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얼굴에 나체 합성하고…온라인 성폭력 검거했는데 절반이 10대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뉴스1] 경찰이 1년간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을 통해 3000명이 넘는 피의자를 검거한 가운데, 피의자의 절반은 10대로 나타났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실시한 단속으로 사이버성폭력 3411건을 적발해 3557명을 검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가운데 221명은 구속했다. 딥페이크(허위영상물) 범죄가 1553건(35.2%)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청소년 성착취물(1513건·34.3%), 불법촬영물(857건·19.4%) 등이 뒤를 이었다.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이 딥페이크로 제작되면 딥페이크 범죄로도 분류됐다. [매경AX] 피의자를 연령별로 보면 10대가 47.6%(1761명)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20대(1228명·33.2%), 30대(468명·12.7%), 40대(169명·4.6%) 등이 뒤를 이었다. 딥페이크로 좁히면 10대(895명·61.8%), 20대(438명·30.2%)가 90% 넘는 비중을 차지했다. 디지털 매체 사용에 익숙하기 때문이라고...
기사 본문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1년간 3557명 검거 경찰, 내년 10월까지 연이어 단속…AI 악용 범죄 집중 대응 [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최은수 기자 = #여성 연예인 얼굴에 나체 사진을 합성한 딥페이크(허위영상물) 영상을 만들어 텔레그램에 유포한 A(15)군이 구속됐다. A군은 800여명이 참여하는 대화방 3개를 운영하며 허위영상물 590개를 제작한 것으로 드러났다. #SNS로 접촉한 피해자들에게 "딥페이크 영상이 유포되고 있다"고 속여 텔레그램으로 유인한 뒤 협박을 통해 아동·청소년 성착취물과 불법촬영물 79건을 제작한 B(17)군 등 4명이 경찰에 붙잡혔다. 이들은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피해자 물색·유인·협박·영상 제작을 분담하며, 성적 호기심을 보인 피해자에게 가족·지인 유포를 빌미로 지속 협박해 성착취물을 받아내는 방식으로 범행을 이어갔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확산으로 지난 1년간 딥페이크 및 아동·청소...
기사 본문
3411건 범죄 적발···221명 구속 검거율 69.5%→77.3%로 증가 허위영상물 범죄 1553건 '최다' 10대 피의자 비중 가장 높아 클립아트코리아 [서울경제] 경찰이 사이버성폭력범죄에 대한 집중 단속을 통해 지난 1년간 3500명 이상을 검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허위영상(딥페이크) 성범죄가 크게 늘고 있는 가운데 경찰은 내년에도 연속 단속을 통해 신종 범죄 검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올해 10월 31일까지 ‘2025년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을 시행해 총 3411건의 범죄를 적발하고 3557명을 검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가운데 221명은 구속됐다. 이번 집중단속은 고도의 수사기법 및 추적 기술 등이 필요한 사이버성폭력범죄 특성을 감안해 시·도경찰청 전담수사팀 중심으로 실시됐다. 검거 실적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크게 증가했다. 검거 건수는 지난해 2273건에서 올해 3411건으로 50.1%,...
기사 본문
경찰 집중단속 결과…딥페이크 피의자 10·20대 90% 차지 검거 인원 47% 증가…단속 연장해 생성형AI 신종범죄 집중 사이버성폭력범죄 단속 현황 [경찰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동환 기자 = 경찰이 1년간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을 통해 3천명이 넘는 피의자를 검거했다고 16일 밝혔다. 피의자의 절반은 10대였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실시한 단속으로 사이버성폭력 3천411건을 적발해 3천557명을 검거했다. 이 가운데 221명은 구속했다. 딥페이크(허위영상물) 범죄가 1천553건(35.2%)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청소년 성착취물(1천513건·34.3%), 불법촬영물(857건·19.4%) 등이 뒤를 이었다. 아동·청소년 성착취물이 딥페이크로 제작되면 딥페이크 범죄로도 분류됐다. 피의자를 연령별로 보면 10대가 47.6%(1천761명)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고, 20대(1천228명·33.2%), 30대(468명·12.7%),...
기사 본문
검거 건수 50%·검거인원 48%↑ 허위영상물 범죄·아동청소년성착취물 범죄 비중 커 딥페이크 성범죄 1827건…10대 피의자가 절반 [이데일리 손의연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국수본)는 지난해 11월 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을 실시해 총 3411건·3557명을 검거했고, 이중 221명을 구속했다고 16일 밝혔다. 경찰청(사진=이데일리DB) 이번 집중단속은 고도의 수사기법 및 추적 기술 등이 필요한 사이버성폭력범죄 특성을 감안하여 시·도경찰청 전담수사팀 중심으로 실시됐다. 전년 동기 대비 검거 건수는 50.1%, 검거인원은 47.8% 증가했고 검거율도 69.5%에서 77.3%로 늘었다. 같은 기간 발생 건수는 3270건에서 4413건으로 35.0% 증가했다. 유형 별로는 전체 사이버성폭력범죄 발생 중 허위영상물 범죄(1553건, 35.2%)와 아동·청소년성착취물 범죄(1513건, 34.3%)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불법촬영물 범죄(857건, 19.4%...
기사 본문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결과 3557명 검거 10대가 1671명, 20대 1228명 집중단속, 내년 10월 31일까지 이어져 황진환 기자 경찰이 사이버성폭력에 대해 집중단속을 벌인 결과 1년 만에 3천명이 넘는 피의자가 붙잡혔다. 더 놀라운 점은 10대와 20대가 전체 인원의 80%였다는 점이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16일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결과 3천 411건을 적발하고 3557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1년 간 사이버성폭력 범죄 집중단속을 벌였다. 그 결과 3557명을 붙잡았는데 10대가 1761명(47.6%), 20대가 1228명(33.2%), 30대가 468명(12.7%), 40대가 169명(4.6%) 등이었다. 적발된 범죄 중에는 허위 영상물, 이른바 딥페이크가 1553건(35.2%)으로 가장 많았고, 아동·소년 성착취물이 1513건(34.3%), 불법촬영물이 856건(19.4%) 등이 뒤를 이었다. 허위 영상물, 이른바 딥페이크 범...
기사 본문
딥페이크 이용한 허위영상물 범죄가 35%로 가장 많아 위장수사 검거인원 72% 증가…피해영상물 3.6만건 삭제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박동해 기자 = 성적 호기심이 있는 10대 청소년들에게 온라인으로 접근해 친분을 쌓은 뒤 성착취물을 제작·제공하게 한 일명 '판도라'라는 남성이 지난 4월 경찰에 붙잡혔다. 판도라는 피해들에게 '텔레그램에서 당신의 딥페이크(허위영상) 영상 유포되고 있다'고 속여 개인정보를 받아 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피해자를 협박하면서 심리적으로 지배했다. 그는 한번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또 다른 5명을 낚아오면 해방시켜 주겠다'며 다른 피해자를 물색·유인하게 했다. 그렇게 3명의 피해자가 공범이 됐다. 이런 방식으로 판도라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4월까지 19명의 10대 여성청소년을 상대로 아동·성착취물 및 불법촬영물 79개를 제작했다. 결국 구속된 판도라의 나이는 '17세'에 불과했다. 사이버성폭력 집중단속 3557명 검거…피의자 절...
기사 본문
1년간 사이버 성폭력 4413건 경찰, 2026년까지 집중 단속 경찰이 사이버 폭력 범죄 근절을 위해 지난 1년간 사이버 성폭력을 집중 단속했다. 그 결과 총 3441건을 포착하고 피의자 3557명을 검거했다./사진=뉴스1. 경찰이 사이버 폭력 범죄 근절을 위해 1년간 사이버 성폭력을 집중 단속한 결과 총 3441건을 포착하고 피의자 3557명을 검거했다. 16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지난해 11월1일부터 지난 10월31일까지 '25년 사이버 성폭력 집중단속'을 실시해 총 3411건·3557명을 검거했고 이 중 221명을 구속했다고 밝혔다. 사이버 성폭력 발생 건수는 4413건으로 전년 같은 기간보다 35% 증가했다. 검거 건수도 3411건으로 50.1% 늘었고 검거 인원과 검거율 역시 각각 47.8%·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찰이 단속기간에 △시·도경찰청 전담 수사 체계 구축 △텔레그램 등 국제공조 구축·강화 △허위 영상(딥페이크) 탐지 소프트웨어 활용 △위장 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