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거제 남부 섬서 열대·아열대 곤충 발견…기후변화 주목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호남권생물자원관, 섬 지역 미기록 곤충 45종 찾아내 제주도에서 발견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목포=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지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생물자원관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발견되는 등 우리나라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뚜렷한 온대 기후에 속하기 때문에 저위도의 더운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발견되는 현상은 기후변화의 환...
기사 본문
핵심요약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섬 지역 미기록종 곤충 45종 발견 25종이 열대·아열대성…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주로 인도에 분포하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Euploea eunice)가 거제도에서 발견됐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 국내 섬 지역 미기록종 곤충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의 영향을 가늠하는 환경지표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2021~2024년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자원관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이다.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
기사 본문
제주도에서 발견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 지난 4년간 국내 섬에서 처음 발견된 곤충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곤충뿐 아니라 바다에서도 이전에 볼 수 없던 아열대성 어종이 늘고 있어, 이상기후로 인한 기온·수온 상승이 생태계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일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공개한 ‘2021~2024년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결과를 보면, 지난 4년간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은 총 45종이다. 미기록종은 특정 지역(국가·섬·해역 등)에서 처음 발견된 생물을 뜻한다. 이전에는 해당 지역에서 존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거나 보고된 적이 없는 종이다. 국내 섬 지역에서 새로 발견한 곤충 45종 중 25종(55%)은 열대·아열대성 곤충이었다.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확인됐다.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의 해외 분포도.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제공 새로 발견된 열대·아열대...
기사 본문
애니멀피플 미기록종 45종 가운데 25종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45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푸른줄까마귀왕나비. 위키미디어코먼스 국내 섬 지역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45종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지난 2021~2024년 남해안과 중·남부 서해안, 동해안 섬에서 ‘섬·연안 생물 자원 조사·발굴 연구’를 진행한 결과, 국내 미기록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이를 분석한 결과, 미기록종의 55.5%인 25종은 열대·아열대성 곤충으로, 나머지는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밝혀졌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에 주로 분포하는 종들로,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이,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 등이 발견됐다. ...
기사 본문
기후변화 영향 가늠하는 환경지표로 주목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국내 섬 지역에서 새롭게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의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의 해외 분포도. 색이 진할수록 많은 종이 분포하고 있다.(사진=기후부)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19일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연구진이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이고,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인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와 인도처럼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관찰되는 등 우리나라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
기사 본문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미기록 곤충 45종 확인 55.5%가 열대·아열대성…나머지는 온대·냉대성 열대·아열대성 미기록종 ‘큰머리개나무좀’이 발견된 가거도. 사진은 기사의 특정 사실과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기후변화의 속도는 우리가 예상하는 것보다 훨씬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제 국내 섬 생태계에서도 열대·아열대 곤충이 속속 등장하며 변화의 현장이 뚜렷하게 포착되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19일 밝혔다. 이 가운데 55.5%에 해당하는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으로 확인됐다.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이었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실제로 제주도에서는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확인되...
기사 본문
제주·거제 등 남부 섬 중심 출현…기후변화 지표로 주목 18종 국가생물종목록 등재…섬 지역 생물상 변화 조사 섬에서 발견된 미기록종 곤충의 해외 분포도. ⓒ기후에너지환경부 [데일리안 = 김소희 기자]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섬·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를 통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진 분석 결과, 이들 미기록종 중 55.5%인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곤충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이었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와 인도 등 적도 인근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이다. 제주도에서는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 거제도에서는 푸른줄까마귀왕나비 등 5종이 발견되는 등 우리나라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출현했다. 우리나라는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큰 온대 기후권에 속한다. 이 때문에 저위도 더운 지역에서 서식하는 생물이 국내에서 발견되...
기사 본문
미기록종 45종 중 25종이 열대·아열대성, 기후변화 환경지표 주목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이 발견한 미기록종 곤충인 열대·아열대성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남해안 섬 지역 국내 미기록종 곤충의 절반 이상이 열대·아열대성 곤충들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환경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기후에너지환경부 산하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섬과 연안 생물자원 조사·발굴 연구’ 등을 통해 섬 지역에서 국내 미기록종 곤충 45종을 찾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진이 이들 미기록종을 분석한 결과, 55.5%인 25종이 열대와 아열대성 곤충이며 나머지 20종은 온대·냉대성 곤충으로 나타났다. 이번에 확인된 열대·아열대성 곤충들은 일본 오키나와와 인도 등 적도와 가까운 저위도 지역에서 주로 분포하는 종들로 확인됐다. 제주도에서 ‘닮은모래가는납작벌레’ 등 6종과 거제도에서 ‘푸른줄까마귀왕나비’를 포함한 5종이 발견되는 등 남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발견됐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뚜렷한 온대기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