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위 "서울시, '세운4구역' 합의 무시…영향평가 이행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종묘 앞 고층건물 개발 입장 발표 145m 고층건물에 "이익 편향" 비판 "보존·개발 조화 이룬 대안 찾아야" [이데일리 장병호 기자]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문화유산위)는 세계유산 종묘와 세운4구역 정비계획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서울시가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했다”며 세계유산영향평가 이행을 촉구했다. 지난 12일 서울 종로구 종묘 건너편 세운4구역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달 30일 세운4구역 높이 제한을 최고 71.9m에서 145m로 완화하는 내용의 재정비 계획 결정을 고시했다. (사진=이영훈 기자) 문화유산위는 20일 입장문을 내고 “2018년 세운4구역 사업시행계획 인가는 오랜 시간 논의를 거쳐 도출된 사회적인 합의”라며 “최근 서울시는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세운4구역에 대한 고도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서울시는 국가유산청과의 논의를 거쳐 2018년 세운4구역의 고층건물 높이를 최고 71.9m로 협의했다. 그러나...
기사 본문
종묘 앞 145m 고층건물 개발 입장 발표 "개발 이익에 편향된 자극적 계획안에 개탄" "보존·개발 조화 이룬 최선책 찾아야" 제안 [서울=뉴시스] 조성우 기자 = 세운4구역주민대표회의 관계자들과 토지주들(사진 왼쪽)이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운상가 앞 광장에서 국가유산청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종묘 인근에 초고층 건물을 세우도록 허가하는 서울시 도시 정비 계획에 대해 우려를 표한 것에 대해 반발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11.11. xconfind@newsis.com [서울=뉴시스]이수지 기자 =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위원회가 서울시의 종묘 앞 세운4구역 정비계획에 대해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한 행동"이라며 세계유산영향평가 이행을 촉구했다. 문화유산위는 20일 입장문을 내고 "2018년 세운4구역 사업시행계획 인가는 오랜 시간 논의를 거쳐 도출된 사회적인 합의"라며 "최근 서울시는 기존의 사회적 합의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세운4구역에 대한 고도 상향을 추진하고 있다...
기사 본문
"문화재 매력 더 빛나게" vs "역사적 맥락 단절" 세계유산 취소 가능성? '리버풀 사례' 논쟁 찬성 "강남북 격차 줄이려는 것…균형발전 취지" 반대 "재개발 자체 반대 아냐…'초고층' 당위성 없어" ■ 방송 : JTBC 이가혁 라이브 / 진행 : 이가혁 ■ 저작권은 JTBC 뉴스에 있습니다. 인용보도 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김민석/국무총리 (지난 10일 / 종묘 방문) :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 종묘에서 보는 눈을 가리고 숨을 막히게 하고 기를 누르게 하는…] [이성주/한국고고학회 회장 (지난 12일 / 역사유산 학술단체 공동성명) : 선례가 되어 5대 궁궐과 조선 왕릉 주변도 거대한 콘크리트 숲에 둘러싸일지 모른다는 우려가…] [세운4구역 토지주 (지난 13일 / 기자회견) : 우리 세운 4구역 주민들의 땅을 놓고 정치인들이 정쟁의 판으로 만들어가고 ...
기사 본문
종묘 앞 고층 재개발 논란에 입장 발표…"현재 상황 엄중하게 주시" "세계유산영향평가, 보호-개발 균형점 도출 절차…조속히 이행해야" 종묘 너머로 보이는 세운상가와 재개발 구역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종묘 인근 재개발을 두고 여야가 대립을 이어가고 있는 18일 서울 종로구 종묘 너머로 세운4구역 재개발 지구가 보이고 있다. 2025.11.18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서울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서울 종묘(宗廟) 맞은편에 고층 건물 재개발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문화유산위원회가 "사회적 합의를 무시한 행동"이라며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문화유산위원회 산하 8개 분과 위원장은 20일 언론에 배포한 입장문을 통해 "최근 종묘 앞 세운4구역에서 이뤄지는 개발 계획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을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다"고 밝혔다. 문화유산위원회는 국가유산청의 비상근 자문기구다. 국보, 보물과 같은 국가유산 지정과 해제, 보호구역 지정·해제,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