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약, 알고 보니 파킨슨병에도 효과

2025년 11월 09일 수집된 기사: 4개 전체 기사: 20개
수집 시간: 2025-11-09 18:21:24
네이버에서 보기

관련 기사 목록 4개

경향신문 2025-11-08 09:00:03 oid: 032, aid: 0003407400
기사 본문

장내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 축적 막아 발병 억제 역할 당뇨병 치료제로 쓰이는 ‘DPP-4 억제제’가 파킨슨병의 진행을 막는 효과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용인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정승호 교수, 연세대 의과대학 의생명과학부 김연주 교수,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이필휴 교수 연구팀은 DPP-4 억제제가 장내 파킨슨병 유발 단백질 축적을 차단해 발병 억제 효과를 보인다는 연구를 6일 발표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거트(Gut)’에 게재됐다. 파킨슨병은 알츠하이머병에 이어 두 번째로 흔한 퇴행성 뇌질환이다. 뇌의 도파민 신경세포에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쌓여 몸이 떨리고 경직되며 행동이 비정상적으로 느려지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해당 단백질이 뇌에 축적되는 뚜렷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장에서 시작해 미주신경을 따라 뇌까지 이어지는 ‘장-뇌 축’을 따라 이동했을 수 있다는 가설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진은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DPP-4 억제제(시타글립틴)가 가진 신경...

전체 기사 읽기

중앙일보 2025-11-09 15:15:52 oid: 025, aid: 0003481330
기사 본문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기다리며 대기하고 있다. 기사와 직접적 연관 없음. 우상조 기자 고령화로 국내 파킨슨병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후각 기능 저하가 파킨슨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를 예측하는 핵심 지표라는 국가 연구기관 분석이 나왔다. 치매 다음으로 흔한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은 일반적인 노화 과정이나 다른 질환으로 오인하기 쉬워 조기 발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9일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파킨슨병에 대한 국민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주요 증상을 안내하고, 관련 코호트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파킨슨병은 중간뇌의 흑색질이란 부위에서 도파민을 만드는 신경세포가 점차 줄어들면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우리 몸의 운동 조절에 관여하는 도파민이 부족해지면서 움직임이 둔해지고 손발 떨림, 보행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수면장애, 자율신경계 이상, 인지기능 저하 등을 동반할 수도 있다. 파킨슨병 카드뉴스. 사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국내 파킨슨...

전체 기사 읽기

서울경제 2025-11-09 17:21:10 oid: 011, aid: 0004553644
기사 본문

[서울경제] 국내에서 퇴행성 뇌질환 중 하나인 파킨슨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14만명을 돌파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9일 지난해 국내 파킨슨병 환자는 14만 3441명으로 2020년에 비해 13.9% 늘었다고 밝혔다. 파킨슨병은 중뇌 부위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면서 발생하는 만성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손발의 떨림·근육의 경직·보행장애 등 운동증상과 더불어 후각 기능 저하·수면장애·자율신경계 이상·인지기능 저하 등의 비운동 증상도 함께 나타난다. 최근 연구에서는 후각 기능의 변화 양상이 파킨슨병 환자의 인지기능 저하 속도를 예측하는 핵심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이 확인됐다. 냄새를 구분하거나 감지하는 능력의 변화만으로도 인지기능 악화를 감지할 수 있어 인지장애 위험이 높은 환자를 조기에 선별,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파킨슨병은 고령사회에서 빠르게 늘어나는 대표적 신경퇴행성 질환”이라며 "조기 진단과 체계적 관...

전체 기사 읽기

머니투데이 2025-11-09 12:00:00 oid: 008, aid: 0005275457
기사 본문

사진= 질병청 지난해까지 최근 4년간 국내에서 파킨슨병 환자 수가 13.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냄새를 구분하거나 감지하는 능력이 저하됐다면 파킨슨병에 걸렸는지 진단해볼 필요가 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파킨슨병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파킨슨병 바로알기' 카드뉴스를 제작·배포하고, 파킨슨병 코호트(동일집단) 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은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과 운동치료 등 치료법, 그리고 '닥터 파킨슨앱'을 통한 자가진단 방법 등을 안내했으며 질병관리청 누리집(홈페이지)을 통해 공개했다. 파킨슨병이란 중뇌 부위에 있는 도파민 신경세포가 점차 소실되면서 발생하는 만성 신경퇴행성 질환이다. 손발의 떨림, 근육의 경직, 보행장애 등 다양한 운동증상과 더불어, 후각 기능 저하, 수면장애, 자율신경계 이상, 인지기능 저하 등의 비운동 증상도 함께 동반돼 환자들에게 어려움을 초래한다. 파킨슨병은 중뇌의 흑색질이라 불리는 부위의 신경퇴행으로...

전체 기사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