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수사방해' 송창진·김선규 前공수처 부장검사 구속영장 청구

2025년 11월 13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41개
수집 시간: 2025-11-13 02:20:19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노컷뉴스 2025-11-12 16:04:11 oid: 079, aid: 0004085177
기사 본문

채상병 순직 사건 관련 수사 방해 등 혐의 해병특검 "범죄 중대, 증거인멸 가능성 있어" 왼쪽부터 김선규,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 연합뉴스 해병대 채상병 순직 사건 관련 수사 외압 의혹 등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검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전 부장검사들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12일 법조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특검은 송창진·김선규 전 공수처 부장검사에 대해 서울중앙지법에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송 전 부장검사에 대해선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국회증언감정법위반(위증) 혐의가, 김 전 검사에 대해선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가 적용됐다. 이들은 공수처가 채상병 순직 관련 수사외압 사건을 수사하던 시기에 각각 공수처장 및 차장 직무대행, 공수처 부장검사로 근무했다. 특검팀은 이들에 대해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고, 범죄가 중대하며,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송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채상병 순직...

전체 기사 읽기

시사저널 2025-11-12 17:33:11 oid: 586, aid: 0000115815
기사 본문

[이강산 기자 san@sisajournal.com] 공수처장·차장 직무대행 당시 수사외압 의혹 수사 방해한 혐의 특검 "범죄 중대하며 증거 인멸 가능성 있다고 판단" 공수처 측 "이미 퇴직한 분들…입장 내놓기에는 부적절"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명현 특별검사)이 구속영장을 청구한 김선규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부장검사(왼쪽)와 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 ⓒ연합뉴스 해병대원 순직사건 외압 및 은폐 의혹을 수사하는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명현 특별검사)이 김선규·송창진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부장검사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특검팀은 12일 언론 공지를 통해 "순직해병 특검은 오늘(12일) 오후 피의자 김선규에 대하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피의자 송창진에 대하여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국회증언감정법위반(위증) 혐의로 각각 서울중앙지방법원에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은 채해병 수사외압 사건을 공수처에서 수사하던 시기에 공수처 부장검사로 있으면서 ...

전체 기사 읽기

연합뉴스 2025-11-12 16:29:55 oid: 001, aid: 0015738601
기사 본문

채상병 사건 수사 방해·지연시킨 혐의…"범죄 중대하고 증거인멸 가능성" 金, '총선 전 소환말라' 지시 의혹…宋 "영장 결재할 수 없다" 방해 정황 김선규·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의 채상병 순직 사건 수사 방해·지연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순직해병 특별검사팀이 12일 김선규·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에 대한 신병확보에 나섰다. 특검팀은 이날 "피의자들이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만한 상당한(타당한) 이유가 있고, 범죄가 중대하며, 증거인멸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며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서울중앙지법에 청구했다고 밝혔다. 김 전 부장검사와 송 전 부장검사는 공수처가 채상병 사건을 수사하던 시기 공수처 처장·차장직을 대행했다. 이들은 이른바 '친윤 검사'로 분류되는 인사로, 특검팀은 이들이 수사를 방해·지연시킨 배경에 윤 전 대통령과의 친분이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하고 있다. 김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상...

전체 기사 읽기

조선일보 2025-11-13 00:55:08 oid: 023, aid: 0003940629
기사 본문

김선규·송창진 前부장검사 순직 해병 특검은 12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고(故)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 수사와 관련한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것을 방해한 혐의를 받는 김선규·송창진 전 공수처 부장검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해병 특검은 이날 “피의자들이 죄를 범했다고 의심할 만하고, 범죄가 중대하며, 증거 인멸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김 전 부장검사는 작년 1~5월 공수처장 직무대행을, 송 전 부장검사는 공수처 차장 직무대행을 맡아 채 상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 수사를 지연하고 방해한 혐의(직권남용) 등을 받고 있다. 특검은 최근 공수처 관계자로부터 “김 전 부장검사가 작년 초 ‘4월 총선 전 채 상병 사건 관련자를 소환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총선이 끝난 뒤 ‘채 상병 특검법’의 처리가 임박하자 ‘관련자 조사를 서두르라’고 지시했다”는 진술을 받았다. 특검은 당시 수사 검사가 김 전 부장검사의 이 같은 지시를 받아 적은 수첩 등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송...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