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삼석 의원 "경북산불 진화 주력헬기, 부품 부족으로 출동못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질의하는 서삼석 의원 (전주=연합뉴스) 정경재 기자 =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이 17일 전주시 덕진구 농촌진흥청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질의하고 있다. 2025.10.17 jaya@yna.co.kr (무안=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지난 3월 발생한 경북 산불 당시 주력 초대형 헬기인 S-64 가 미국으로부터 부품 수급이 늦어져 출동하지 못해 국가 재난 대응 체계의 공백이 드러났다는 지적이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전남 영암·무안·신안)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주력 초대형 헬기 S-64 2대가 핵심 부품 부족으로 6개월 이상 운용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헬기는 150시간 주기 정기 정비와 엔진 부품 교체를 위해 제조국에서 부품을 제때 공급받지 못해 수리가 장기 지연됐다. 또 다른 S-64 1대는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4일 연속 고장이 발생, 매일 정비를 받아야 했다. S-64는 1960년...
기사 본문
[국감초점] 정희용 "야간비행 자격 조종사 없어 야간진화 전무" 서삼석 "핵심 부품 부족 6개월 이상 미운용…매우 심각한 문제" 2022년 경북 울진군 산불 당시 산림청이 보유한 초대형 산불진화헬기(S-64) 두 대가 북면 덕구온천 주변에서 발생한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저수지에서 담수하고 있다. (울진=뉴스1) 최창호 기자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조종사 부재와 부품 수급 지연으로 '무용지물'이 된 산림청 초대형 산불진화 헬기 'S-64'에 대한 여야 질타가 집중됐다. 국민의힘 정희용 의원은 20일 산림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2018년부터 8563만달러(약 1220억원)를 들여 도입한 미국 에릭슨사의 대형 산불진화 헬기 'S-64'가 야간 비행 자격을 가진 조종사 부족으로 단 한 차례도 야간 산불 진화에 투입되지 못했다"고 질타했다. 정 의원은 "산림청 산불진화 헬기 50대 중 야간 운용이 가능한 헬기는 수리온 3대와 S-64 4대 등 7대이다. 야간에 S-64를 비행...
기사 본문
▲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 지난 3월 경북 산불 당시 초대형 진화헬기인 S-64가 미국 부품 수급 지연으로 장기간 출동하지 못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국가 재난 대응의 핵심 장비가 제때 가동되지 못하면서 대응 공백이 발생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영암·무안·신안)은 20일 산림청 자료를 공개하며 "S-64 헬기 2대가 6개월 이상 부품 부족으로 운항이 중단됐고, 이는 사실상 국가적 대응 실패"라고 밝혔습니다. 경북 산불은 지난 3월 22일부터 31일까지 10일간 이어졌으며, 피해 면적은 약 9만 9천 헥타르, 피해액은 6조 원에 달해 역대 최대 규모로 기록됐습니다. 서 의원에 따르면 당시 주력 헬기인 S-64 7대 중 2대는 엔진 등 핵심 부품을 미국으로부터 제때 공급받지 못해 200일 넘게 운항이 중단됐습니다. 또 다른 1대는 잦은 고장으로 3월 21일부터 25일까지 나흘 연속 정비를 받아야 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주력 헬기 7대 중 3...
기사 본문
기사 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산림청이 1000억 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해 도입한 야간 산불진화헬기가 조종사 부족으로 한 차례도 실전에 투입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정희용 국민의힘(경북 고령·성주·칠곡)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림청이 보유한 산불진화헬기 50대 중 야간 운항이 가능한 기종은 수리온 3대와 미국 에릭슨사 대형 헬기 S-64 4대 등 총 7대다. 이 가운데 S-64는 담수량이 8000리터에 달하는 초대형 헬기로 1대당 2000만 달러가 넘는다. 산림청은 2018년부터 총 1220억 원(8563만 달러)을 들여 S-64를 4대 순차 도입했으나 야간 비행 자격을 갖춘 조종사가 없어 지금까지 운용이 불가하다. 이에 산림청은 올해까지 조종사 양성 과정을 마치고 내년 2월까지 S-64를 야간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최초 도입 시점이 2018년인 점을 고려하면 지금까지 7년째 인력 양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