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 멈춤 원인 '항로이탈'…오세훈 "정치 공세 도구로 삼지 말아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압구정·옥수·뚝섬·잠실 구간 미운항 17일 선박 부상 예정 16일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에 한강버스가 운항 중단된 채 멈춰있다. 한강버스는 지난 15일 잠실선착장 인근 강바닥에 걸려 멈춰 일부 구간이 운항 중단됐다./뉴시스 [더팩트ㅣ설상미 기자] 지난 15일 잠실선착장에서 발생한 한강버스 멈춤 사고 원인이 '항로 이탈'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16일 "직접적인 원인은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 구간 걸림으로, 간접적 원인은 저수심 구간 우측 항로 표시등 밝기 불충분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잠실 선착장 인근 구역은 저수심으로, 가스관 보호공 등 지장물 등이 있어 운항 시 주의가 필요한 구역이다. 정식 운항 전 잠실 선착장 인근 항로에 대해 수심 2.8m 이상을 확보했다는 게 시 측의 설명이다. 시는 한남대교 상류 항로 수중 탐사, 저수심 구간 토사퇴적 현황 확인, 부유물 및 이물질 제거, 선기장 교육 강화 등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시는 추후 해양안전심판원, 관할 경찰서, ...
기사 본문
16일 서울 잠실 선착장 인근에 멈춰선 한강버스에 119구조단 보트가 접근하고 있다. [뉴스1] 서울의 수상 대중교통인 한강버스가 또 멈췄다. 지난 15일 오후 8시25분쯤 잠실행 한강버스가 잠실 선착장 100m 인근에서 강바닥에 걸리는 상황이 발생했다. 당시 이 배에는 승객 82명이 타고 있었다. 서울시는 한강경찰대와 수난구조대 구조정으로 승객을 옮겨 태웠다. 부상 등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승객들은 구조 전까지 불안에 떨어야 했다. 한강버스는 최소 2.8m 이상 수심을 확보해야 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직접적인 원인은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1.07~1.47m) 구간 걸림”이라고 밝혔다. 사고 현장 주변에는 항로 이탈을 막을 부이(항로표시등)가 설치돼 있으나 사고 당시 부이의 밝기가 충분하지 않았다고 한다. 서울시는 마곡·망원·여의도 외에 잠실과 뚝섬·옥수·압구정 등 4개 선착장 운항을 16일부터 당분간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추가 준설작업 등을 벌일 계획이다. 하지만 이달 1일 ...
기사 본문
한강버스 참고사진. 뉴시스 승객 80여 명을 태운 서울 한강버스가 송파구 잠실선착장 인근에서 얕은 강바닥에 걸려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경찰에 따르면 15일 오후 8시 반경 잠실선착장으로 향하던 한강버스가 얕은 강바닥에 걸리는 고장이 발생했다. 한강버스 측은 소방과 서울경찰청 한강경찰대에 구조를 요청했으며 오후 9시 17분 소방 구조정과 서울청 한강경찰대가 출동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승객은 80여 명이 탑승 중이며 좌초나 침몰 중인 상황은 아니고 현재까지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한강버스는 잠실선착장 인근 강 위에 떠 있으며, 구조를 기다리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파악됐다. 경찰 관계자는 “오후 8시 반경 한강버스가 고장 났다는 신고를 접수했으며, 현재 조치 중”라고 밝혔다.
기사 본문
[스팟 인터뷰] "오세훈, 지방선거 때문에 한강버스 강행... 당장 멈춰라" ▲ 16일 서울 송파구 잠실선착장 부근 강바닥에 걸려 멈춘 한강버스 주변에서 관계자들이 사고수습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기사 보강] 16일 오후 5시 25분 운항 재개 보름 만에 또다시 강 위에서 멈춰선 '오세훈 한강버스'를 두고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서울 은평갑)은 "많은 재정을 낭비하면서 실패한 사업이라고 평가되면 내년 지방선거에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오세훈 시장이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한강버스 운항을 당장 멈춰야 한다"라고 질타했다. 전날(15일) 오후 8시 24분께 승객 82명을 태우고 잠실 한강버스 선착장으로 향하던 한강버스가 수심이 얕은 강바닥 모래톱에 걸려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승객들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밤중 한강 위에 1시간 가량 고립됐고, 구조정 등이 출동해 이들을 구조했다. 민주당은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을 정조준하고 나섰다. 사고 다음날인 16일 오전 10시 민주당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