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산불조심기간 비상근무 돌입…한라산에 헬기 2대 배치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해 10월24일 서귀포시 미악산 일대에서 진행된 산불진화 통합훈련 현장.(제주특별자치도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주=뉴스1) 오미란 기자 = 제주도는 산불조심기간인 20일부터 12월15일까지 16개 기관에 산불방지대책본부 상황실을 설치하고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해당 16개 기관은 도와 한라산국립공원, 행정시(제주시·서귀포시) 공원녹지과, 읍·면 12곳이다. 도는 우선 도내 오름과 등산로 등 산불취약지를 중심으로 산불감시원 103명,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113명, 산불진화차량 34대, 무인감시카메라 27개 등을 전진 배치하기로 했다. 특히 한라산국립공원에는 산림청 제주산림항공관리소의 산불진화용 헬기 1대와 도 소방안전본부 헬기 1대를 상시 대기시키기로 했다. 도 관계자는 "2020년 김녕리 야산과 성산읍 유건에오름, 2022년 서호동 고근산에서 산불이 나는 등 제주 역시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입산객 부주의나 불법 소각으로 산불이 ...
기사 본문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 산불 발생 10일째를 맞은 30일 오전 산불진화헬기가 덕천강에서 물을 담수하고 있다. 2025.03.30. con@newsis.com [창원=뉴시스] 김기진 기자 = 경상남도는 전국 최초로 산불재난 대응을 위한 소방용수 확보형 다기능 담수보 설치사업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경남도는 최근 산불의 대형화·연중화 추세에 하천수를 직접 활용한 신속한 진화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6년도 신규사업으로 ‘다기능 담수보 설치’를 기획(시범) 추진한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산청·하동 지리산 지역 대형산불 당시 하천수 활용이 산불 진화에 큰 효과를 거둔 것을 계기로 추진된다. 산불 발생 시 하천수를 소방헬기나 소방차 등이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운영된다. 우선 시범 대상지(후보지)는 지리산 권역의 함양 임천과 산청 덕천강(지방하천)으로, 산불조심기간(11월~5월) 동안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하천 폭 60m 이상, 유역면적 50㎢ 이상의 중형 ...
기사 본문
소방헬기가 산청 덕천강에서 진화용수를 취수하고 있다. 경남도 제공 대형산불 발생시 소방용수를 확보하고 수자원관리 목적도 충족하는 전국 최초의 다기능 담수보 설치사업이 경남에서 시범 추진된다. 경남도는 산불재난 대응을 위한 소방용수 확보형 다기능 담수보 설치사업을 전국 처음으로 도입한다고 19일 밝혔다. 도는 산불의 대형화‧연중화 추세에 하천수를 직접 활용해 골든타임을 확보하는 등 신속 진화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내년 신규사업으로 ‘다기능 담수보 설치’를 기획해 시범 추진한다. 이 사업은 지난 3월 산청·하동 지리산 지역 대형산불 당시 하천수 활용이 진화에 유용했던 점에 착안했다. 신형 담수보는 산불 발생시 하천수를 소방헬기가 담기 쉽고, 소방차 등의 접근성을 개선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구조로 운영된다. 시범 대상지는 지리산 권역인 함양 임천과 산청 덕천강이다. 산불조심기간(11월~이듬해 5월) 동안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하천 폭 60m 이상, 유역면적 50㎢ 이상의 중형 하천을...
기사 본문
지난 3월 경남 산청·하동 산불 때 육군 치누크 헬기(CH-47)가 산불 진화 작업을 벌이는 모습. /뉴스1 경남도가 지리산권 하천에 산불 진화용 다기능 담수보를 설치한다. 산불 등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 하천에 보(洑)를 설치하는 것은 전국 첫 시도다. 경남도는 지리산권 하천 2곳에 최대 물 1만 8000t을 채울 수 있는 높이 1.5∼2m 규모 유압식 가동보를 설치할 계획이라고 1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 3월 산청·하동 등 지리산 권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진화 당시 하천수를 소방 용수로 활용해 진화에 큰 효과를 거둔 것이 계기가 됐다. 산불이 대형화·연례화하는 상황에서 물 확보가 특히나 힘든 지리산 권역에 산불 진화용 다기능 담수보를 확보하면 산불 진화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다. 이번에 사업이 추진되는 곳은 지리산 권역 함양 임천과 산청 덕천강이다. 지리산국립공원 구역 밖에 위치한 곳으로, 충분한 용수 확보가 가능한 폭 60m, 유역 면적 50㎢ 이상의 중형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