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서 수능 부정행위 5건 적발…"시험 무효" 처리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진 13일 오전 광진구 광남고에 마련된 서울시교육청 제20시험지구 제3시험장에 입실을 완료한 수험생이 책상 위에 수험표와 시계를 놓아두고 있다. 2025.11.13/뉴스1 ⓒ News1 사진공동취재단 (안동=뉴스1) 김대벽 기자 = 경북교육청은 13일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5건의 부정행위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위반 행위는 종료령 이후 답안 작성 2건,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 소지 1건, 4교시 응시방법 위반 2건으로 나타났다. 시험장 반입 금지 물품 소지 사례는 휴대전화를 가지고 시험장에 들어간 경우이며, 4교시 위반 사례는 1·2선택 과목을 동시에 응시하거나, 1선택 시간에 2선택 과목을 푼 경우로 확인됐다. 부정행위자의 시험은 모두 무효로 처리된다. 경북교육청 관계자는 "수능 부정행위는 성적 처리와 향후 입시에 큰 불이익을 초래하는 만큼 규정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사 본문
개별 사례는 LED타이머, 보조배터리, 에어팟 등 발견 적발 이후 수험생 귀가 조치…시험은 무효처리 방침 [이데일리 이재은 기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13일 치러진 가운데 수험생들 중 반입금지 물품을 소지해 적발되거나 호흡 곤란 증세로 병원에 옮겨진 사례들이 확인됐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러지는 13일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충북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적발된 수능 부정행위는 시험 종료 후 답안 작성 1건을 비롯해 반입금지 물품 소지 1건, 응시방법 위반 1건 등 3건으로 집계됐다. 청주의 한 시험장에서는 종료 알림 이후 답안을 작성하던 수험생이, 충주에서는 반입금지 물품인 전자담배를 소지하던 수험생이 적발됐다. 청주의 또 다른 시험장에서는 한 수험생이 4교시 탐구영역 선택과목 시험 당시 제1선택 과목 시간에 자신이 선택한 두 과목 문제지를 동시에 올려뒀다가 적발된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에서는 8건의 부정행위가 드러났는데 시험 중 ...
기사 본문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치러진 가운데, 대구 시험지구에서 총 6건의 부정행위가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수험생들의 부주의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방법 위반과 반입 금지 전자기기 소지가 전체의 3분의 2를 차지했습니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11월 13일 수능 당일 오후 5시 30분 기준으로 적발된 부정 행위자는 총 6명으로 모두 '당해 시험 무효' 처분을 받습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4교시 탐구 영역 응시 방법 위반과 반입 금지 물품(전자기기) 소지가 각각 2명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 두 유형은 수능 때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정행위 사례입니다. 탐구 영역은 선택 과목 순서대로 응시해야 하며, 정해진 시간에 해당 선택 과목 문제지만 책상에 올려두고 풀어야 합니다. 이를 어기고 2과목 문제지를 동시에 보거나, 선택하지 않은 과목을 보는 경우 부정행위로 간주합니다. 이는 수험생이 유의 사항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
기사 본문
2026 수능에 대하여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3일 목동 종로학원 상황실에서 임성호 대표이사가 전문가들과 수능 문제 분석을 하고 있다. 2025.11.13 hama@yna.co.kr (대구·안동=연합뉴스) 이덕기 김선형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부정 행위자가 대구에서 6명, 경북에서 5명 적발됐다. 대구시교육청은 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응시자 6명이 부정행위로 적발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2명은 반입금지 물품인 전자기기를 소지했으며, 2명은 4교시 탐구영역 응시 방법을 위반했다. 1명은 종료령 이후 답안을 작성·수정했다. 나머지 1명은 휴대할 수 없는 물품을 보관했다가 적발됐다. 경북에서도 2명이 종료령 이후까지 답안을 작성했으며, 1명은 시험장 반입금지 물품인 휴대전화를 소지했다가 부정행위로 처리됐다. 2명은 4교시 탐구영역 응시 방법을 어겼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수능 시행 기본계획에 따라 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