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읍성' 15세기 축성 유적 발굴…기장군 발굴조사 현장공개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정종복 기장군수가 14일 학술발굴조사 자문회의에서 발굴조사 관계자로부터 현장설명을 듣고 있다.(기장군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부산=뉴스1) 임순택 기자 = 부산 기장군은 최근 기장읍성 정밀발굴조사 결과 최초 축성 유적이 발견됨에 따라 14일 기장읍 서부리 일원 발굴조사 현장에서 '기장읍성 학술발굴조사 현장공개 및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군에 따르면 기장읍성은 1996년 부산시 문화유산 지정된 이후 발굴조사를 통해 체성, 문지, 해자 등이 확인됐으며 성벽 일부와 해자가 복원·정비됐다. 올해 6월부터 울산문화유산연구원에 의뢰해 기장읍성 서벽 일원 정밀발굴조사 중 기존 성벽 아래에서 초기 성곽유적이 확인됐다. 이번 조사에서 1425년 축성된 읍성 해자와 그 위에 1490년에서 1530년 사이 개축된 체성이 상하 중복 관계로 있음을 최초로 확인했다. 해자에서 출토된 15세기 유물들은 초기 성벽의 범위와 축성 시기를 문헌기록과 연결하는 중요 자료이며, 축조 및 폐기 시기 추정에도 활용...
기사 본문
기장읍성 초축 및 해자 발견 문헌기록만 있던 최초 성벽 등 유적 확인 1996년 부산시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기장군의 ‘기장읍성’의 최초 축성(초축) 유적이 발견됐다. 처음 읍성을 쌓을 때 만든 해자가 확인되는 등 그간 기록으로만 있어 추정만 하던 최초 축성 시기가 실제로 확인됐다. 기장군은 이번 발견을 토대로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승격을 다시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발견된 부산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의 기장읍성 초축 및 해자 전경. 조성우 기자 최근 발견된 부산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의 기장읍성 초축 및 해자의 발굴 작업 현장. 부산 기장군 제공 부산 기장군은 14일 오전 11시 기장군 기장읍 서부리 기장읍성 발굴조사 현장과 함께 최초의 성곽유적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번 정밀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서문지 성곽유적은 이미 발견됐던 남·북문지 성곽과 달리 기장읍성이 처음 만들어질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기장읍성 총 둘레는 약 1.2㎞로, 서·남·북문지가 있었다고 기록에 남아...
기사 본문
1425년께 축성한 체성 해자 발견…14일 학술발굴조사 자문회의 [파이낸셜뉴스] 조선시대 축성한 기장읍성 유적지에서 최초 축성 유적이 발견되며 읍성 축성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더 뚜렷하게 밝혀질 중요한 고고학적 성과가 나왔다. 현재 기장읍성이 국가사적 승격 보류 상태에 놓인 만큼, 향후 사적 승격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최근 진행된 기장읍성 서벽 일대 정비사업 부지 정밀 발굴조사에서 읍성의 최초 축성 유적이 발견되며 축성에 대한 역사적 사실 입증을 위한 중요한 고고학적 성과가 나왔다. 사진은 읍성 서벽 일대 발굴조사 현장 전경. 부산 기장군 제공 부산 기장군은 최근 기장읍성 정밀 발굴조사에서 최초 축성 유적이 발견됨에 따라 14일 기장읍 서부리 일대 발굴조사 현장에서 ‘현장공개 및 자문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기장읍성은 지난 1996년 부산시 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래, 수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체성, 문지, 해자, 치, 건물지 등이 확인됐다. 또 성벽 일부와 해자...
기사 본문
1425년 초축 체성 확인… 가사적 승격 추진에 탄력 기대 기장군은 14일 기장읍 서부리 일원 발굴조사 현장에서 '기장읍성 학술발굴조사 현장 공개 및 자문회의'를 개최하고 기장읍성 최초 축성 유적이 확인된 성과를 공개했다. 이번 성과는 기장읍성의 축성과 관련한 역사적 사실을 보다 명확히 밝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 평가된다. 기장읍성은 지난 1996년 부산시 지정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이후, 여러 차례 발굴조사를 통해 체성, 문지, 해자, 치, 건물지 등이 확인됐으며 일부 성벽과 해자가 복원·정비됐다. 올해 6월부터 군은 (재)울산문화유산연구원에 의뢰해 서벽 일대 정비사업 부지에 대한 정밀발굴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 현재 남아 있는 성벽 아래에 1425년경(세종 7년)에 축성된 최초 성곽유적이 확인됐다. 조사 결과, 초축 체성 해자가 확인됐고, 해자 상부에는 1490년(성종 21년)에서 1530년 사이 개축된 체성이 중복된 구조로 존재함을 최초로 확인했다. 해자에서 출토된 15세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