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에 멈추고 해킹에 털리고…정부전산망, 또 드러난 관리 부실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행안부 "지난 7월 외부 PC서 '온나라' 접근 정황 확인" 8월 美보안매체 '프랙' 해킹보도 두달 만에 사실 인정 "공무원 650명 인증서 파일 탈취…3명은 악용 가능성" 배후 등 정확한 경위 몰라…늑장 발표·'3년 깜깜' 논란 전산망 장애 속 관리 부실 비판…전자정부 1위 '오명'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지난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범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지난 7월 외부 PC에서 접근한 정황을 확인, 유출 경위와 피해 영향도 등을 조사중이며 보안 강화를 시행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5.10.17. ppkjm@newsis.com [서울=뉴시스] 강지은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정부 전산망 장애가 3주 넘게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공무원 업무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 등이 외부 해킹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정부의 행정망 관리 체계가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해킹 정황 인지 후 보안 ...
기사 본문
온나라 3년간 열람…공무원 650명 행정전자서명 인증서 탈취 정보시스템 보안 강화 30%↓…사이버 침해 예방도 3.8% 줄어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이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범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지난 7월 외부 PC에서 접근한 정황을 확인, 유출 경위와 피해 영향도 등을 조사중이며 보안 강화를 시행중이라고 밝히고 있다. 2025.10.17. ppkjm@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과 공무원 인증에 활용되는 행정전자서명(GPKI)이 해킹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정부 행정망까지 사이버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됐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행정안전부의 정보보호 인프라 관련 예산은 되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행안부에 따르면 올해 정보보호 인프라 확충 사업 예산은 199억3300만원으로, 지난해(361억1140만원) 대비 약 161억원(44.8%) 감소했다...
기사 본문
국정자원 화재 와중 온나라시스템 해킹도 확인 올해 정보보호 인프라 확충 예산 전년비 44%↓ 사고 후 “재발 방지” 언급, 말뿐인 ‘사이버 보안’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지난 17일 세종시 도움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제공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행정전산망이 마비가 된 상황에서 공무원 업무시스템이 해킹을 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정부 전산망의 부실한 관리가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사이버 보안 사고가 있을 때마다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공언했지만, 올해 편성된 관련 예산은 지난해보다 줄어들었다.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약 3년간 신원을 알 수 없는 해커가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한 뒤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해 내부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8월 미국 해킹 관련 매체인 ‘프랙 매거진’이 한국...
기사 본문
美서 해킹 의혹 나온 지 두 달 만에 인정 중국어 번역 기록, 대만 해킹 시도 정황 행안부, 정부업무관리시스템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 (서울=연합뉴스)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이 17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10.17 [행정안전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공무원 업무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이 3년 가까이 해킹당한 사실이 뒤늦게 확인된 가운데, 정부가 내놓은 보안 강화책이 ‘임시방편’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 업무망 해킹은 대미 협상 전략 등 국가 기밀이 새 나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며 중장기 로드맵 마련을 촉구했다. 19일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해커는 공무원 행정업무용 인증서(GPKI)와 패스워드 등을 확보해 행정안전부의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해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했다. 이들은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약 3년간 행정망 내부 자료를...
기사 본문
“사이버보안 지킬 것”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화재 피해 복구작업이 진행 중인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을 찾아 화재 진압을 위해 외부로 옮겨진 배터리들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19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윤석열 정부 출범 직후부터 3년 가까이 정부의 온나라시스템이 해킹당했던 것으로 밝혀졌다”며 “윤석열 정권 내내 해커가 정부의 네트워크망에 접속했던 것이다. 해킹이 확인된 온나라시스템은 정부와 지자체 업무까지 통합한 전산망인 만큼 철저히 점검하고 재발 방지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지혜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다행히도 국민주권 정부는 그동안 윤 정권이 해오지 않았던 ‘정부업무관리시스템 보안 강화’에 이미 착수했다. 지난 17일 발표된 대책에 따르면 올해 8월 4일부터 정부원격근무시스템에 접속 시 행정전자서명 인증과 전화 인증 등을 통해 보안이 강화됐다”며 “또한 대국민 정부 서비스 인증 체계에도 생체인증 수단을 활용하는...
기사 본문
정부 전산시스템 복구율 51.9%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16일 정부세종청사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세종=뉴스1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인한 정부 행정전산망 장애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정부 업무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까지 해킹 공격에 노출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나면서 정부 행정망 전반의 관리 부실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단순한 기술 장애를 넘어 국가 행정 신뢰도에 막대한 타격을 줄 수 있는 사안인 만큼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신원을 알 수 없는 해커가 부처 업무용 인증서(GPKI) 등을 이용해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해 재택근무 시 사용하는 원격 접속 시스템(G-VPN)을 통과한 뒤 내부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파악됐다. 온나라시스템은 공무원이 업무를 볼 때 활용하는 행정망이다. 공무원들은 GPKI 인증을 ...
기사 본문
3년간 ‘온나라시스템’ 해킹 사실 인지 못해…‘관리부실’ 도마에 행안부, 뒤늦게 “보안 강화”…관련 예산 전 정부서 45%나 줄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행정전산망이 마비된 상황에서 공무원 업무시스템이 해킹당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정부 전산망의 부실한 관리가 도마에 올랐다. 정부는 사이버 보안 사고가 있을 때마다 재발방지 대책 마련을 공언했지만, 올해 편성된 관련 예산은 지난해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2년 9월부터 올해 7월까지 약 3년간 신원을 알 수 없는 해커가 정부업무관리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접속한 뒤 원격접속시스템(G-VPN)을 통해 내부 자료를 열람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8월 미국 해킹 관련 매체인 ‘프랙 매거진’이 한국 정부기관과 민간기업이 대거 해킹당한 정황을 공개한 지 약 2개월 만에 피해 사실을 확인해준 것이다. 온나라시스템은 공무원들이 행정전자서명(GPKI) 인증을 거쳐 접속한 뒤 서류를 주고받거나 보고 등...
기사 본문
650명 전자서명 인증서 유출 뒤늦게 파악 후 ARS 등 추가 정부가 공무원 업무 시스템인 ‘온나라 시스템’과 공무원들이 인증을 위해 사용하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가 해킹당한 사실을 뒤늦게 파악하고 보안을 강화했다. 19일 행정안전부와 국가정보원에 따르면 해커는 행정전자서명 인증서 등을 확보해 2022년 9월∼올해 7월 약 3년간 재택근무에 쓰이는 원격 근무 시스템을 통해 온나라 시스템에 접속해 자료를 열람했다. 올해 8월 미국의 해킹 전문지 프랙이 이 같은 해킹 의혹을 처음 제기했는데, 국정원은 그보다 앞선 지난 7월 첩보를 입수해 행안부 등 유관 기관과 정밀 분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용석 행정안전부 디지털 정부혁신실장이 지난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정부업무관리시스템(온나라) 해킹 대응 관련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해킹 피해를 본 행정전자서명 인증서는 650명분으로, 이 중 12명은 인증서 키와 비밀번호도 유출됐다. 행안부는 해당 인증서의 유효성 여부를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