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1만5000원 철판 오징어"… 제주 '바가지 논란' 또 터졌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서귀포 관광명소 올레시장서 바가지 제보 "관광객 많은 곳에서 양심 팔며 장사해" 제주에서 관광객을 상대로 '부실 먹거리' 판매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서귀포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보배드림 인스타그램 캡처 제주 시장에서 가격에 비해 터무니없이 양이 적은 오징어 요리가 판매돼 바가지 논란에 휩싸였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여행객 A씨가 서귀포시 최대 전통시장이자 관광명소인 올레시장 상점에서 철판오징어를 구입한 경험담이 제보 형식으로 올라왔다. 1만5,000원을 치르고 중짜를 구입했는데 포장용 종이상자의 절반도 못 채운 음식이 제공됐다는 내용이다. 공개된 사진에는 상자 바닥이 훤히 보일 정도로 적은 오징어와 마요네즈 소스가 담겨 있다. A씨는 "손님 앞에서 불쇼를 하며 시선을 사로잡고 시끄럽게 장사하고는 이렇게 (내용물을) 빼돌린다"며 "관광객이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먹다 찍은 게 아니고 숙소에...
기사 본문
올레시장 여행객 제보 확산…'바가지논란' 비판 순대볶음·부실김밥 이어 흑돼지까지 논란 계속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 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지나치게 적다는 소비자 제보가 확산하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제주 올레시장에서 '바가지 논란'에 휩싸인 철판오징어의 사진. 보배드림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제주 올레시장에서 철판 오징어 중자를 주문했는데 양이 터무니없이 적었다"는 여행객 A씨는 "중자 가격이 1만5000원이나 됐는데 실제로 받아보니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지라고 해도 이건 너무 양심이 없는 장사"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그는 "앞에서 불쇼를 하며 시선을 끌더니 시끄럽게 장사하더라. 혹시 그사이에 (내용물을) 빼돌린 건지 모르겠다"며 "이렇게 관광객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하는 게 이해가 안 된다"고 비판했다. A씨는 "먹다 남긴 게 아니라 숙소에 와서 포장을 열어봤을...
기사 본문
[출처=온라인커뮤니티 '보배드림'] '부실 음식' 논란으로 바가지 여행지 오명을 썼던 제주도가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적다는 여행객의 제보가 퍼지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진 것입니다. 20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 올레시장 철판 오징어가 바가지였다는 글이 올라왔습니다. 작성자 A씨는 만 5천 원짜리 철판 오징어를 주문했지만 양이 터무니없이 적었다고 주장하며 촬영한 사진을 올렸습니다. 그는 "불 쇼로 시선을 끌며 시끄럽게 장사하던데, 막상 받아보니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객이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이어 "숙소에서 열어본 그대로의 상태다. 다른 분들은 꼭 앞에서 확인하라"고 당부했습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에는 종이상자 한쪽에 마요네즈 자국과 오징어 다리 몇 개만 담긴 모습이 찍혀 있었습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몸통은 다 어디 갔냐", "영화관 오징어보다도 양이 적...
기사 본문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한 철판오징어 중(中)자 모습.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캡처] [헤럴드경제=나은정 기자] 제주 유명 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터무니 없이 적었다는 주장이 제기돼 또다시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20일 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에는 제주 올레시장을 찾은 한 여행객의 제보가 올라왔다. 제보자 A씨는 “올레시장 내 철판오징어 파는 곳인데 양이 터무니없이 적다”며 상자에 포장된 철판오징어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오징어 다리 몇 개와 몸통 일부, 소량의 마요네스 소스가 용기 구분 없이 담겨져 있는 모습이 담겼다. A씨는 “먹다 찍은 것 아니고 숙소 와서 열어보니 양이 이렇게 적다”면서 “중(中)자 1만5000원인데,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불쇼하면서 시선을 사로잡고 시끄럽게 장사하는데 이렇게 빼돌린다”며 “관광객 많은 곳인데 양심을 팔며 장사를 한다. 다시는 안 갈 것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다른 분들은 받...
기사 본문
관광객 "불쇼로 시선 끌더니 내용물은 반토막" 출처=온라인커뮤니티 '보배드림'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적다는 여행객의 제보가 퍼지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일부는 "양심 없는 장사"라며 비난했지만, "관광지 물가면 그럴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오며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20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 올레시장 철판오징어, 중자 1만5000원에 '반만 담긴 양' 논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최근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 내 한 상점에서 철판오징어 중자 메뉴를 주문했다가 "가격에 비해 양이 터무니없이 적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불 쇼로 시선을 끌며 시끄럽게 장사하던데, 막상 받아보니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객이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숙소에서 열어본 그대로의 상태다. 다른 분들은 꼭 앞에서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A씨가 공개한 사진에는 종이상자 한쪽에 마요네즈 자국...
기사 본문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적다는 여행객의 제보가 퍼지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불거졌다.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적다는 여행객의 제보가 퍼지며 또 한 번 '바가지 논란'이 일었다. 사진은 해당 오징어.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 올레시장 철판오징어, 中자 1만5000원에 반만 담긴 양 논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작성자 A씨는 최근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 내 한 상점에서 철판오징어 중자 메뉴를 주문했다가 가격에 비해 양이 터무니없이 적었다고 주장했다. 공개된 사진에는 종이상자 한쪽에 오징어 다리 몇 개와 마요네즈 자국만 남아 있는 모습이 담겨 있었다. 이에 대해 A씨는 "불 쇼로 시선을 끌며 장사하길래 기대했는데 막상 받아보니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았다"며 "관광객이 많은 곳에서 양심을 팔며 장사하는 느낌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어 "숙소에서 열어본 그대로의 상태다. 다른 ...
기사 본문
제주 서귀포시를 찾은 관광객이 올레시장 한 점포에서 철판오징어를 구매한 것을 두고 부실 먹거리 논란이 일었다. 사진은 한 관광객이 제주 올레시장에서 구매한 철판 오징어 모습. /사진=온라인커뮤니티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 오징어를 두고 부실 먹거리 논란이 일었다. 20일 온라인커뮤니티에는 '제주 올레시장 철판 오징어, 중자 1만5000원에 '반만 담긴 양' 논란'이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글에 따르면 글쓴이 A씨는 최근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 내 한 가게에서 철판 오징어 중자 메뉴를 주문했다. A씨는 "양이 터무니없이 작았다. 중자 1만5000원이었다. 먹다 찍은 거 아니고 숙소 와서 열어보니 양이 이렇게 적다"며 사진을 공개했다. 그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포장 종이 상자 한쪽에 마요네즈로 보이는 소스가 묻어 있고 한쪽에 오징어가 놓인 모습이다. 대부분 오징어 다리였다. A씨는 "불 쇼하면서 시선을 사로잡고 시끄럽게 장사하던데 이렇게 빼돌린다. 오징어를 반만 준 것 같다"며...
기사 본문
올레시장 방문한 여행객 "1만5천원 가격에 반만 준 것 같은 양" (보배드림 갈무리) (서울=뉴스1) 김학진 기자 "제주는 자고 일어나면 또 새로운 먹거리 문젯거리가…" 제주 올레시장에서 판매된 철판오징어가 가격에 비해 양이 터무니없이 적다는 소비자의 제보가 퍼지며 또 한 번 '가격 논란'에 휩싸였다. 한 시민은 제주도가 삼다도인 이유는 "중국인, 바가지, 비계 돼지" 때문이라는 우스꽝스러운 푸념을 하기도 했다. 20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따르면 여행객 A 씨는 최근 제주 서귀포시 올레시장 내 한 상점에서 철판오징어 중자 메뉴를 구입했다가 황당한 일을 겪었다. A 씨는 "중자 가격이 1만 5000원이나 됐는데, 실제로 받아보니 반만 준 것 같았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소자보다도 적은 양의 음식을 받은 A 씨는 아무리 관광지일지라도 너무 양심 없는 장사라고 생각하며 매우 기분이 얹짢아졌던 것이다. 이어 "앞에서 불쇼를 하며 시선을 끌더니 시끄럽게 장사하며 실상 (내용물을) 빼돌린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