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경찰·노동부 오늘 오전 9시부터 압수수색 돌입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HJ중공업 등 6곳 대상 보일러 타워 해제작업 과정 안전조치 등 수사 [앵커] 노동자 7명이 숨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노동부가 관련 업체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 등 6곳이 대상인데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오태인 기자! 언제부터 압수수색에 들어간 겁니까? [기자] 경찰과 노동부는 오늘 오전 9시부터 압수수색에 들어갔습니다. 대상은 해체 공사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와 시공사인 HJ중공업, 발파 작업을 맡은 코리아카코 본사 등 6곳입니다. 압수수색에는 경찰과 근로감독관 등 50여 명이 투입됐습니다. 수사 당국은 이번 압수수색으로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할 예정인데요. 해체작업 과정에서 붕괴 위험 예방에 필요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등을 살펴볼 계획입니다. 또 원청과 하청 사이 작업지시 관계와 ...
기사 본문
지난 18일 수사당국의 합동감식 차량이 울산화력발전소로 진입하고 있는 모습. 뉴스1 노동당국과 경찰이 최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참사와 관련해 20일 시공사 HJ중공업 본사 등 6곳을 동시에 압수수색하며 본격적인 원인 규명에 나섰다. 이번 사고는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가 붕괴하면서 작업자 9명 중 7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중대 재해로, 수사기관은 타워 구조적 결함과 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전반을 규명하기 위한 강제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근로감독관과 수사관 50명을 투입해 HJ중공업 본사와 울산 현장 사무소 등 6개 장소에서 작업지시 문건, 해체 공법 관련 자료, 안전관리 문서 확보 등을 위한 압수수색을 했다. 수사 당국은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문건을 바탕으로 보일러 타워 해체 작업이 시방서와 안전계획서에 따라 진행됐는지,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필수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를 중점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기사 본문
▲ 울산화력 현장 들어서는 합동 감식팀 9명의 사상자를 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HJ중공업 본사 등에 대한 동시다발적인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과 울산경찰청은 오늘(20일) 오전 9시부터 근로감독관과 경찰관 등 약 50명을 투입해 HJ중공업 본사와 울산 사고 현장 사무소 등 6곳을 압수수색 해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수사당국은 확보한 자료를 바탕으로 붕괴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됐는지 등을 살필 계획입니다. 노동부도 원하청 간 작업지시 관계와 안전 관리체계 등을 확인하고 산업안전보건법 및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항이 있는지 확인할 방침입니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의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무너져 노동자 7명이 숨지고 2명이 다쳤습니다. (사진=연합뉴스)
기사 본문
경찰과 고용노동부가 20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인 HJ중공업, 도급사인 코리아카코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다. 울산경찰청 전담수사팀과 부산고용노동청은 이날 오전 9시부터 수사관 50여 명을 투입해 울산 한국동서발전 본사와 HJ중공업 서울 본사, 코리아카코 등 사고 관련 업체 총 6곳을 합동으로 압수 수색을 하고 있다. 경찰 등은 작업 관련 서류와 사고 이력 자료 등 사고 관련 증거를 확보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이번 사고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된 ‘사전 취약화 작업’ 과정에서 부실시공을 지시하거나 묵인한 정황, 공기 단축 압박이 있었는지 등이 핵심 규명 대상이다. 경찰은 확보된 자료를 바탕으로 해체작업 과정에서 붕괴 위험을 예방하는 데 필요한 안전조치가 제대로 이행되었는지 여부 등 혐의를 입증할 물증 등을 자세히 살펴볼 계획이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이번 압수수색으로 확보된 증거자료를 바탕으로 원·하청간 작업지시 관계와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