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대응' 산림청,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열흘 앞당겨 운영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 24시간 가동 [산림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산림청은 가을철 산불 발생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20일부터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가을철은 단풍 관람, 등산객 증가 등으로 산행 인구가 많아 산불 발생 위험이 커지는 시기로, 최근 10년간 가을철 산불조심기간(11월 1일부터 12월 15일) 연평균 39.4건의 산불과 13.9㏊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올해는 경주 APEC 정상회의(10월 27일∼11월 1일) 개최에 맞춰 산불 대비 태세 확립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을 당초 11월 1일에서 이날부터로 앞당겨 운영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241개 기관에 약 1천600명의 신속대응반을 편성하는 한편, 야간산불 진화 헬기를 통해 24시간 산불 대응 능력을 유지할 계획이다.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도 24시간 가동된다. 불법소각으로 발생하는 산불을 근절하기 위해 영농부산물에 대한...
기사 본문
▲ 춘천 서면도로에 산불조심 현수막이 걸려 있다. 강원도민일보 자료사진 국립공원공단(이사장 주대영)은 20일부터 12월 15일까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정하고 24시간 비상 대응체계에 돌입한다. 이에 11월 15일부터 12월 15일까지 국립공원 일부 탐방로를 통제한다. 전면 통제구간은 지리산 거림~세석평전 등 115곳(408㎞)이며 부분 통제 구간은 32곳(177㎞)이다. 나머지 511곳(1370㎞)은 평상시와 같이 개방된다. 최근 10년간 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산불은 총 84건으로, 85%가 입산자와 지역주민의 실화에 의해 발생했다. 이에 공단은 탐방객의 샛길 이용 패턴을 분석해 흡연, 취사, 소각행위 등 불법행위 단속과 순찰을 강화한다. 출입 금지 위반 시 최대 50만원, 흡연 및 인화물질 소지시 최대 200만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한다. 공단은 올해 산불 감시 강화를 위해 AI 기술을 탑재한 산불감시 CCTV를 기존보다 29대 추가 설치해 운영한다. 또 산불 취약시간과 구간에는 감...
기사 본문
- 2022년부터 올 9월까지 발생한 산불 2028건으로, 피해 면적 13.4 ah, 피해액 8.3조원, 사망 37명·부상 164명 - 산불 발생원인, 입산자 실화가 전체 산불 발생 건 중 517건(25.5%)으로 가장 많아, 대다수 산불 원인은 인재 [헤럴드경제= 이권형기자] 최근 산불피해 면적이 크게 늘고 있으나 산림 복구는 좀처럼 더딘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고창군)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산불 발생 및 피해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부터 올 9월까지 발생한 산불은 총 2028건으로 이에 따른 사망자는 37명, 부상자는 164명으로 집계됐다. 산불로 인한 피해 면적은 13만, 4932ha, 피해액은 무려 8조 3414억원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1~9월)의 경우, 경북 지역의 초대형 산불 등의 영향으로 산불 피해 면적은 10만 5011ha, 피해액은 6700억원에 달했다. 이는 ...
기사 본문
내년 5월까지 산불대책본부 운영 산불 예방·감시 체계 전면 강화 불법 소각 시 과태료·처벌 경고 산불예방 국민행동 요령 포스터.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20일부터 내년 5월 15일까지를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해 산불 예방 및 초동 진화 강화를 위한 비상 근무 체제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도는 기후 변화로 인한 고온 ·건조한 날씨로 산불 발생이 연중화, 대형화됨에 따라 경남 지역 실정에 맞는 ‘산불방지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산불 감시카메라 등 첨단장비를 활용한 실시간 감시 체계를 강화해 산불 발생 우려가 높은 지역에 대한 순찰 및 계도 활동을 확대한다. 산불조심 기간 중 산불 발생이 집중되는 3~4월과 명절 연휴, 청명‧한식 등에는 산불 특별대책 기간을 운영하고, 입산통제 구역 지정 및 등산로 폐쇄로 산불 발생 사전 예방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또 시·군에는 산불 감시원과 산불 전문 예방진화대 2,980여 명을 산불 위험이 높은 취약 지역에 집중적으로 배치해 산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