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온도 조절로 친환경 태양전지 효율 개선 입증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재판매 및 DB 금지 [대구=뉴시스] 박준 기자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환경연구부 양기정·김대환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인천대학교 김준호 교수팀과 함께 온도 조절만으로 친환경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높이는 기술을 찾아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진은 소재를 열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온도를 빠르게 높이면 결정이 더 규칙적으로 성장하고 전류 이동이 원활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안티모니 셀레나이드(Sb₂Se₃)는 카드뮴(Cd)이나 납(Pb)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안티모니(Sb)와 셀레늄(Se)만으로 구성된 친환경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다. 빛을 잘 흡수하고 열과 화학 반응에도 강해 튼튼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기존 안티모니 셀레나이드 소자는 결정이 제각각으로 자라는 방향성과 결함으로 인해 전자와 정공의 이동이 방해받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해결의 실마리를 ...
기사 본문
친환경 태양전지 관련 연구진. 왼쪽부터 이재백 DGIST 박사, 바쉬로 카디리-잉글리쉬 박사과정생, 김대환·양기정 책임연구원. DGIST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에너지환경연구부 연구팀이 인천대 교수팀과 함께 온도 조절만으로 친환경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높이는 기술을 발견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진은 소재를 열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온도를 빠르게 높이면, 결정이 더 규칙적으로 성장하고 전류 이동이 원활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날 DGIST에 따르면 차세대 친환경 태양전지 소재로 주목받는 ‘안티모니 셀레나이드(Sb₂Se₃)’는 카드뮴(Cd)이나 납(Pb)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안티모니(Sb)와 셀레늄(Se)만으로 구성된다. 이 소재는 빛을 잘 흡수하고 열과 화학 반응에도 강한 특성을 갖고 있다. 튼튼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다만 안티모니 셀레나이드 소자는 그 결정이 제각각으로 자라는 방향성과 결함 탓...
기사 본문
디지스트 캠퍼스 전경. 디지스트 제공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디지스트)은 에너지환경연구부 양기정·김대환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인천대학교 김준호 교수팀과 함께 온도 조절만으로 친환경 태양전지의 효율을 크게 높이는 기술을 찾아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진은 소재를 열로 가공하는 과정에서 온도를 빠르게 높이면 결정이 더 규칙적으로 성장하고 전류 이동이 원활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안티모니 셀레나이드는 카드뮴이나 납과 같은 유해 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안티모니와 셀레늄만으로 구성된 친환경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다. 빛을 잘 흡수하고 열과 화학 반응에도 강해 튼튼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안티모니 셀레나이드 소자는 결정이 제각각으로 자라는 방향성 등으로 인해 전자와 정공의 이동이 방해받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해결의 실마리를 결정이 자라는 속도에서 찾았다. 온도를 빠르게 높이면...
기사 본문
복잡한 장비 없이 고효율·친환경 소자 구현… 상용화 가능성 입증 온도 조절만으로 친환경 태양전지의 효율을 대폭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한 DGIST 연구팀. DGIST 제공 대구=박천학 기자 온도 조절만으로 친환경 태양전지의 효율을 대폭 향상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DGIST(총장 이건우) 에너지환경연구부 양기정·김대환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김준호 인천대 교수팀과 함께 이러한 기술을 찾았다고 20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안티모니 셀레나이드(Sb₂Se₃)는 카드뮴(Cd)이나 납(Pb)과 같은 유해물질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지구상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안티모니(Sb)와 셀레늄(Se)만으로 구성된 친환경 차세대 태양전지 소재다. 빛을 잘 흡수하고 열과 화학 반응에도 강해 튼튼하면서도 저비용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 안티모니 셀레나이드 소자는 결정이 제각각으로 자라는 방향성과 결함으로 인해 전자와 정공의 이동이 방해받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