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2년 10개월만에 야생조류 고병원성AI 확진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서울시는 최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최종 확진됐다고 19일 밝혔다.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큰기러기는 지난 13일 시민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시는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15일 H5항원이 검출됐고, 18일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다. 이에 따라 시는 발견 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해 소독과 예찰을 강화했다. 또 검출지점으로부터 반경 10㎞이내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하고 예찰지역 내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한 예찰 및 방역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고병원성으로 확진됨에 따라 예찰지역 내 사육하는 가금류에 대해 이동제한 명령을 내렸다. 이동제한은 시료 채취일로부터 21일 지난 후 임상 및 정밀검사 결과에서 이상이 없을 경우 해제할 예정이다. 서울의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것은 2023년 1월 이후 2년 10개월만이다.
기사 본문
반경 10㎞ 예찰지역 지정…가금류 이동 제한 명령 야생조수류 예찰지역(검출 장소 반경 10㎞ 내)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서울시는 최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조류(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최종 확진됐다고 19일 밝혔다. 서울의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것은 2023년 1월 이후 2년 10개월 만이다.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큰기러기는 지난 13일 시민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이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15일 H5항원이 검출됐으며, 18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다. 이에 따라 시는 발견 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해 소독과 예찰을 강화한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부터 의심 신고를 받은 즉시 서대문구와 협조해 검출지점에 대한 소독을 실시했으며, H5항원 검출이 확인된 후에는 검출지점 주변에 차단구역을...
기사 본문
2년 10개월 만에 서울서 다시 발생 18개 자치구 예찰지역으로 지정·관리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서울시가 최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조류(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최종 확정됐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AI 확산을 막기 위해 발견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의 소독과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조류인플루엔자 대응수칙(사진=서울시)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13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큰기러기는 시민 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를 받다가 폐사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15일 해당 폐사체에서 H5항원이 검출됐고, 전날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다. 시는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부터 의심 신고를 받은 직후 서대문구와 협조해 검출지점을 소독했다. H5항원 검출이 확인된 뒤 검출지점 주변에 차단구역을 설정해 소독과 통제를 강화했다. 인체감염을 막기 위해 폐사체와 접촉한 신고·이송·검사자의 정보를 감염병관리과에 전달하...
기사 본문
서대문구서 큰기러기 발견…고병원성 AI 확진 검출지역 출입 통제 및 서식지 소독·예찰 강화 [서울=뉴시스] [서울=뉴시스] 이재은 기자 = 서울시가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조류(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최종 확진됨에 따라 발견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한 소독과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매년 10월부터 2월까지 특별방역대책기간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난달 27일 고병원성 AI 위기단계 전국 '심각' 단계 상향에 따라 가축방역 상황실을 방역대책본부로 상향하고, 자치구·유관기관과 함께 비상연락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큰기러기는 지난 13일 시민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지난 15일 H5항원이 검출, 18일에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다. 시는 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부터 의심신고를 접수받은 즉시 서대문구와...
기사 본문
반경 10㎞지역에 대해 예찰지역 지정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함) 2024.10.21/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서울시는 지난 13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조류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18일 최종 확진됨에 따라 발견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해 소독과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큰기러기는 13일 시민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이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지난 15일 H5항원이 검출, 18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다. 서울시는 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부터 의심 신고를 접수받은 즉시 서대문구와 협조하여 검출지점에 대한 소독을 실시했으며, H5항원 검출이 확인된 후 검출지점 주변에 차단구역을 설정하고 소독 및 통제를 강화했다. 또 검출지점으로부터 반경 10㎞ 이내를 '야생조수류 예찰지역'으로 설정...
기사 본문
[뉴스데스크] ◀ 앵커 ▶ 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전국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잇따라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도 2년 10개월 만에 폐사된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가 확진됐습니다. 김은초 기자입니다. ◀ 리포트 ▶ 하얀 방역복을 입은 요원이 온몸에 소독제를 뿌립니다. 농가 안에서는 방역 요원들이 분주하게 오가며 소독 작업을 벌입니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가 확진된 영동의 한 오리 농가입니다. "농가 앞에는 이렇게 바리케이드를 세워두고 출입을 통제 중이고요. 지금도 안에서는 방역 작업이 한창 이뤄지고 있습니다." "오리가 사료를 잘 먹지 않고 산란율도 떨어진다"는 의심 신고를 받고 검사한 결과, 폐사율이 높은 고병원성 AI로 최종 확인됐습니다. [방역요원] "장비가 나오면 장비 바퀴나 (굴착기) 포크 같은 것 소독하고, 왔다 갔다 하니까 도로 방역 한 번씩 하고‥" 이번 겨울 충북의 가금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건 처음으로, 전국 기준으로는 6번째입니다...
기사 본문
야생조수류 예찰지역(검출 장소 반경 10㎞ 내)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최근 서대문구에서 발견된 야생조류(큰기러기) 폐사체에서 고병원성 AI(H5N1형)가 최종 확진됐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서울의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것은 2023년 1월 이후 2년 10개월 만입니다. 고병원성 AI가 검출된 큰기러기는 지난 13일 시민신고로 구조돼 서울시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에서 치료 중 신경증상을 보이다 폐사했습니다. 이후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한 결과 15일 H5항원이 검출됐으며, 18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최종 확진됐습니다. 이에 따라 시는 발견 지점을 포함한 야생조류 서식지에 대해 소독과 예찰을 강화했습니다. 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로부터 의심 신고를 받은 즉시 서대문구와 협조해 검출지점에 대한 소독을 실시했으며, H5항원 검출이 확인된 후에는 검출지점 주변에 차단구역을 설정하고 소독·통제를 강화했습니다. 또 검출지점으로부터 반경 10㎞ 이내를 '야생조수류 예...
기사 본문
전북 익산 하림 본사 등 찾아 주인의식 발휘해 자율 방역 당부 농림축산검역본부 관계자들이 17일 전북 익산 하림 본사에서 전북지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관리 추진 현황을 살피고 있다. 농림축산검역본부 농림축산검역본부는 17일 전북지역 가금 관련 기업과 지방자치단체 거점 소독시설을 찾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방역관리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검역본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고병원성 AI는 국내 가금농장에서 9월12일 이후 5건 발생했고, 야생조류에서는 8건 검출됐다. 또한 최근 전북 지역 야생조류와 부안 육용오리농장에서 H5형 AI 항원이 검출되며 추가 발생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검역본부는 전북 익산에 있는 가금 계열화업체 하림 본사를 방문해 계열농장에 대한 하림의 자체 AI 방역관리 추진 실태를 살피고 민간 거점소독시설 운영 상황 등을 확인했다. 하림 관계자는 “계열농장 방역 교육과 예찰, 소독, 차단방역 실태점검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계열사 자체 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