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포, 에어매트, 도시락 100개” 사기전화 기승… 울산 참사마저 악용
관련 기사 목록 4개
기사 본문
지난 7일 울산 남구 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매몰자 수색 및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김동환 기자 지난 6일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매몰된 실종자들을 찾기 위한 수색 작업이 9일 나흘째 진행 중인 가운데 이를 악용한 ‘노쇼’(예약 부도) 사기 시도가 잇따라 발생,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9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7일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이 울산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 전화해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 업체를 알려줄 테니 구매해 주면 나중에 결재해 주겠다”고 요청하며 입금을 요청했다. 또 음식점에 전화해 도시락 100개를 주문하면서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경찰은 입금 계좌와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용의자들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지구대와 파출소 소속 경찰관들이 소상공인 업체나 상인연합회 등을 방문해 주의를 당부하는 홍보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기사 본문
동서발전 사칭, 위조 사원증 보내 “대신 구매해달라” 안전용품점, 붕괴 사고 거래로 착각해 860만 원 피해 경찰 “대리 결제 명목 계좌이체는 사기…주의해야” 울산경찰청 전경. 부산일보DB 9명의 사상·실종자가 발생한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의 혼란을 틈타 이를 악용한 ‘노쇼(예약부도) 사기’가 잇따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9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7일 울산의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 “사고로 인해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는 전화가 걸려 왔다. 사기범은 위조된 한국동서발전 사원증을 메시지로 발송하며 “업체를 알려줄 테니, (소화포를) 구매해주면 나중에 결제해 주겠다”고 속여 대리 입금을 유도했다. 안전용품 판매점 측은 전날 발생한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된 거래인 줄 알고 총 860만 원 정도를 사기범에게 건넸다. 같은 날 한 음식점에도 “도시락 100개를 주문한다”는 전화에 이어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동일한 수법의 사기 시도...
기사 본문
경찰, 주의 당부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정윤희 기자] 9명의 사상 및 실종자가 발생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참사를 악용한 ‘노쇼’(예약부도) 사기 시도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경찰이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고 나섰다. 9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7일 공공기관 직원을 사칭한 사기범이 울산의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 전화해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 업체를 알려줄 테니 구매해주면 나중에 결재해주겠다”고 요청하며 입금을 요청했다. 또, 음식점에 전화해 도시락 100개를 주문하면서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 달라”고 요구한 사례도 있었다. 경찰은 입금 계좌와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용의...
기사 본문
휴대전화로 주문 시 해당 기관의 공식 전화번호로 재확인해야 울산지방경찰청 [서울경제] 울산경찰청은 최근 울산화력발전소 구조물 붕괴사고 관련 공공기관을 사칭한 노쇼사기 사건이 발생해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9일 밝혔다. ‘노쇼 사기’는 공공기관이나 군부대, 정당 등을 사칭해 대량 주문을 예약한 뒤 다른 업체나 개인에게 대금을 대신 입금토록 유도해 돈을 가로채는 신종사기다. 지난 7일 공공기관을 사칭한 피의자가 울산의 한 안전용품 판매점에 전화해 위조된 사원증을 보낸 뒤 “소화포가 급히 필요하다. 업체를 알려줄테니 구매를 해주면 나중에 결재해주겠다”며 계좌를 보내 입금을 요청했다. 또 음식점에 전화해 도시락 100개를 주문한 뒤 “에어매트를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하는 등 피해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입금 계좌와 휴대전화 사용 내역 등을 바탕으로 범인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피해 예방을 위해 지구대와 파출소 등 현장 경찰관이 소상공인 업체를 직접 방문하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