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6개
기사 본문
[올여름 고수온 양식장에서 치어 방류 준비하는 어업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올해 우리 바다의 고수온 특보 기간이 역대 최장인 85일을 기록했습니다. 20일 국립수산과학원에 따르면 고수온 특보 기간은 7월 9일부터 85일간 이어져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습니다. 우리 바다 연근해 해역에서 7∼9월의 평균 수온은 26.8∼27.8도로, 평년 대비 2∼4도 높아 작년과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습니다. 반면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7월 초∼8월 초 남해와 동해 연안은 18∼27도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매우 높은 수온 분포를 보이다가 8월 중순∼9월 말에는 지난해보다 2∼4도 낮은 분포를 나타냈습니다.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은 22∼30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남부 해역은 기록적인 호우와 지속적인 남풍의 영향으로 냉수대가 형성되고 적조생물이 성장하기 좋은 수온대가 형성됐습니다. 올해 고수온에 따른 양식 생물 피해는 남해와 동해 연안의 수온 상승이 둔화한 데...
기사 본문
올해 한반도 해역 고수온 특보 현황. 그래픽=국립수산과학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 하계기간 한반도 해역의 수온이 평균적으로 상승하며 고수온 특보기간이 전년보다 14일 늘어난 85일을 기록하며 역대 연간 최장기간을 갈아치웠다. 이와 반대로 남부해역에서는 잦은 정체전선의 발달로 냉수대가 형성돼 적조생물이 폭증하며 6년 만에 적조피해가 발생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여름철 고수온·적조·해파리 발생 경향 분석결과’를 20일 발표했다. 먼저 고수온 특보기간은 지난 7월 9일부터 10월 1일까지 총 85일간 지속됐다. 한반도 연근해 해역의 7~9월 세 달간 평균 수온은 약 26.8~27.8도를 오가며 평년보다 2~4도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연안은 서·남·동해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됐다. 서해와 제주 연안의 수온은 8월부터 전년과 비교했을 때 수온 변동에 큰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남해와 동해 연안은 7월 초부터 8월 초...
기사 본문
올 여름 수산재해 분석 결과 발표 해양환경·수산재해 양상 해역 별로 크게 다르게 나타나 국립수산과학원.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기후 변화에 따른 이상 기후로 해양 환경과 수산 재해 양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20일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올 여름 고수온과 적조, 해파리 등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 재해 원인과 특징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수과원에 따르면 올해 고수온 특보 기간은 지난해 대비 14일이나 증가해 역대 최장인 85일 동안 이어졌다. 연근해 해역의 7~9월 평균 수온은 26.8~27.8도로 평년보다 2~4도가량 높아 지난해와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지만, 연안은 해약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남해와 동해 연안은 7월 초~8월 초에는 지난해에 비해 매우 높은 수온 분포(18~27도)를 보이다가 8월 중순~9월 말에는 작년보다 2~4도가량 낮은 분포를 보였다. 남부해역은 기록적인 호우와 북태평양고기압 영향에 따른 지속적인 남풍의 영향으로 냉수대가 형...
기사 본문
수과원, 수산 재해 발생 원인·특징 분석 어업·피서객 해파리 피해는 전년보다 44% 줄어 [부산=뉴시스] 2025 고수온 특보 현황. (사진=국립수산과학원 제공) 2025.10.2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부산=뉴시스] 이아름 기자 = 올해 고수온 특보 기간이 85일로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가 이어져 해역별로 뚜렷한 수산 재해 양상이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 재해의 발생 원인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올해 고수온 특보 기간은 7월9일부터 이달 1일까지 85일간 이어지면서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보다 14일 늘어난 것이다. 국내 연근해 해역의 7~9월 평균 수온은 26.8~27.8도로 평년 대비 2~4도 높아 지난해와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지만,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은 지난해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남해와 동해 연안은 ...
기사 본문
올여름 고수온 양식장에서 치어 방류 준비하는 어업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박성제 기자 = 올해 우리 바다의 고수온 특보 기간이 역대 최장인 85일을 기록하면서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 이상이 해양 생태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재해의 발생 원인과 특징을 분석했다고 20일 밝혔다. 그 결과 고수온 특보 기간은 7월 9일부터 85일간 이어져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우리 바다 연근해 해역에서 7∼9월의 평균 수온은 26.8∼27.8도로, 평년 대비 2∼4도 높아 작년과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7월 초∼8월 초 남해와 동해 연안은 18∼27도를 기록해 지난해 대비 매우 높은 수온 분포를 보이다가 8월 중순∼9월 말에는 지난해보다 2∼4도 낮은 분포를 나타냈다.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은 22∼30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남부 해역은 기록적인 호우와 지...
기사 본문
국립수산과학원, 올해 수산재해 발생원인 및 특징 분석 결과 발표 고수온 특보 기간 '역대 최장'...남해안은 6년 만 적조피해도 부산 기장군에 있는 국립수산과학원 본원 모습.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산=뉴스1) 홍윤 기자 = 국립수산과학원(수과원)은 20일 올해 우리 바다에서 발생한 수산 재해 발생 원인과 특징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로 해양환경 및 수산 재해 양상이 해역별로 크게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는 게 수과원의 설명이다. 수과원에 따르면 올해 고수온 특보 기간은 85일(7.9.∼10.1.)로 작년에 비해 14일이 증가,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했다. 또한 우리 바다 연근해 해역의 7월~9월 평균 수온은 26.8~27.8℃로 평년 대비 2~4℃ 높아 작년과 유사한 고수온 경향을 보였지만 연안은 해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연안별로 살펴보면 서해와 제주 연안 수온은 22~30℃로 8월부터 작년 대비 수온 변동에 큰 차이가 나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