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대응" 경남도, 다기능 담수보 전국 첫 설치 나선다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 산불 발생 10일째를 맞은 30일 오전 산불진화헬기가 덕천강에서 물을 담수하고 있다. 2025.03.30. con@newsis.com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 경상남도는 전국 최초로 산불재난 대응을 위한 소방용수 확보형 다기능 담수보 설치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경남도는 최근 산불의 대형화·연중화 추세에 하천수를 직접 활용한 신속한 진화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6년도 신규사업으로 ‘다기능 담수보 설치’를 기획(시범)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산청·하동 지리산 지역 대형산불 당시 하천수 활용이 산불 진화에 큰 효과를 거둔 것을 계기로 추진된다. 산불 발생 시 하천수를 소방헬기나 소방차 등이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우선 시범 대상지(후보지)는 지리산 권역의 함양 임천과 산청 덕천강(지방하천)으로, 산불조심기간(11월~5월) 동안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하천 폭 60m 이상, 유역면적 50㎢ 이상의 중형 ...
기사 본문
오는 12월15일까지 대책 본부 가동⋯현장 감시 체계 강화 등 산불 예방 훈련 [사진=인천시] 인천광역시는 전년 대비 12일 가량 앞당긴 오는 12월15일(57일)까지 선제적 산불 예방 활동에 집중한다. 20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관내에는 건조한 기후 영향 등 총 7건의 산불이 발생해 1.28㏊에 달하는 산림 피해가 났다. 시는 가을철 산불 조심 기간 예방 강화, 초동 진화 체계 확립, 입산자 실화 방지 등 종합 대책을 수립·추진한다. 시는 산불 방지 대책 본부를 설치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진화차·등짐펌프 등 장비를 점검·정비한다. 산불 전문 예방 진화대, 감시원 등을 활용해 취약지 단속 등을 전개한다. 감시 인력이 접근하기 어려운 산림 사각지대에는 드론 9대와 카메라(CCTV) 79대를 투입해 감시 체계를 강화한다. 올해부터 신규 도입·운영 중인 공중 진화 장비(임차 헬기 1대)도 투입한다. 장두홍 도시균형국장은 "산불 재난 예방과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각 ...
기사 본문
2월15일까지 운영…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 [인천=뉴시스] 함상환 기자 = 인천시는 평년보다 불리한 기상여건과 가을철 산행인구 증가, 이상기후로 인한 산불 대형화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20일부터 12월15일까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에 맞춰 본격적 산불방지 활동을 전개한다. 올해 인천에는 건조한 기후의 영향 등으로 총 7건의 산불이 발생해 1.28㏊의 산림 피해가 발생했다. 시는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동안 산불 예방 강화, 초동진화 체계 확립, 입산자 실화 방지 등 다각적인 홍보와 현장 대응력 강화를 통해 산불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인천시는 올해 '가을철 산불방지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산불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산림자원 보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 20일부터 12월15일까지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동안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설치·운영하며 산불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진화차·등짐펌프 등 산불진화 장비 점검·정비, 산불전문예방진화대와 산불 감...
기사 본문
지난 3월 경남 산청·하동 산불 때 육군 치누크 헬기(CH-47)가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는 모습. /뉴스1 경남도가 지리산권 하천에 산불 진화용 다기능 담수보를 설치한다. 산불 등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하천에 보(洑)를 설치하는 것은 전국 첫 시도다. 경남도는 지리산권 하천 2곳에 최대 물 1만 8000t을 채울 수 있는 높이 1.5∼2m 규모 유압식 가동보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산청·하동 등 지리산 권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진화 당시 하천수를 소방 용수로 활용해 진화에 큰 효과를 거둔 것이 계기가 됐다. 산불이 대형화·연례화하는 상황에서 물 확보가 특히나 힘든 지리산 권역에 산불 진화용 다기능 담수보를 확보하면 산불 진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번에 사업이 추진되는 곳은 지리산 권역 함양 임천과 산청 덕천강이다. 지리산국립공원 구역 밖에 위치한 곳으로,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폭 60m, 유역 면적 50㎢ 이상의 중형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