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도시공사, 시민의 행복 선도하는 경영 활동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8개
수집 시간: 2025-11-20 12:22:4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매일경제 2025-11-20 09:01:38 oid: 009, aid: 0005593216
기사 본문

품질경영대상 구리도시공사는 20일 '2025년 글로벌스탠더드 경영대상' 시상식에서 품질경영대상을 받았다. 글로벌 스탠더드경영대상은 산업통상부와 기후에너지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이 후원하는 경영 분야 시상제도다. 구리도시공사는 서비스 혁신 부문 산업통산부 장관상, ESG동반성장 대상, 일자리 정책 추진 행정안전부 장관상, 지역사회공헌 대상 수상 등 도시의 가치를 창조하고, 시민의 행복을 선도하는 경영 활동을 지속해서 추진하며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다. 유동혁 구리도시공사 사장은 "품질 부문 대상을 받은 것은 모든 임직원의 노력 덕분"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안전하고 편안한 즐거운 변화, 더 행복한 구리시를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1 2025-11-20 12:00:00 oid: 421, aid: 0008615619
기사 본문

구리 재배 캡슐 단면 등 이미지(한국연구재단 제공) /뉴스1 (대전=뉴스1) 김종서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재우 박사 연구팀이 복잡한 조성의 산업폐수에서 구리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구리를 회수할 수 있는 기존 공정은 고비용·복잡한 조건으로 대규모 적용이 어려웠다. 이로 인해 간단한 공정의 흡착 기반 기술이 주목받았지만, 이 기술 역시 흡착 방식의 용량과 선택성이 낮았다. 표면에서만 금속이 붙는 기존 흡착제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구리 이온이 캡슐 내부로 들어와 머무르고 자랄 수 있는 공간이 필요했다. 이에 연구진은 구리 이온이 2차원 표면에서 3차원 결정으로 자라나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 과정을 그대로 구현하는 '구리 재배 캡슐'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쌀알 크기 캡슐 내부에 3차원 방사형 구조를 다층적으로 배치해 구리 이온이 빠르게 흡착된 뒤 캡슐 안에서 구리 결정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했다. 그 결과 기존 소...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20 12:00:02 oid: 032, aid: 0003410011
기사 본문

KIST, 자원 회수용 3차원 신물질 고안 기존 흡착제보다 성능 2배…수질도 보호 최재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의복 소재로 만든 쌀알 크기 물질을 이용해 공장 폐수에 녹아 있는 구리를 흡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환경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핵심 광물자원을 새로운 방법으로 조달할 길이 열릴 것으로 보인다.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재우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이 공장에서 나오는 폐수에서 구리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흡착제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컴퍼지츠 앤드 하이브리드 머티리얼스’에 실렸다. 연구진에 따르면 반도체나 금속가공 공장 등에서 나오는 폐수에는 구리가 다량 함유돼 있다. 구리는 전자나 에너지 산업에 많이 활용되는데, 특히 최근에는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장비가 널리 보급되면서 경제적 가치가 더욱 높아졌다. 그런데 구리는 세계 경기 흐름에 따라 가격 변동 폭이 크다. 구리를 산업계에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20 12:00:02 oid: 001, aid: 0015753480
기사 본문

연구성과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재우 박사 연구팀이 산업폐수에서 구리를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리 이온이 2차원 표면에서 3차원 결정으로 자라나는 핵심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이 과정을 그대로 구현하는 '구리 재배 캡슐'을 설계했다. 쌀알 크기 캡슐 내부에 3차원 방사형 구조를 다층적으로 배치해 구리 이온이 빠르게 흡착된 뒤 캡슐 안에서 구리 결정으로 성장하도록 유도했다. 이 캡슐은 기존 소재 성능 대비 약 2배 향상된 흡착 용량을 기록했고, 7회 반복 사용 후에도 성능 저하는 6.4% 이내, 50일 연속 운전에서도 구조적·기능적 안정성을 유지함을 확인했다. 이 기술은 복잡한 산업폐수와 전자폐기물에서 구리만을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어 급증하는 구리 수요 속에서 안정적인 자원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산업 현장에서 바로 ...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