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명 사상 울산화력발전소 참사...수사 초점은?

2025년 11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33개
수집 시간: 2025-11-17 01:12:52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8개

YTN 2025-11-16 18:48:12 oid: 052, aid: 0002273876
기사 본문

63m 보일러 타워 25m 지점에서 취약화 작업 중 사고 계획된 높이·적절한 작업 여부가 수사 핵심 "6호기 폭파 때는 25m 지점 취약화 작업 없이 폭파" [앵커]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와 관련한 수사가 본격화하는 가운데 수사의 초점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사고 당시 작업자들은 타워 25m 높이에서 취약화 작업을 하던 중 매몰됐는데, 이 과정이 적절했는지에 수사가 집중될 거로 보입니다. 이윤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가운데 부분부터 힘없이 무너져 먼지와 함께 순식간에 주저앉은 구조물. 7명이 숨지고, 2명이 다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모습입니다. 사고는 구조물을 폭파 해체할 때 한 번에 원하는 방향으로 무너지도록 하는 이른바 취약화 작업 중에 일어났습니다. 작업자들은 63m에 이르는 타워 25m 지점에서 일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석철기 / 코리아카코 대표(어제) : 사고 당일 25m 지점에서 일부 취약화 작업을 했고요. 취약화 끝난 구간에는 방호재 설치 작...

전체 기사 읽기

한겨레 2025-11-16 15:30:18 oid: 028, aid: 0002776650
기사 본문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동 붕괴사고 4일차인 지난 9일 무너진 5호기(가운데) 양쪽에 4·6호기(왼쪽부터)가 서 있다. 최현수 기자 emd@hani.co.kr 붕괴 사고로 7명의 목숨을 앗아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동은 6개월 전 구조진단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당시 숨진 노동자들이 일하던 25m 지점도 포함됐는데, 계획 단계부터 과도한 ‘사전 취약화 작업’이 검토된 정황이 드러난다. 구조기술사 윤아무개씨는 지난 14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지난 5월 보일러동의 높이 1m·13m·25m 지점의 사전 취약화 작업에 대해 구조안전성을 검토했다”고 밝혔다. 지난 6일 붕괴 사고로 숨진 노동자 7명은 63m 높이 보일러동(5호기)의 25m 지점에서 철골 기둥 등 일부를 잘라내는 ‘사전 취약화 작업’을 하다 변을 당했다. 절차대로면 구조검토서는 코리아카코를 거쳐 에이치제이(HJ)중공업의 승인을 받고, 한국동서발전에도 전달된다. 지난해 3월 에이치제이중공업이 작성...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6 07:45:04 oid: 001, aid: 0015744532
기사 본문

25m 지점 절단, 중수본도 "위험" 인정…'하부→상부' 작업 순서도 의문 전문성 필요한데 비숙련 단기직 투입했나…작업·안전 관리 부실 가능성 붕괴한 울산화력 보일러타워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매몰자 구조·수색 작업이 지난 14일 마무리되면서 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사고 당시 정황, 공사 관련 문건, 전문가 분석 등을 종합하면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를 촉발했을 가능성이 있는 여러 요인이 제기되고 있다. 경찰과 노동 당국의 수사도 여기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에 따라 향후 사법 처리 범위도 결정된다. 또 이번과 같은 사고의 재발을 막기 위해 대형 구조물 해체에 대한 제도적인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붕괴 구조물 속에서 힘겨운 수색작업 (울산=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9일째인 14일 오전 발전소 현장에서 구조...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16 15:12:27 oid: 025, aid: 0003482928
기사 본문

지난 14일 오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마지막 매몰자를 수습하고 병원으로 이송하기 앞서 모든 현장 관계자들이 도열해 고인에 대한 예를 갖추고 있다. 사진 뉴스1 보일러 타워 붕괴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숨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이하 발전소) 사고 원인 규명이 본격화된다. 수사ㆍ노동당국의 관계자 소환 조사가 임박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철저한 수사와 명확한 원인 규명을 지시했다. 16일 울산경찰청 등에 따르면 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 대한 합동 감식이 이번 주중 진행된다. 감식엔 경찰과 고용노동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산업안전보건공단 등 관련 기관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는 지난 6일 해체 작업이 이뤄지던 중 발전소 타워 5호기가 무너지면서 일어났다. 작업자 9명 가운데 7명이 무너진 잔해 속에 매몰됐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꾸려져 지난 14일까지 구조작업이 이어졌지만 7명 모두 숨졌다. 지난 12일 오후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들이 울산...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6 07:45:01 oid: 001, aid: 0015744531
기사 본문

조만간 현장감식·압수수색 …작업 적절성·안전 준수 여부 초점 김영훈 노동장관 "신속·엄정 수사…발주처 책임 강화도 강구" 고개 숙인 울산화력 사고 업체 대표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화력발전 보일러 타워 해체 공사를 하도급 받아 진행한 코리아카코 석철기 공동대표 등이 15일 사고 현장 앞에서 사과 입장을 밝히고 있다. 지난 6일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에선 보일러 타워 해체 공사 중 타워가 붕괴해 작업자 7명이 매몰됐으며 모두 시신으로 수습됐다. 2025.11.15 canto@yna.co.kr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매몰자 수습이 완료되면서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특히,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공사 발주처의 책임도 언급해 강도 높은 수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7명이 사망하고 2명이 다친 이번 사고와 관련해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를 조사 중이라고 1...

전체 기사 읽기

경향신문 2025-11-16 16:03:00 oid: 032, aid: 0003409020
기사 본문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이틀째인 지난 7일 울산시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현장에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있다. 권도현 기자 노동자 7명이 숨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본격 수사에 나선다. 경찰은 구조·수색 작업이 지난 14일 마무리 된 만큼 압수수색 등 강제수사도 곧 진행할 방침이다. 또 이번 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 ‘사전 취약화 작업’의 적정성과 발주·시공·하도급 업체의 안전관리 의무 이행 여부 등을 중심으로 전방위적인 조사에 착수한다. 16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이번 사고 수사전담팀은 조만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고용노동부 등과 함께 현장 합동감식을 벌일 예정이다. 합동감식에선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사전 취약화 작업’을 했던 부분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번 사고는 발파 때 구조물이 목표한 방향으로 넘어가도록 기둥과 철골을 미리 절단하는 사전 취약화 작업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16 13:18:20 oid: 014, aid: 0005434971
기사 본문

현장 매몰자 7명 전원 사망 안타까운 참사로 기록 경찰 HJ중공업, 코리아카코 관계자 등 소환 조사 안전관리계획서에 없는 25m 상층부 취약화 작업 이유 수사 고용노동부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도 위법성 여부 조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 붕괴 사고 현장을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이다. 가운데가 매몰자 7명이 숨진 채 발견된 울산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의 모습이다. 아래쪽은 6호기 위쪽은 4호기이다. 추가 붕괴 위험이 있었던 4,6호기는 신속한 매몰자 위해 중앙사고수습본부가 추가로 넘어트렸디. 울산소방본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는 매몰자 7명 전원 사망이라는 참사로 기록되었다. 구조 활동이 마무리되면서 비극적인 이번 사고 원인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수사도 본격 시작된다. 이번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울산화력발전)에서 발생했다. 당시 현장 작업자 9명 중 7명은 준공 후 44년이나 된 ...

전체 기사 읽기

국제신문 2025-11-16 15:50:15 oid: 658, aid: 0000126101
기사 본문

지난 14일 마지막 실종자 김모 씨 시신 수습, 매몰자 7명 전원 사망 경찰 고용부 등 현장 합동감식 준비…사고 원인 및 책임 규�D에 주력 이 대통령 "철저 수사, 책임자 지위 직책 가리지 않고 엄정 처벌" 밝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구조·수색 작업이 발생 9째인 지난 14일 마무리됐다. 총 7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번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에 위한 수사가 본격화 될 전망이다. 울산화력발전 붕괴 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 본부장인 김영훈(가운데)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오전 사고 현장 앞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붕괴 사고 매몰자 7명은 모두 시신으로 수습됐다. 연합뉴스 16일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14일 밤 9시57분께 사고현장인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에서 마지막 실종자인 김모(62) 씨의 시신이 수습됐다. 앞서 구조대는 이날 중장비로 잔해 상부를 걷어내고 내부를 확인하는 수색 작업을 반복하던 중 오후 8시 49분께 김 씨의 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