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국제 탈석탄동맹 공식 가입…김성환 "기후위기 대응, 인류 공동과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기후에너지환경부는 브라질 벨렝에서 열리고 있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국제사회에 발표하고, 탈석탄 이행을 위한 국제 연대인 '탈석탄동맹(PPCA)' 가입을 선언했다고 18일 밝혔다. 김성환 기후부 장관은 이날 브라질 현지에서 열린 고위급 회의에서 우리나라의 2035년 NDC를 2018년 배출량 대비 53~61% 감축으로 설정해 국제사회에 공식 표명했다. 이는 2050년 탄소중립 이행을 위한 중장기 목표를 명확히 하고, 탈탄소 녹색전환 정책을 본격화하겠다는 정부 의지를 담은 조치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전 지구적 복합 위기 상황 속에서 다자주의에 기반한 대응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브라질 토착어에서 유래한 '공동 협력'을 의미하는 글로벌 무치랑 정신을 국제사회가 함께 실천할 것을 촉구했다. 아침 기온이 영하 10도 안팎까지 떨어진 8일 인천 서구 신인천복합화력발전소 굴뚝에 전력 사용량 증가 등으로 인해 수증...
기사 본문
한국 정부가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국제 '탈석탄동맹'에 가입했습니다. 한국 정부대표단은 현지시간으로 17일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 참석해 탈석탄동맹에 가입했다고 밝혔습니다. 석탄화력발전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 기후위기에 대응하려는 목적으로 지난 2017년 출범한 탈석탄동맹에는 전 세계 60여 개 나라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석탄화력발전소 설비 용량이 세계 7위 수준인 한국은 온실가스 저감 장치가 없는 석탄화력발전소를 새로 짓지 않고, 운영 중인 석탄화력발전소 중 40기는 2040년까지 폐쇄하기로 했습니다. 한국 정부대표단 수석대표인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이번 결정이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기업 경쟁력을 높이며, 미래 산업에서 수천 개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
기사 본문
기후부장관, 브라질 COP30 현장서 ‘PPCA 가입’ 천명 사실상 아시아 첫 PPCA 가입…아태지역 전환 선도 OECD 14개국은 이미 석탄 없는 전력 시스템 운영 기후단체“1.5도 목표·산업 경쟁력 지킬 이행 나서야” 태안화력발전소 전경. 태안군 제공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탈석탄동맹(PPCA) 가입’을 공식화했다. 탈석탄 기조를 내세운 이재명 정부에서 수명을 다한 노후 석탄발전 퇴출이 한층 가속화할 전망이다. 17일 비영리 기후단체인 기후솔루션과 기후에너지환경부 등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브라질 벨렝에서 개최한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국제 탈석탄동맹(PPCA, Powering Past Coal Alliance) 가입 입장을 밝혔다. 한국 정부는 이번 CCPA 가입을 통해 석탄 중심 화력발전 전력체계에 매여 있을 수 없다는 판단을, 정부의 국정과제를 넘어 COP30이라는 세계 최대 기후 무대에서 공식화했다. 한국의 PPCA 가입은 아시아 국가 중 두 번...
기사 본문
OECD 국가 중 미가입 4국에서 벗어나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연기가 나오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가 제30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기후총회)가 열리고 있는 브라질 벨렝에서 ‘탈석탄동맹’(PPCA)에 가입했다. 2040년까지 석탄화력발전 폐지를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이재명 정부가 ‘탈석탄’을 국제사회에 공식적으로 약속하고 나선 것이다. 탈석탄동맹(Powering Past Coal Alliance)은 17일(현지시각) 보도자료를 내어 “한국과 바레인이 30차 기후총회에서 석탄발전에서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탈석탄동맹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탈석탄동맹은 2017년 독일 본에서 열린 23차 기후총회(COP23)에서 석탄발전의 신속한 ‘단계적 폐지’를 통해 청정 성장과 기후 보호를 가속화하기 위해 영국과 캐나다가 출범시킨 전세계적 연합체다. 현재까지 180개 이상의 국가(62개국), 지방정부, 기업과 조직이 가입했다. 그간 우리나라는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