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장동 항소 포기' 검찰총장 대행·법무장관 고발 당해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지난달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대검찰청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7. 사진=뉴시스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과 관련해 노만석(사법연수원 29기) 검찰총장 직무대행과 정성호 법무부 장관 등이 보수성향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당했습니다.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는 오늘(9일) 직무유기, 직권남용, 업무방해,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노 대행과 정 장관 등에 대한 고발장을 서울경찰청에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 서민위는 "헌법과 법률에 따라 검사로서 당연히 해야 할 업무를 해태했다"며 "정 장관 등의 부적절한 행위는 직권을 남용해 직원의 권리·업무를 방해했을 뿐만 아니라 직원의 자존감마저 무너뜨리는 명예훼손"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서민위는 항소 포기 과정에 법무부와 대통령실이 개입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성호 법무부 장관, 이진수 법무부 차관,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봉욱 민정수...
기사 본문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 중앙포토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의 항소 포기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가 검찰과 법무부 수뇌부를 형사 고발했다.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는 9일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하고,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 차장검사)을 비롯한 6명을 직권남용·업무방해·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고발했다고 밝혔다. 피고발인에는 두 사람 외에도 이진수 법무부 차관, 박철우 대검 반부패부장,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봉욱 대통령실 민정수석이 포함됐다. 서민위는 고발장에서 “전례 없는 검찰의 항소 포기 결정 과정에서 외압이나 부당한 지시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헌법과 법률이 검사에게 부여한 공정한 직무 수행 의무를 저버린 불법 행위로 합리적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장관 등 일부 관계자들은 직권을 남용해 부하 직원들의 직무 수행을 방해했을 뿐 아니라 자존감과 명예까지 훼손했다”고 덧붙였다. 단체는 또 “만...
기사 본문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과 관련해 검찰이 항소를 포기한 것을 두고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보수 성향의 시민단체가 검찰과 법무부 수뇌부를 형사 고발했다.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는 9일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과 정성호 법무부 장관을 비롯한 관계자 6명을 직권남용, 업무방해, 명예훼손 등의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 (사진= 뉴스1) 서민위는 고발장에서 “전례 없는 검찰 항소 포기 결정이 내려지는 과정에서 외압이나 부당한 지시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헌법과 법률이 검사에게 부여한 공정한 수사 의무를 저버린 불법적 행위로 합리적인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 장관 등 일부 관계자들의 행위는 직권을 남용해 부하 직원들의 직무 수행을 방해했을 뿐 아니라 그들의 명예와 자존감까지 훼손했다”고 덧붙였다. 이번 고발의 피고발인에는 노 총장 대행과 정 장관 외에도 박철우 대검찰청 반부패부장, 이진...
기사 본문
서울중앙지검, 8일 0시까지 항소장 제출 않아…"직원들 명예 훼손"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이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대검찰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0.27/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유채연 송송이 기자 = 대장동 개발 비리 의혹 사건의 항소 포기 논란과 관련해 시민단체인 서민민생대책위원회(서민위)가 정성호 법무부 장관과 노만석 검찰총장 직무대행(대검찰청 차장검사) 등을 고발했다. 서민위는 9일 두 사람을 비롯해 대통령실 봉욱 민정수석, 김현지 제1부속실장, 이진수 법무부 차관, 박철우 대검찰청 반부패부장 등 6명을 직권남용, 명예훼손 등 혐의로 서울경찰청에 고발했다고 9일 밝혔다. 단체는 "검찰의 '항소 포기'가 이뤄지는 과정에서 아무리 위선에서 외압을 하는 등 불가피한 상황이 돌출됐다 할지라도 법을 위반한 불법적 지시였다는 합리적 의심을 낳는 상황을 헌법과 법률에 따라 검사로서 당연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