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붕괴 현장서 시신 추가 수습… 사망자 4명으로 늘어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수색 재개 7시간 만에 시신 수습 매몰자 3명 중 2명 위치 파악 중 구조대원 70여 명 24시간 수색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소방대원들이 매몰자의 시신을 수습하고 있다. 이로써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4명으로 늘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매몰자 시신 1구가 추가로 수습됐다. 사망자는 4명으로 늘었고, 3명은 아직 매몰된 상태다. 소방방국은 이날 오후 10시 14분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 속에서 60대 작업자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밝혔다. 사고가 난 5호기 앙 옆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어 구조의 걸림돌이 됐던 4호기와 6호기를 발파하고, 매몰자 수색을 재개한 지 7시간 만이다. 수습된 매몰자는 5호기 잔해물 중 6호기 방향 입구 3∼4m 지점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6일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 보일러 타워 5호기가 철...
기사 본문
12일 오전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수습된 매몰자를 구조대원들이 들것을 이용해 붕괴된 건물 밖으로 나오고 있다. 뉴스1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5호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발생 일주일째인 12일 오전 6시쯤 소방당국은 수색·구조 작업을 진행하며 60대 남성 매몰자 1명을 추가로 수습했다. 전날 오후 10시 12분쯤에도 사망한 또 다른 60대 남성 매몰자 1명을 발견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이들 매몰자는 모두 지난 6일 사고로 붕괴된 5호 보일러 타워 잔해 입구 쪽 가까이에서 발견됐다. 소방당국은 수색·구조 작업에 걸림돌이 됐던 4호 보일러 타워와 6호기의 발파 해체 작업을 지난 11일 완료했다. 이들 타워는 5호 보일러 타워 사고 현장에서 불과 30m 거리에 위치해 있었다. 특히 이미 취약화 작업이 된 상태여서 구조 장비 진동에 따른 추가 붕괴 위험이 있었다. 이로 인해 크레인 같은 대형 중장비 투입이 어려웠다. 12일 오전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수습된 매몰자를 병원으로 ...
기사 본문
400t 크레인으로 사고 타워 고정 잔해 하나씩 절단하며 구조 재개 위치 확인 2명중 1명 시신 수습 “후진국형 참사 되풀이되지 않길” 울산화력발전소 타워 폭파 해체 울산 남구 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무너진 5호기 양옆의 4·6호기(위쪽 사진)가 낮 12시 기둥에 설치된 폭약이 터지며 동시에 무너져 내리고 있다(아래쪽 사진). 두 타워의 추가 붕괴 우려가 제기되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신속하고 안전한 구조를 위해 폭파 해체를 결정했다. 이날 오후 3시 40분부터 구조가 재개됐고, 오후 10시 14분 매몰자 1명의 시신이 추가로 수습됐다. 울산=뉴시스 “쾅, 쾅.” 11일 낮 12시 정각,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 지축을 울리는 굉음이 두 차례 울려 퍼졌다. 무전기를 든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관계자가 “5, 4, 3, 2, 1, 발파!” 카운트다운 후 버튼을 누르자,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의 4, 6호기에 설치된 폭약이 연쇄 폭발했다....
기사 본문
울산火電 4·6호기 발파 완료 높이 63m 타워 2개 5초 만에 폭삭 인명구조 위한 강제 폭파 이례적 굴착기 등 중장비 6대 현장 투입 해체·수색전문가 등 70명도 동원 발주처·원청사 사고 엿새째 ‘침묵’ 檢·警 등 전담팀 꾸려 본격 수사 ‘콰쾅!!’ 짧은 굉음이 두 번 울리자 거대한 철골 구조물 두 개가 무너져내렸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 엿새째인 11일 낮 12시. 울산 남구에 서 있던 4·6호기 보일러타워가 폭파로 순식간에 사라졌다. 높이 63m, 가로 25m, 세로 15.5m에 달하는 두 개의 거대한 철제 타워는 5초 만에 잔해더미로 변하면서 흙먼지와 파편이 폭풍처럼 주변을 뒤덮었다. 11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와 실종자 구조를 위해 4·6호기를 발파한 뒤 소방당국과 관계자들이 매몰자 구조 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뉴시스 이들 타워로 5호기 붕괴사고의 구조·수색이 지연되자 소방당국은 방해가 된 두개 타워를 폭파해 ...
기사 본문
붕괴 7일차 2명 부상, 5명 사망, 1명 매몰 위치 파악, 1명 실종 구조대원 직원 70여 명과 민간 해체 전문가 40여 명 투입 실종자 2명 중 1명 4호기 방향에서 위치 파악돼 나머지 실종자 1명은 수색견, 영상 탐지기 등 활용에 수색 현장 구조대원 유해 물질 노출 위험 울산시 피해자 가족 지원센터 운영, 의료 지원 구조대원들이 12일 새벽 밤샘 수색 구조 작업 끝에 60대 매몰자의 시신을 수습해 현장을 빠져나오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7일차에 접어든 울산화력발전 붕괴 사고 매몰자 수색 구조와 관련해 소방당국은 남아 있는 2명을 신속히 구조하기 위해 가용자원을 최대한 투입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김정식 울산 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구조 작업 재개 이후 구조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조대원 직원 70여 명과 민간 해체 전문가 40여 명 구조 중이다"라고 밝혔다. 전날 소방과 군부대의 조명차 6대를 동원해 동원해 밤...
기사 본문
12일 새벽 무너진 타워 잔해 속에서 발견 매몰된 작업자 7명 중 공식 사망자는 5명 소방 당국, 남겨진 매몰자 수색·구조 계속 12일 오전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현장에서 수습된 매몰자를 병원으로 이송하기에 앞서 소방대원들이 거수경례와 묵념을 하고 있다. [소방청 제공] [헤럴드경제=이용경 기자] 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일주일째인 12일 새벽 매몰자 시신 1구가 추가로 수습되면서 사망자는 5명으로 늘었다.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5시19분께 보일러 타워 5호기 잔해 속에서 매몰자인 60대 남성의 시신 1구를 수습했다고 밝혔다. 해당 매몰자의 위치는 전날 오후 10시14분께 또 다른 매몰자 시신 1구를 수습하던 중 보일러 타워 6호기 방향 지점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방 당국은 밤사이 절단기로 철근을 자르며 공간을 확보해 매몰자의 시신을 수습했다고 한다. 수습된 이후에는 즉각 사망 판정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보일러 타워 5호기에 매몰된 작업자 7명 중 사망자는 ▷...
기사 본문
[울산=뉴시스] 배병수 기자 = 지난 11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당국이 매몰자 구조작업을 준비하고 있다. 2025.11.11. bbs@newsis.com [울산=뉴시스] 안정섭 기자 =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발생 일주일째인 12일 소방당국이 실종자 2명 중 1명의 시신을 발견해 구조하는 등 수색에 속도를 내고 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오전 사고 현장 인근에서 브리핑을 열고 "구조대원들이 동력 절단기를 활용해 철판을 자르면서 공간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구조 및 수색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대원 70여명과 민간 전문가 80여명이 교대로 24시간 구조작업을 이어가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구조 대상자는 위치가 확인된 1명과 매몰 지점을 파악하지 못한 1명 등 총 2명"이라며 "위치가 확인된 피해자의 경우 크레인을 동원해 상부 구조물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한 고정작업을 실시하고 안전성을 확보한 뒤 진입해 구조할 ...
기사 본문
밤새 2구 수습, 사망자 5명으로 늘어 원청·발주처 ‘침묵’ 속 수사 확대 “기울어진 잔해 제거하며 수색 지속” 12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부근에 구급차가 오가고 있다. 이번 사고 매몰자 7명 중 사망자는 5명이며 나머지 2명은 여전히 매몰 상태다. 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일주일째인 12일 구조대는 잔해 속에 남아 있는 매몰자 2명을 찾기 위한 총력 구조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전날 밤사이 매몰자 2명의 시신이 추가로 수습되면서 사망자는 5명으로 늘었다.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붕괴한 5호기 잔해 중 4호기와 인접한 구역에 매몰된 1명을 우선 구조 중”이라며 “아직 실종 상태인 1명을 찾기 위해 구조견과 영상 탐지기 등 모든 장비를 동원해 수색 범위를 넓히고 있다”고 밝혔다. 12일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구조 인력 투입 전 지시를 받고 있다. /사진=울산소방본부 제공 이번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