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돌이 라면' 누적 판매 100만 개 돌파…대전시 로컬브랜딩 새 역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꿈돌이 라면 구성품 모습 /정예준 기자 대전시는 로컬브랜딩 첫 상품이었던 '꿈돌이 라면'이 지난 6월 출시 후 누적 판매량이 10월 기준 1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전 지역 한정·오프라인 중심 판매임에도 짧은 기간 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둬 로컬 캐릭터(IP)와 일상 식문화를 결합한 대전형 로컬브랜딩 모델의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이번 흥행의 배경에는 '대전 한정'이라는 희소성이 있다. 제한된 접근성이 소장과 선물 심리를 자극했고 1993 대전엑스포의 기억과 과학도시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꿈씨패밀리' 세계관이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했다. 여기에 0시축제·대전역 포토존·시티투어 등 현장 체험이 공유로 확산되는 동선 설계가 맞물리면서, 체험이 애정으로 애정이 재방문·재구매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해 누적 100만 개 판매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유통·판매원 IC푸드는 11월 중 엑스포시민광장에서 '꿈돌이 라면 ...
기사 본문
오프라인 한정 판매 등 흥행 요인 대전형 로컬브랜딩 경쟁력 입증 지난 6월 9일 대전 동구 소제동에서 열린 ‘꿈돌이네 라면가게’ 개업식에서 이장우(왼쪽 다섯번째) 대전시장과 내빈 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시가 지역 대표 캐릭터를 활용해 선보인 '꿈돌이라면' 누적 판매량이 출시 4개월 만에 100만개를 돌파했다. 20일 시에 따르면 지난 6월 9일 출시된 꿈돌이라면의 누적 판매량은 지난 16일 기준 1만101개로 집계됐다. 하루 평균 7,700개가 팔린 셈이다. 라면은 92만4,112개, 지난달 5일 출시한 컵라면은 7만6,898개다. 꿈돌이라면은 시가 수십년 노하우를 가진 업체와 손을 잡고 쇠고기맛과 해물짬뽕맛 등 2종으로 출시한 지자체 최초의 캐릭터 라면이다. 출시 2주 만에 30만개가 팔리는 등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함께 선보인 키링, 냄비 받침, 양은 냄비 등 관련 굿즈도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다. 시는 꿈돌이라면의 흥행 배경으로 '대전을 직접 찾아와야만...
기사 본문
대전내 공공·민간 판매처 호응 속 출시 4개월만 기록 달성 IC푸드, 11월중 엑스포시민광장서 ‘꿈돌이 라면 100만개 돌파 시민감사 이벤트’ 개최 이장우(왼쪽에서 여섯번째) 대전시장이 대전시 동구 소제동에 마련된 꿈돌이 라면 가게 오픈행사를 갖고 있다. 사진제공=대전시 [서울경제] 대전시의 로컬브랜딩 첫 상품인 ‘꿈돌이 라면’이 누적 판매 100만개를 돌파했다. 시는 지난 6월 출시한 ‘꿈돌이 라면’의 누적 판매량이 10월 기준 1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전지역 한정·오프라인 중심 판매임에도 짧은 기간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며 로컬 캐릭터와 일상 식문화를 결합한 대전형 로컬브랜딩 모델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시는 이번 흥행의 배경에는 ‘대전 한정’이라는 희소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제한된 접근성이 소장과 선물 심리를 자극했고 1993 대전엑스포의 기억과 과학도시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꿈씨패밀리’ 세계관이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했다는 평...
기사 본문
대전지역 공공·민간 판매처 호응 속 출시 4개월 만에 기록 달성 지난 6월 9일 대전 동구 소제동에서 열린 ‘꿈돌이네 라면가게’ 개업식에서 이장우 대전시장(왼쪽 다섯번째)등 내빈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파이낸셜뉴스] 대전시는 로컬브랜딩 첫 상품인 ‘꿈돌이 라면’이 지난 6월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100만 개를 돌파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전지역 한정·오프라인 중심 판매임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에 의미있는 성과를 거두며, 로컬 캐릭터(IP)와 일상 식문화를 결합한 대전형 로컬브랜딩 모델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이번 흥행의 배경에는 ‘대전 한정’이라는 희소성이 작용했다는게 대전시의 분석했다. 제한된 접근성이 소장과 선물 심리를 자극했고, 1993 대전엑스포의 기억과 과학도시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꿈씨패밀리’ 세계관이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에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했다는 것이다. 여기에 0시축제·대전역 포토존·시티투어 등 현장 체험이 공유로 확산되는 동선 설계가 맞물리면서, 체험이 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