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 경남 유일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내년부터 2년간 주민 월 15만 원 지급 농식품부 소멸 위기 농어촌 공익적 보상 경남도 지방 재정 부담에 비율 인상 건의 남해군청 전경. [서울경제] 남해군이 경상남도에서 유일하게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지자체로 선정됐다. 20일 농림축산식품부는 ‘2026~2027년도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 결과 전국 7개 군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남해군과 함께 경기 연천·강원 정선·충남 청양·전북 순창·전남 신안·경북 영양군이 포함됐다. 시범사업 지역 주민은 내년부터 2년간 월 15만 원 상당 지역사랑상품권을 받는다. 농식품부는 농어촌 기본소득을 두고 “열악한 여건에서도 소멸 위험이 큰 농어촌 지역에 남아 지역 지킴이 역할을 해온 지역주민의 공익적 기여 행위에 대한 보상이자 소비 지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마중물 역할을 하는 체감 가능한 정책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인구감소지역 69개 군을 대상으로 공모가 진행됐는데, 49개 군(71%)이 신청했다. 경남에서는 남해·거창·함양군이...
기사 본문
전북도청 전경. /전북도 전북도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서 순창군이 최종 선정됐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공모는 농식품부가 지난 13일 전국 인구감소지역 69개 가운데 전북 7개 군을 포함해 10개 광역시·도 49개 군으로부터 신청받아 받았다. 이에 16일 1차 서류심사에서 순창, 진안, 장수 등 3개 군을 포함한 12개 군이 통과했고, 다음날 발표 평가를 거쳐 이날 최종 7개 군으로 압축됐다. 공모 사업지로 선정된 순창군은 국비 389억 원을 포함한 총 973억 원을 투입해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간 주민들에게 매월 15만 원씩 지역화폐로 지급하게 된다. 이 같은 결과의 배경에는 도가 국가사업 이전부터 도 자체 시범사업을 기획·준비하며 농어촌기본소득에 대한 공감대와 추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져온 점이 주효한 것으로 풀이된다. 신청 지자체를 대상으로 전북연구원과 함께 사전 컨설팅을 실시하며,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기본소득 연계형 순환경제 체계...
기사 본문
[김대광 영남본부 기자 sisa524@sisajournal.com] 내년부터 전 군민에 월 15만원 지역상품권 지급 2년간 총 사업비 1400억…3800억 생산유발효과 기대 장충남 남해군수가 20일 오후 2시 군청 대회의실에서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최종 선정에 대해 이 사업의 효과·성과에 대헤 설명하고 있다. ⓒ시사저널 김대광 경남 남해군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추진하는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지자체로 최종 선정됐다. 장충남 남해군수는 20일 오후 2시 군청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군민 모두가 함께 누리는 기본소득을 통해 지역경제의 활력을 되찾고 사람이 머무는 지속가능한 농어촌의 모델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전 군민 기본소득 실현을 앞둔 남해군은 농어촌 인구소멸 위기를 극복할 새로운 성장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각오다. 이번 선정으로 남해군은 2026년부터 2027년까지 2년간, 전 군민에게 매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
기사 본문
농식품부, 20일 전국 7개군 발표 ... 2026~2027년 군민 1인당 15만원 상당 상품권 받아 ▲ 남해군 농어촌기본소득 추진연대, 9월 29일 오전 남해유배문학관 앞 '농어촌기본소득 시범사업 유치를 위한 남해군 군민대회' ⓒ 남해군청 농림추산식품부가 벌이는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에 경남 남해군을 비롯한 전국 7개 군이 선정되었고, 경남도는 환영하면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2026~2027년도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공모 결과, 경기 연천·강원 정선·충남 청양·전북 순창·전남 신안·경북 영양·경남 남해군을 선정하였다고 20일 발표했다. 시범사업은 2년간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 월 15만 원 상당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농식품부는 "열악한 여건에서도 소멸 위험이 큰 농어촌 지역에 남아 지역 지킴이 역할을 해온 해당 지역주민의 공익적 기여 행위에 대한 보상이자, 소비지출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마중물 역할을 하는 체감 가능한 정책 수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