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급식·돌봄 비정규직 총파업…“간편식·돌봄 제공”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오늘(20일)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학교 급식과 돌봄 업무 분야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연대회의)는 오늘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지역 학교 비정규직 조합원들이 총파업을 한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교육부와 17개 시도 교육청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와 집단 임금 교섭을 진행했지만,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했습니다. 특히 핵심 쟁점인 기본급 인상, 방학 중 무임금 해소, 공무직 대비 복지 차별 문제 등에 대해 여전히 이견이 큰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교육 당국은 이번 파업으로 학교 운영에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고, 비상상황실을 운영하는 등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섰습니다. 급식 분야의 차질에 대해서는 학교별로 급식 식단을 조정하거나 빵과 우유 등 대체식 등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 돌봄 분야에서는 대체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당일 돌봄이 정상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입니다. 이번 파업은 권역별로 하루씩 이어지는 릴...
기사 본문
20일 서울과 세종 등 5개 시·도에서 학교 비정규직 총파업이 진행하면서 급식실과 돌봄교실이 운영을 축소하거나 문을 닫았다. 급식이 중단된 학교들은 점심으로 대체식을 지급했지만, 일부 학교에선 식단이 부실해 학부모들은 아침 일찍부터 도시락 준비에 나섰다. 돌봄교실도 문을 닫는 학교에선 자녀를 일찍 하교시키기 위해 학부모가 반차를 낸 경우도 많았다. 교육부 등에 따르면 이날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5개 지역에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학비연대) 소속 노동자들이 파업에 돌입했다. 학비연대는 급식·돌봄 노동자 등 학교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10만명이 소속된 조직으로, 교육 당국과의 집단임금교섭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이날부터 4일간의 릴레이 총파업을 예고했다. 지난 2024년 12월 학교 비정규직 파업으로 급식실이 문을 닫자 경남의 한 초등학생이 점심으로 빵을 먹고 있다. 연합뉴스 파업은 17개 시·도에서 각 하루씩 총 4일간 진행된다. 이튿날인 21일에는 ▲광주 ▲전남 ▲전...
기사 본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오늘부터 총파업 시작 전국 4개 권역으로 나눠 릴레이 파업 진행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지역 오늘 파업 [앵커] 학교에서 급식이나 돌봄을 담당하는 노동자들이 주축을 이룬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처우 개선 등을 요구하며 오늘부터 총파업을 시작합니다. 다음 달 초까지 전국 권역별로 4차례 파업이 예정돼 있는데, 다음 주쯤 교육 당국과 추가 교섭이 이뤄질 가능성도 남아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김주영 기자! 오늘부터 파업이 시작되죠? [기자] 학교 급식이나 돌봄을 담당하는 노동자 10만 명이 소속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오늘부터 총파업에 들어갑니다. 전국을 4개 권역으로 나눠 오늘과 내일, 다음 달 4~5일 각각 릴레이 파업을 진행하는 건데요. 오늘은 서울, 인천, 강원, 세종, 충북 지역 노동자들이 파업을 벌일 예정입니다. 해당 지역 학교들 가운데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하는 곳에서는 급식과 돌봄에 공백이 불가피한데요. 교육부와 각 지역...
기사 본문
수도권·강원 등 시작으로 호남·영남 등에서 하루씩 이어갈 계획…4만 참여 예상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20일 권역별 릴레이 파업을 시작했다. 주요 요구사항은 임금인상, 방학 중 생계대책 마련 등이다.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국여성노동조합,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이 모인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서울·인천·강원·세종·충북 소속 조합원은 이날 하루 파업에 나선다. 이어 21일 광주·전남·전북·제주, 다음달 4일 경기·대전·충남, 5일 경남·경북·대구·부산·울산에서 파업을 할 계획이다. 각 파업일에 국회 앞 결의대회도 예정돼 있다. 연대회의에는 경비·급식·돌봄·청소 등 직종에서 일하는 조합원 약 10만 명이 가입해 있으며, 이번 파업에는 약 4만 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대회의의 주요 요구는 △최저임금 이상 기본급 지급 △중앙행정기관·지방자치자치단체 공무원·공무직과 동일한 기본급 120% 명절휴가비 지급 △방학 중 무임금 관련 생계대책 마련 △학교급식실 고강도 위험노동 대책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