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온나라시스템'도 해킹 노출…"北소행 증거부족, 유출없어"(종합)

2025년 10월 17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3개
수집 시간: 2025-10-17 13:52:03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머니투데이 2025-10-17 11:51:49 oid: 008, aid: 0005264336
기사 본문

행안부, 온나라시스템 해킹 대응 브리핑 GPKI 인증서 등 해커에 의한 유출 가능성 대안으로 생체기반복합인증수단 확대 제시 해킹 주체, 北 '김수키' 가능성 낮아 (세종=뉴스1) =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 정부혁신실장이 17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2025.10.17/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세종=뉴스1) 정부가 공무원 업무를 위한 내부 전산망인 '온나라시스템'에 해킹 시도가 있었던 정황을 확인하고 보안 조치를 강화했다. 국가정보원에서 현재 피해 상황 등을 조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유출된 자료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당초 해킹의 배후로 북한 '김수키' 조직이 지목됐으나 현재로선 이를 단정할 만한 기술적 증거는 부족한 상황이다. 행정안전부는 1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정부업무관리시스템(...

전체 기사 읽기

더팩트 2025-10-17 13:28:11 oid: 629, aid: 0000434909
기사 본문

미상 해커의 온나라 행정망 무단접속 및 자료 열람 사실 확인 美 매체 '프랙', 해킹 배후로 北 '김수키' 지목…"단정 증거 부족" 국가정보원은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민간분야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 추가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적극 나섰다. /국회사진취재단 국가정보원은 지난 7월 온나라시스템 등 공공·민간분야 해킹 첩보를 사전에 입수, 추가피해 방지를 위한 대응에 적극 나섰다. 행정안전부 등 유관기관과 합동으로 정밀 분석을 실시해 해킹 사실을 확인했다. 국정원의 이같은 대응은 8월 8일에 미국 해커 잡지 '프랙'(Phrack)에서 해킹 정황을 공개한 것보다 한 달 앞선 대응조치이다. 해커는 먼저 다양한 경로로 공무원들의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패스워드 등을 확보한 것으로 보이며, 인증체계를 면밀히 분석한 뒤 합법적 사용자로 위장해 행정망에 접근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인증서(6개) 및 국내외 IP(6개)를 이용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행안부가 재택근...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7 13:38:21 oid: 001, aid: 0015684400
기사 본문

공무원 업무시스템 '온나라' 해킹 의혹 사실로…국정자원 화재로 먹통됐다가 정상화되기도 정부 "구체적인 해킹 피해 규모 파악 중,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할 것" 국정자원 화재로 멈춘 전산망, 복구율 10%대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정부가 지난 26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행정서비스 복구작업에 나선 가운데 1일 서울 한 주민센터에 행정정보시스템 일부 중단 안내문이 붙어있다. 전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30일 오후 2시 기준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가운데 91개(14.1%)가 정상화됐다. 1등급 업무는 38개 중 20개(52.6%)가 정상화됐다. 2025.10.1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정부 행정 전산망의 수난시대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 장애가 20일 넘게 이어지는 와중에 그간 제기돼온 시스템 해킹 의혹이 사실로 확인된 것이다. 행정안전부는 17일 브리핑을 통해 미...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0-17 13:03:38 oid: 001, aid: 0015684343
기사 본문

온나라 해킹 대응 브리핑…"유효기간 남은 3명 인증서 폐기, 피해내용 조사 중" "원격근무 시 가정용 PC·노트북 위험 노출…모바일 인증으로 보안강화" 정부시스템 해킹(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17일 "미국 해킹 전문지 프랙에 게시된 한국 정부시스템을 대상으로 한 침해 시도에 정부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의 접속 로그, 행정전자서명 (GPKI)의 인증서 파일, 행정전자서명을 이용하는 기관 시스템 적용을 위한 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 소스 코드 일부가 포함됐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연 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행안부는 향후 탈취 및 복제 위험이 있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의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행정전자서명 기반의 인증 체계를 생체기반 복합 인증 수단인 모바일 공무원증 등으로 대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기사와 직접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