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SK오션플랜트 매각땐 고성 해상풍력 특구 조성차질"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SK에코플랜트·채권단에 신중한 결정 촉구 "일자리 등 지역 산업기반 뒤흔들 가능성" 경남도청 전경./사진=경남도 경상남도가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인 SK오션플랜트 매각 추진에 강력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경남도는 20일 성명을 통해 "이번 매각 시도는 고성 해상풍력 기회발전특구 조성에 심각한 차질을 빚고 지역사회와의 신뢰를 훼손하는 행위"라며 "매각 추진을 즉시 멈춰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SK에코플랜트는 SK오션플랜트의 지분 매각을 위해 디오션자산운용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해상풍력 산업을 미래 신성장 전략산업으로 육성 중인 상황에서 모기업이 경영상 판단만으로 사업의 근간을 흔드는 것은 지역경제에 큰 타격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SK오션플랜트는 고성군 동해면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 일원에 약 1조원을 투자해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기지를 조성 중이다. 해당 부지는 지난 6월 경남 제1호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됐으며 현재 공정률은 약 6...
기사 본문
이상근(가운데) 경남 고성군수가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SK오션플랜트 지분 매각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안대훈 기자 최근 경남 고성에 있는 해상풍력 전문기업 SK오션플랜트 지분을 모회사가 신생 사모펀드에 매각하려 하자, 자치단체가 크게 반발하고 나섰다. SK오션플랜트 주인이 바뀌면, 앞서 SK오션플랜트가 투자 중인 ‘경남 제1호 기회발전특구’의 핵심 사업인 해상풍력 특화 생산기지 조성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20일 경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SK오션플랜트 모회사인 SK에코플랜트가 SK오션플랜트 보유 지분(약 37%)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디오션 컨소시엄을 선정한 것에 대해 “지역과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며 “매각 결정을 전면 재고하거나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경남도 역시 같은 입장을 밝히며 고성군 요구에 힘을 보탰다. SK오션플랜트는 지난달 1일 이런 매각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사실을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했...
기사 본문
군수 도청서 매각 반대 기자회견 "지역 미래인데 졸속 매각 추진" 경남도 "산업 생태계 보전 노력" 3년 전 경남 고성군 동해면에 둥지를 튼 해상풍력 전문기업 SK오션플랜트가 신생 소규모 사모펀드를 상대로 매각을 추진하자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다.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1조여 원 규모의 산단 조성 차질과 이로 인한 지역 경제 침체 등이 우려되면서다. 이상근 고성군수가 2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SK오션플랜트 매각 추진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 김용구 기자 이상근 고성군수는 2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SK오션플랜트의 매각 추진은 지역과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고 비판했다. 이어 그는 “SK오션플랜트는 단순한 기업이 아니라 지역의 희망, 청년 일자리, 고성 미래를 상징하는 동반자”라며 “군은 그 성공을 위해 진입도로 개설, 154㎸ 송전선로 설치 등을 포함한 각종 인허가에 적극 협력했는데 돌연 졸속 매각을 강행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인수 ...
기사 본문
1조 원 규모 투자이행 불확실 및 지역경제 침체 우려 경남도-고성군, 매각 재고 및 중단 요청 이상근 경남고성 군수가 2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SK오션플랜트 지분 매각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창원=이경구 기자 경남 고성군은 SK에코플랜트가 SK오션플랜트 지분 매각을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것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이상근 고성군수는 20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역과의 신뢰를 저버린 행위"라며 매각 결정을 전면 재고하거나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 군수는 " 2023년 SK오션플랜트가 해상풍력이라는 미래 산업을 중심으로 고성군에서 새롭게 출발하였을 당시 이를 '오랜 가뭄 끝의 단비'처럼 환영하며 기회발전특구 지정, 진입도로 개설, 송전선로 설치 등 행정적·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했다. 이 군수는 "매각으로 시설투자 재원 조달에 차질이 발생할 경우 총 1조 원 규모의 투자 이행 계획이 불확실해지고 지역 경제 침체와 주민 불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