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실종자 2명 사흘째 구조 난항... 검찰, 전담 수사팀 구성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109개
수집 시간: 2025-11-09 19:41:3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한국일보 2025-11-08 09:18:11 oid: 469, aid: 0000896432
기사 본문

사망자 1명, 사망 추정자 2명도 아직 매몰 상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흘째인 8일 오전 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4호기 뒤편 이미 붕괴한 5호기에서 구조와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로 실종된 작업자 2명의 행방이 여전히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사망자 1명과 사망이 추정되는 2명도 아직 매몰 상태다. 8일 울산소방본부에 따르면 밤사이 구조대원 40여 명이 5인 1조로 30분씩 교대로 투입돼 현장을 수색했으나 실종자를 발견하지 못했다. 김정식 울산남부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이날 현장 브리핑에서 “사람이 들어가서 볼 수 있는 곳은 내시경 카메라 등을 동원해 전부 확인했다”면서 “찾지 못한 2명은 (무너진 구조물에) 완전히 짓눌린 부분에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위치가 파악된 3명(사망자 1명, 사망 추정 2명)도 철골 등에 짓눌려 구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소방 당국은 무너진 보일...

전체 기사 읽기

매일경제 2025-11-09 10:23:08 oid: 009, aid: 0005586872
기사 본문

8일 오후 경보음 울려 구조·수색 전면 중단 9일 오전 회의 열고 구조 여부 결정 경찰·검찰·노동청 등 전담팀 꾸리고 조사 원·하청 간 작업 지시·안전 관리 등 조사 예정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내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오전 발전소 내 붕괴한 기력 5호기 보일러 타워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이 사고로 현재까지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이 실종 상태다. [연합뉴스] 위험 징후 감지로 밤사이 수색·구조 작업이 중단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는 9일 날이 밝으면서 실종 매몰자 수색 재개 여부가 검토된다. 소방당국은 지난 8일 오후 5시 25분께부터 매몰자 구조·수색을 위한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 붕괴한 타워에 부착해 둔 기울기 센서가 반응하면서 경보음이 울렸기 때문이다. 소방당국은 무너진 타워 잔해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해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을 즉시 현장 주변에서 철수시켰다. 이에 따라 ...

전체 기사 읽기

파이낸셜뉴스 2025-11-09 15:02:15 oid: 014, aid: 0005431661
기사 본문

붕괴 우려 있는 4,6호기 폭파 해체 후 구조 수색 활동 본격화 대형 크레인 투입해 붕괴된 철제 구조물 제거 예상 경찰, 검찰 전담수사팀 구성.. 붕괴 원인과 책임 규명 구조 완료되면 곧바로 현장 감식 등 진행 지난 6일 붕괴된 울산화력발전 보일러 타워 5호기(왼쪽) 옆에 6호기가 위태로운 모습으로 서 있다. 이들 타워의 높이는 63m에 이르는 대형 철제 구조물이다. 소방당국은 추가 붕괴 우려가 있는 4,6호기를 폭파해 해체해 안전을 확보한 뒤 5호기 매몰자 구조와 수색을 이어갈 계획이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9일 새벽 구조 수색작업에 나서기 위해 구조대원들이 장비를 준비 중이다. 구조대원들 뒤로 지난 6일 무너진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보인다. 구조대원들은 이날 오전 11시 5분께 매몰 희생자 시신 1구를 수습해 병원으로 이송했다. 사고 발생 나흘째인 이날까지 사망이 확인된 매몰자는 3명이며,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 상태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파이낸셜뉴...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9 17:47:20 oid: 011, aid: 0004553693
기사 본문

인접 4·6호기 '취약화' 작업 착수 드론 수색만 지속 13시간 버틴 매몰자 시신 수습 9일 오전 소방 당국이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생존해 구조를 기다리다가 끝내 숨진 김모(44) 씨 시신을 수습했다. 사고가 발생한 지 사흘 만이다. 사진은 김씨 시신 수습 직후 구조대원들이 도열해 김씨에게 거수경례를 하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연합뉴스 [서울경제] 울산화력발전소 매몰 사고 구조의 골든 타임인 72시간이 지났지만 소방 당국이 붕괴 위험으로 직접 수색을 멈추는 등 실종자 수색이 장기화되고 있다. 9일 울산소방본부는 현장 브리핑을 통해 “업체에서 보일러 타워 6호기 취약화(철거 시 한 번에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일) 작업을 시작하는데 따라 직접 수색 작업은 일시 중단한다”면서 “무인기(드론)로 카메라 수색은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중앙사고수습본부가 붕괴 위험이 있는 4·6호기를 발파해 해체한 뒤 매몰자를 수색하기로 하면...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