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질병관리청 2024년 건강조사 성인비만율 10년새 26% → 34% 국내의 만 19세 이상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년 전엔 4명 중 1명꼴이었는데 약 30.8% 증가했다. 특히 40대 남성은 2명 중 1명이 비만일 정도로 비만율이 심각했다. 질병관리청이 이 같은 내용의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질병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데 올해는 성인 약 23만명을 조사했다. 2015년 26.3%였던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지난해 34.4%로 증가했다. 남성 41.4%, 여성 23%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1.8배 높았다. 남성은 30대(53.1%)와 40대(50.3%)에서 비만율이 높았고,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광역시도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높은 곳은 전남(36.8%)과 제주(36.8%)였으며, 가장 낮은 곳은 세종(29.1%)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기사 본문
상·하위 지역 10곳 조사해보니 지방에 사는 70대 A씨는 최근 무릎이 아파 병원에 갔다가 의사에게 “비만이라 무릎에 충격이 간 거다. 살을 빼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다. 그는 “비슷한 나이대에서 내가 평균 정도일 거라고 생각해 왔는데, 정말 뜻밖이었다”며 “그동안 내가 비만이란 생각을 전혀 하지 못했다”고 했다.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이란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소득이 낮고 고령층이 많은 지역일수록 비만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했다. 질병관리청은 만 19세 이상 성인 23만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년 지역사회 건강 조사’를 바탕으로 성인 비만율을 심층 분석한 결과를 10일 발표했다. 우리나라 성인의 34.4%가 의학적으로 비만에 해당되는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BMI는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우리나라 비만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인 56.4%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서구화돼 가는 식단 등으로 ...
기사 본문
작년 국내 성인 34.4% 비만…최근 10년간 약 30.8% 증가 비만율은 전남·제주(36.8%)가 가장 높고, 세종(29.1%)이 가장 낮아 시군구 중 가장 낮은 곳은 경기 과천시(22.1%), 가장 높은 곳 충북 단양군(44.6%) 사진= 질병청 지난해 국내 성인 3명 중 1명(34.4%)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율은 최근 10년 새 30.8% 증가했다. 지역별로 전남·제주(36.8%)가 가장 높고, 세종(29.1%)이 가장 낮았다. 비만은 심혈관질환, 제2형 당뇨병,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뿐 아니라 대장암, 간암, 췌장암 등 암 발생과도 관련이 높아 식이조절과 운동 병행으로 체중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질병관리청은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이 같은 비만율을 산출했다고 10일 밝혔다. 비만율은 조사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는 본인의 체중과 신장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BMI, ㎏(체중)/㎡(신장))가 25 이상인 분율로 ...
기사 본문
[자료=질병관리청]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별로는 남성 비만율이 41.4%로 여성(23.0%)보다 1.8% 높았습니다. 남성은 30대와 40대에서, 여성은 60대와 70대에서 비만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오늘(10일) 질병관리청은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이 34.4%로 집계됐다고 밝혔습니다. 지역별로는 전남과 제주의 비만율이 36.8%로 가장 높았고, 세종은 29.1%로 가장 낮았습니다. 이번 발표는 질병청이 매년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분석에는 조사 응답을 기반으로 산출된 비만율이 활용됐습니다. 비만율은 조사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는 본인의 체중과 신장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분율로 정의 및 산출되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34.4%로, 성인 3명 중 1명이 비반인 셈입니다. 이는 10년...
기사 본문
질병청,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분석 결과 발표 성인 3명 중 1명 비만…전남·제주 비만율 가장 높아 남성 비만율 41%, 여성은 23%…성별 격차 1.8배 "비만치료제 쓰더라도 운동·식이조절 병행은 필수" [서울=뉴시스]복부비만 사진. (사진= 유디두암치과의원 제공) 2021.07.26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최근 10년간 국내 성인 비만율이 30% 증가해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와 40대 남성은 전체의 절반이 비만일 정도로 비만율이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5~7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약 23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비만율은 조사대상자가 인지하고 있는 본인의 체중과 신장을 바탕으로 체질량지수가 25 이상인 분율로 산출했다.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2015년 26.3%에서 2024년 34.4%로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해왔다. 10년...
기사 본문
비만은 질병 단순한 체중 아닌 만성질환 성인비만율 34% 생활습관 관리가 핵심 비만인 성인 직장인의 모습. 챗GPT AI 생성 이미지 [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질병관리청은 10일 발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 성인 비만율이 34.4%로 10년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전국 평균을 기준으로 전남(36.8%)과 제주(36.8%)가 비만율이 가장 높았으며, 세종(29.1%)이 가장 낮았다. 질병관리청은 “비만은 심혈관질환, 당뇨병, 암 등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이 되는 주요 건강위험 요인으로, 국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비만율은 10년 전인 2014년(26.3%)에 비해 약 30.8% 증가했다. 비만은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기준으로 산출한 값으로, 조사대상자가 스스로 응답한 신체정보를 토대로 계산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 41.4%, 여성 23.0%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
기사 본문
국내 성인 비만율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국내 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새 약 31% 늘면서 전 국민을 위협하는 만성질환이 됐다. 비만율은 전남·제주가 가장 높고, 세종이 제일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질병관리청은 10일 지난해 지역사회건강조사에 기반을 둔 성인 비만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역사회건강조사는 매년 이뤄지며, 지난해엔 약 23만명이 참여했다. 이번 분석에 활용된 비만율은 조사 대상자가 인지하는 본인 체중·신장에 따른 체질량지수(BMI·㎏/㎡)가 25 이상인 경우로 정의했다. 지난해 성인 비만율은 34.4%로 집계됐다. 해당 수치는 꾸준히 늘어나는 양상이다. 2015년엔 4명 중 1명(26.3%) 수준이었지만, 10년간 30.8% 증가했다. 식단 서구화, 생활습관 변화 등이 비만을 부추기고 있다. 박경민 기자 남성 비만율은 41.4%로 여성(23%)보다 1.8배 높았다. 특히 사회생활이 활발한 30대(53.1%)·40대(50.3...
기사 본문
비만 뱃살 관련 이미지. 경향신문 자료사진 성인 3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사이 비만율은 30% 넘게 늘었는데 특히 30·40대 남성 절반이 비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질병관리청이 10일 발표한 ‘2024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기준, 비만에 해당하는 성인은 전체의 34.4%였다. 10년 전 4명 중 1명(26.3%)이 비만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약 30.8% 증가한 수치다. 이중 남성 비만율은 41.4%로 여성(23.0%)보다 약 1.8배 높았다. 특히 사회생활을 활발히 하는 30대(53.1%)와 40대(50.3%) 남성은 2명 중 1명이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은 고령층인 60대(26.6%)와 70대(27.9%)에서 상대적으로 비만율이 높았다. 질병관리청 제공 스스로를 비만이라고 인식하는 비율도 높았다. 성인 인구의 절반 이상(54.9%)은 주관적으로 자신이 비만이라고 답했다. 실제로 비만인 사람이 이를 자각하고 있는 비율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