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김기현 아내, 김건희에 선물한 가방은 대가성 상납…특검 수사해야"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김건희 자택서 '로저비비에 가방', 편지 발견" "특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으로 수사해야" [서울=뉴시스]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금민 기자 =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9일 "윤석열 자택에서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 측이 전달한 '로저 비비에' 명품백이 특검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됐다"며 "'윤심'(윤석열 전 대통령의 마음)의 전당대회 개입 의혹에 대한 '대가성'을 입증하는 '스모킹 건'"이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전 대표와 김건희는 입이라도 맞춘 듯 '사회적 예의 차원'의 선물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예의가 아니라 대가성 상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 6일 김건희 여사의 자택을 압수수색 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명품 브랜드 로저비비에 가방을 압수한 바 있다. 당시 현장에는 김 전 대표의 배우자가 작성한 '당선을 도와주셔서 감사하다'는 내용의 메모지도 발견...
기사 본문
[앵커] 김건희 여사가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측으로부터 고가 가방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김 의원과 김 여사 모두 '대가 없는 선물'이라고 주장했는데, 가방과 함께 발견된 편지엔 '당대표 당선을 도와주셔서 감사하다'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보도에 정상빈 기자입니다. [리포트] 김건희 여사가 들고 있는 이 검정색 손가방, 특검팀이 같은 브랜드 비슷한 가방을 김 여사 자택에서 압수했습니다. 100만 원이 훌쩍 넘는 이 가방엔,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 배우자 이 모 씨가 쓴 '편지'가 있었습니다. 김 의원의 당대표 당선을 도와줘서 감사하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선물을 발견했다는 KBS 단독보도에, 김 의원은 "배우자끼리 의례적인 예의 차원"이었다고 했습니다. 김 여사 측도 "대가적 목적이 아닌, 사회적·의례적 선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특검은 김 여사가 2023년 당대표 선거에 개입하고, 선물을 받은 거로 의심합니다. KBS 취재 결과, 특검팀은 압수수색 영장에 김 여사를...
기사 본문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8월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마치고 법원을 나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김건희 여사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쪽에서 100만원대 명품 가방을 전달한 사실을 공개적으로 인정했다. 하지만 대가적 목적은 없었다고 했다. 김 여사 변호인단은 8일 오전 입장문을 내어 “당시 신임 여당 (김기현) 대표 쪽에서 대통령의 배우자에게 인사를 전하고자 100만원대의 클러치백을 전달한 사실은 있다”며 “하지만 이는 어떠한 대가적 목적이 아닌, 사회적·의례적 차원의 선물이었으며 어떠한 청탁도 없었다”고 말했다. 김 여사 변호인단은 “보석 심리를 앞둔 시점에서 특검이 무리하게 별건 수사를 진행하는 것은 이해하나, 일부 언론 보도에서 마치 본 사안이 사적 수수나 대가 관계가 있었던 것처럼 과도하게 추측되고 부풀려지는 점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앞서 이날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도 입장문을 내어 자신의 아내가...
기사 본문
김건희 여사는 2023년 3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에 당선된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의 아내에게 100만원대 손가방을 선물받았다. 김건희 특검팀은 청탁금지법 위반 혐의를 적용해 수사하고 있다. 사진 공동취재단 김건희 여사의 명품 수수 의혹이 2023년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에 당선된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으로 옮겨붙었다. 3·8 전당대회 9일 만인 2023년 3월 17일 당시 당 대표에 선출된 김 의원의 아내가 김 여사에게 100만원대 로저비비에 손가방을 선물한 사실이 드러나면서다. 김 의원의 아내는 손가방과 함께 “남편의 당대표 당선을 도와줘서 감사하다”는 취지의 손편지도 전달했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지난 6일 김 여사의 자택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를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이 손가방을 발견했다. 이날 압수수색은 인테리어 업체 21그램 측에서 김 여사에게 명품을 선물하고 그 대가로 관저 공사를 수주했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강제수사였는데, 그 과정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