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도 칸트 지문’ 수능 국어 17번, 포스텍 철학교수 “정답 없어”

2025년 11월 20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2개
수집 시간: 2025-11-20 03:40:41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경향신문 2025-11-19 17:08:01 oid: 032, aid: 0003409837
기사 본문

이충형 교수, 문제 풀이에 이의 제기 국어강사 이해황씨도 동일한 주장 평가원, 이의신청 거쳐 25일 최종정답 발표 수능 국어 14~17번 문항 지문. 평가원 제공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17번 문항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 철학과 교수의 주장이 나왔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의 신청 심사를 거쳐 이달 25일 최종정답을 발표할 예정이다. 19일 취재를 종합하면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는 온라인 수험생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서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보았다”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했다. 국어 17번 문항은 임마누엘 칸트 등 철학자들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가 담긴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였다. 수능이 끝난 직후부터 수험생들 사이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꼽혔다. 해당 문항은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하면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적절하게 이해한 선지...

전체 기사 읽기

서울신문 2025-11-19 20:26:15 oid: 081, aid: 0003593569
기사 본문

어려운 수능 지문에 갑론을박 수능 국어 영역 17번 독해 지문 칸트 ‘인격 동일성’ 담은 문항서 포스텍 교수 “정답 없어” 주장 “지문 논리로 도출 가능” 반론도 문제·정답 이의신청 675건 접수 평가원, 25일 과목별 정답 공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에서 출제된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에 대한 지문과 관련한 17번 문항. ‘인격 동일성’에 대한 견해를 이해하고 풀어야 하는 문제로, EBS 및 여러 입시 업체가 고난도로 꼽았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공 독일 철학자 이마누엘 칸트에 관한 지문이 제시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17번 문항에 대해 ‘정답이 없다’는 철학과 교수의 주장이 나왔다. 복잡한 개념과 논증이 사용돼 고교생이 풀기 어려운 데다 오류도 있다는 것이다. 학원가에선 출제 오류 판단이 나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지만, 일각에선 변별력을 위해 수능에서 너무 어려운 문항을 출제한 데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온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9 16:20:11 oid: 028, aid: 0002777262
기사 본문

“퍼즐 풀이 방식, 교육 목적 부합하나” 이의제기 받아들여질 확률은 낮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17번 지문과 문항.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갈무리 이번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꼽힌 국어 영역 17번에 정답이 없다는 철학 전공 교수의 주장이 제기됐다.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과학철학 전공)는 19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전공자지만 지문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만 20분 걸렸다”며 “피상적인 유사성을 인간보다 빨리 찾아내는 인공지능이 있는 시대에, 이런 단편적인 퍼즐 풀이 같은 방식으로 학생들에게 문제를 풀라고 요구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냐는 질문을 던지고 싶었다”고 했다. 이 교수는 최근 치러진 수능 국어 문제에 오류가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공개적으로 펼친 바 있다. 앞서 이 교수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 게시판에 올린 글에서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봤다. 17번 문항에 답이...

전체 기사 읽기

이데일리 2025-11-19 16:42:07 oid: 018, aid: 0006167885
기사 본문

수능 국어 17번, 칸트 '인격 동일성' 개념 담겨 이충형 교수, 수험생 커뮤니티서 "3번 답 안 돼" "'a=b고 a가 C면, b도 C다' 풀이는 잘못된 내용"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 17번에 대해 “답이 없어 보였다”고 전했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17번 문항. (사진=한국교육과정평가원) 독해·논리 유명 강사인 이해황씨는 지난 18일 한 수험생 커뮤니티에 ‘26수능 국어 17번 이의제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올해 수능 국어 17번에 대한 이충형 교수님 의견을 제가 대신 올린다”며 이 교수의 생각이 담긴 PDF 파일을 함께 공유했다. 해당 파일에서 이 교수는 자신을 “포스텍에서 철학을 가르치고 있는 이충형”이라고 소개한 뒤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보았다”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3번이 답이 되지 않는다고...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