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안가 마약 케타민, 출처 불명 오리무중 속 13번 째 발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해안가서 차봉지 형태로 포장된 마약이 또 발견됐다. 제주경찰청 제공 제주=박팔령 기자 제주 해안가에서 또 차 포장 형태의 마약 케타민이 발견됐다. 벌써 13번째다. 수사당국이 집중적 조사를 진행 중이나, 어디서 흘러온 것인지, 보낸 이는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오리무중인 상태다. 17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후 4시 30분쯤 서귀포시 성산읍 해안가에서 중국 차 포장 형태의 마약 케타민 1kg이 발견됐다. 당시 해안가 순찰을 벌이던 해안경비단이 차 봉지 포장 형태의 유사한 물체를 발견한 것으로 전해졌다. 간이시약 검사 결과, 이는 케타민인 것으로 확인됐다. 제주해양경찰청은 수사전담반을 구성해 해상, 육상 등 유입 경로 등에 대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유입 경로는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제주에서 중국 차 포장 형태의 마약류가 발견된 것은 벌써 13번째다. 한편, 해경과 제주경찰청, 자치경찰, 해병대 9여단, 제주도청 등 유관기관들은 이날 제...
기사 본문
[KBS 제주] [앵커] 최근 제주해안에서 잇따라 마약류가 발견되면서 제주가 새로운 마약 유통의 경유지가 되는 건 아닌지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 나종훈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봅니다. 나기자, 주말 사이 제주 해안에서 차 봉지 형태로 위장된 또 마약류가 발견됐어요? 이번이 몇 번째죠? [기자] 네, 잇따른 발견에 저희 취재진도 이게 무슨 일인가 할 정도인데요. 제주경찰청은 어제 오후 4시 30분쯤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해안가에서 제주해안경비단이 순찰을 돌던 중 1kg 상당의 은색 차 봉지 형태를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물체는 최근 제주 해안에서 발견되고 있는 마약류 포장과 매우 유사한 형태였는데요. 간이 시약 검사 결과 마약류인 케타민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로써 제주 해안에서 발견된 마약류는 지난 9월말 서귀포시 성산읍 광치기해변을 시작으로 어제까지 모두 13차례에 이르고 있습니다. 마약이 발견 장소는 제주시 애월읍부터 우도, 서귀포시 성산읍까지 주로 제주 북부 해안에 ...
기사 본문
해안서 13번째 차(茶)봉지 마약 발견…대대적 수색 제주도, 불법 마약류 퇴치 합동 대책회의 제주도 해안에서 ‘차’(茶) 봉지로 위장한 마약이 또다시 발견됐다. 제주도는 불법 마약류 차단 유관기관 대책회의를 열고 범도민 캠페인을 벌인다. 지난 9월 말 이후 2달 가까이 되는 기간 벌써 13차례에 걸쳐 마약이 발견되고 있다. 최근 제주 해안에서 차 포장지로 위장한 마약류의 발견이 이어지는 가운데 11일 민관군 합동 수색이 진행되고 있다. 제주해양경찰청 제공 17일 제주경찰청에 따르면 전날 오후 4시 30분쯤 서귀포시 성산읍 해안가에서 한자로 茶(차)라는 글자가 적힌 은색 포장지 형태로 위장한 마약 의심 물체가 제주해안경비단 소속 경찰관에 의해 발견됐다. 해당 마약 의심 물체는 간이 시약검사 결과 케타민 1㎏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써 9월 말부터 현재까지 제주시 제주항·애월읍·조천읍·구좌읍·용담포구·우도 해안가와 서귀포시 성산읍 광치기해변 등 총 13차례에 걸쳐 차 봉지로 위장한 마약...
기사 본문
16일 오후 성산서 차 포장 형태 마약 1㎏ 또 발견 제주경찰청·해양경찰청 등 421명 북부해안 수색 이호동 방재단장 “청소년들에게 노출될까 걱정” 이게 뭐지 - 제주시 자율방재단이 17일 도두항에서 용담해안도로까지 마약수색활동을 하다가 석회석같은 수상한 덩어리를 발견해 신고하려고 하고 있다. 제주 강동삼 기자 제주해안경비단이 16일 오후 4시 30분쯤 성산읍 해안가에서 차 포장 형태의 마약 의심 물체 1㎏을 발견했다. 제주경찰청 제공 제주해안에서 13번째 차 포장 위장 마약이 또다시 발견됐다. 제주경찰청은 제주해안경비단이 지난 16일 오후 4시 30분쯤 성산읍 해안가에서 차 포장 형태의 마약 의심 물체 1㎏을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간이시약 검사를 한 결과 케타민이 검출됐다. 이로써 9월 말부터 제주 해안가에서 발견된 ‘차(茶) 포장 마약’은 총 13건, 약 32㎏으로 늘었다. 1회 투약량(0.03g) 기준으로 약 103만 명이 동시에 흡입할 수 있는 규모다. 이는 제주도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