 5분 내 정원을 만날 수 있는 서울’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서게 된 것이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140곳을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20일 서울시에 따르면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는 시민 누구나, 어디서든 정원을 만날 수 있도록 가로변, 유휴지, 하천변, 주택가 안팎 등 서울 도심 곳곳에 정원을 조...
기사 본문
매력가든·동행가든 1010곳 조성 완료 '내년까지 1007개 조성' 목표, 1년 앞당겨 축구장 95개 넓이 68만㎡ 규모…이산화탄소 469 t ↓ 일상 속 가로변·공원·하천·산림 등 다양한 정원 체감 [이데일리 남궁민관 기자]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2026년까지 3년간 서울 곳곳 1007개 공원을 조성하겠다는 서울시 ‘매력가든·동행가든 프로젝트’가 1년 앞당겨 조기 완성됐다고 20일 밝혔다. 현재까지 선보인 정원은 1010개로, 연말까지 140곳을 추가 조성해 목표 대비 115%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광진구에 조성한 마을정원.(사진=서울시) 이번 프로젝트는 시민 누구나, 어디서든 정원을 만날 수 있도록 가로변·유휴지·하천변·주택가 안팎 등 서울 도심 곳곳 정원을 조성하는 ‘정원도시 서울’의 주요 핵심 사업 중 하나다. 매력가든 967곳은 가로변·주택가 등에 조성하는 정원이고, 동행가든 43곳은 복지관·병원 등 의료·복지시설에 사회적 약자를 위해 조성되는 곳이다. 이번 프로젝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