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설 피해는 없다”…용인특례시, 겨울철 선제적 제설 대책 가동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11월 15일부터 제설대책기간 운영…시민 안전·도로교통 최우선 경기도 용인특례시는 다가오는 겨울철을 대비해 다음 달 15일부터 2026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겨울철 도로 제설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폭설과 결빙으로 인한 교통두절과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과 현장 중심의 신속한 제설 체계 구축에 나섰다. 용인특례시는 겨울철 대설에 대비해 선제적 제설 대책을 가동했다. [사진=용인특례시] 이번 제설대책은 ‘선제적 상황관리·신속 대응·시민참여 확대’를 3대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폭설 시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 소통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시는 노후 제설장비 44대를 교체하고 제설 차량 6대를 추가 투입해 올해는 총 515대(임대 124대 포함)의 제설장비를 확보했다. 또 제설 자재는 친환경 제설제 1만9360t, 액상제설제 3180t, 모래 600㎥, 제설함 1047개 등을 비축해 전년도 사용량의 약 ...
기사 본문
'도로 제설 관련 신기술·신제품 보유 기업이라면 누구나 지역 관계없이 참여 가능 시 누리집·우편 통해 10월20~29까지 접수, 최대 3작품 응모 가능 도보권내 어린이 시설 입지, 단지내 돌봄 고려한 건축계획 및 육아지원 환경 등 심사 ⓒ데일리안DB [데일리안 = 김인희 기자] 1. '제설 신기술' 공개 모집…지역 상관없이 참여 가능 서울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겨울철 폭설로부터 안전한 도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제설 분야 신기술을 공개 모집한다고 20일(월) 밝혔다. 공모 기간은 오는 24일까지이며, 제설 효율성을 높이고 친환경 제설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도로 제설 분야 신기술을 보유한 기업 누구나 지역 관계없이 참여할 수 있다. 공모 주제는 도로 제설 관련 신기술과 제품이다. 스마트 제설시스템, 무인·자동화 기술, 친환경 제설 기술, 제설장비 및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제설 관련 전 분야를 대상으로 한다. 특히 인력 중심으로 이뤄진 기존 제설 방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
기사 본문
제설 차량 등 515대, 친환경 제설제 1만9360t 등 투입 [용인=뉴시스]선제적 제설 대책을 가동한 용인시의 제설장비들(사진=용인시 제공) 2025.10.20 photo@newsis.com [용인=뉴시스] 이준구 기자 = 경기 용인시는 다가오는 겨울철을 대비해 11월15일부터 내년 3월15일까지를 제설대책기간으로 정하고, 겨울철 도로 제설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폭설과 결빙으로 인한 교통두절과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제적 대응과 현장 중심의 신속한 제설 체계 구축에 나섰다. 이번 제설대책은 선제적 상황관리·신속 대응·시민참여 확대를 3대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폭설 시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 소통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뒀다. 시는 노후 제설장비 44대를 교체하고 제설 차량 6대를 추가 투입, 올해는 총 515대(임대 124대 포함)의 제설장비를 확보했다. 또한 제설 자재는 친환경 제설제 1만9360t, 액상제설제 3180t, 모래...
기사 본문
내달 15일부터 내년 3월 15일까지 제설대책기간 운영 용인시 제설 차량. 사진 제공 = 용인시 [서울경제] 용인시는 겨울철을 대비해 11월 15일부터 2026년 3월 15일까지를 제설대책기간으로 정하고, 도로 제설 종합대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제설대책은 ‘선제적 상황관리·신속 대응·시민참여 확대’를 3대 추진 방향으로 설정하고 폭설 시 신속한 대응으로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 소통을 유지하는 데 중점을 뒀다. 용인시는 노후 제설장비 44대를 교체하고 제설 차량 6대를 추가 투입해 올해는 총 515대(임대 124대 포함)의 제설장비를 확보했다. 또한 제설 자재는 친환경 제설제 1만 9360톤, 액상제설제 3180톤, 모래 600㎥, 제설함 1047개 등을 비축해 지난해 사용량의 약 90% 수준을 미리 확보할 예정이다. 용인시는 현재 주요 고갯길과 결빙 취약 구간에는 자동 염수분사장치 127곳과 도로 열선 9곳을 운영하고 있다. 신규로 지방도 321호와 주요 학교 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