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 붕괴 사고 수사 방향은?…'위험의 외주화' 또 도마 위
관련 기사 목록 8개
기사 본문
보일러타워 취약화 작업 과정 중점 원하청 과실 규명 대상 위태로운 보일러 타워 / 사진=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의 원인을 규명할 수사전담팀이 꾸려지면서 수사 방향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울산경찰청은 형사기동대를 중심으로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등 경찰관 7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편성했습니다. 울산지검도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사고 직후 전담팀을 꾸렸고, 부산고용노동청 역시 감독관 20명 정도로 전담팀을 구성했습니다. 이들 수사팀은 아직 매몰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본격적인 수사에는 착수하지 못한 상태입니다. 수사는 보일러타워 붕괴 원인과 과정을 규명하는 것을 시작으로, 원·하청 간 작업 지시 체계, 작업 공법, 안전 관리 체계 등을 들여다보게 될 전망입니다. 특히, 사고가 난 보일러 타워는 준공 후 40년가량 사용되는 동안 정비공사나 긴급공사 등이 반복되면서 최초 준공 도면과 현장 상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체공사 업...
기사 본문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소방대원들이 매몰자 시신을 수습하고 있다. 뉴스1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해 경찰이 관할 지자체로부터 '철거허가서(본관)' 등 행정 자료를 확보하며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이 자료를 토대로 사고 구조물의 행정적 분류와 관리 과정의 적정성을 조사하고 있다. 보일러 타워가 건축물이 아닌 '공작물'로 분류돼 해체 허가·감리 의무에서 제외됐던 점이 확인되면서, 관리 사각이 참사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울산경찰청은 9일 형사기동대·과학수사계·디지털포렌식계 등 7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꾸려 본격적인 원인 규명에 나섰다. 경찰은 발주처인 한국동서발전과 시공사 HJ중공업, 재하청업체 코리아카코 간의 계약·지시 체계 전반을 살펴보며, 해체계획서 작성과 안전조치 이행 여부, 철거 허가 서류 등을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있다. 울산 남구청 관계자는 "사고 보일러 타워는 건축물관리법 대상이 아니어...
기사 본문
불규칙한 철 구조물 뒤틀림 찌그러짐 위치 형태에 따라 달라 폭파에 의한 해체공법과 공사 수주 및 도급과정 적절성 주시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로 인한 매몰사고와 관련해 검찰과 경찰이 전담 수사반을 꾸려 투입키로 해 향후 수사 진행 방향에 관심이 모아진다. 특히, 폭파에 의한 해제공법이 적절했는지, 공사 수주 및 도급 과정에 문제는 없는지 등에 수사가 집중될 전망인데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주목된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연합뉴스 9일 울산경찰청 등에 따르면 경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형사기동대장을 팀장으로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등 경찰관 70여 명으로 수사 전담반을 만들었다. 검찰도 수사전담반 구성에 들어갔고, 고용노동부도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따라서 조만간 3개 기관과 소방본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수사본부와 조사단이 꾸려질 전망이다. 다만 여전히 ...
기사 본문
매몰 2명 사망 추정, 2명은 위치 불명 골든타임 72시간, 야간 수색 난항 구조대원 손으로 잔해 헤쳐가며 수색 7일 오전 울산 남구 남화동 한국동서발전 내 60m 높이의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내린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이날 오전 매몰돼 있다가 숨진 상태로 발견된 작업자를 이송하고 있다. 전날 오후 벌어진 사고로 당시 작업 중이던 9명 중 3명이 숨졌고, 2명은 사망 추정 상태로 매몰된 채 발견돼 구조가 이어졌다. 2명은 현재 매몰된 위치를 찾고 있는 중이다. 중상을 입은 2명은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사망자가 7일 3명으로 늘었다. 사망 추정 상태로 매몰된 2명에 대한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으며 2명은 여전히 매몰 위치조차 파악되지 않았다. 2차 붕괴 위험으로 구조 작업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사고 발생 매몰자 가족들은 기적적인 생환을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소방 당국은 사고 이튿날인 이날 오전 9시 ...
기사 본문
매몰 7명 중 최소 3명 사망…검경 전담 수사반 투입키로 일반 콘크리트 해체 공법을 철구조물에 쓴 이유 등 조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붕괴로 인한 매몰사고와 관련, 검찰과 경찰이 전담 수사반을 투입키로 했다. 특히, 폭파에 의한 해체공법이 적절했는지, 공사 수주 및 도급 과정에 문제는 없는지 등에 수사가 집중될 전망이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 나흘째인 9일, 고소작업차가 투입돼 타워 발파 사전 작업을 위해 발전소 내부를 살피고 있다. 연합뉴스 9일 울산경찰청 등에 따르면 경찰은 이번 사고와 관련해 형사기동대장을 팀장으로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등 경찰관 70여 명으로 수사 전담반을 만들었다. 검찰도 수사전담반 구성에 들어갔고, 고용노동부도 압수수색 등 강제 수사에 나서기로 했다. 따라서 조만간 3개 기관과 소방본부 등으로 구성된 합동수사본부와 조사단이 꾸려질 전망이다. 다만 여전히 수색·구조작업이 진행 중이고, 사고 현장에서 새로운 붕괴위험이 있는 만큼 이런 ...
기사 본문
높이 63m 상부부터 절단해야 하는데…준수 여부 규명 필요 사전 안전조치 적절 여부, 원하청 과실·책임 범위도 대상 검·경·노동부 모두 수사전담팀 구성…수색·구조 후 본격화 위태로운 보일러 타워 [연합뉴스 자료사진] (울산=연합뉴스) 김근주 기자 =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한 수사전담팀이 속속 꾸려지면서 수사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울산경찰청은 형사기동대,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경찰관 7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편성했다. 울산지검도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사고 직후 전담팀을 꾸렸고, 부산고용노동청 역시 감독관 20명 정도로 전담팀을 구성했다. 이들 수사팀은 사고 나흘째인 9일 현재까지 매몰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어서 아직은 본격적인 수사에는 착수하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수사에 단초가 될 서류를 확보하는 등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 부산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지금은 구조가 우...
기사 본문
70여 명 이뤄진 전담팀 편성 부산노동청 감독관 20명 구성 중대재해·안전보건법 위반 조사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 중점 4·6호기 해체 후 수사 본격화 9일 울산 사고 현장에서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이 추가 생존자를 구하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김태권 기자 울산 동서발전 화력발전소 붕괴 사고와 관련해 수사 전담팀이 속속 꾸려지면서 수사 방향에 관심이 쏠린다. 울산경찰청은 형사기동대,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경찰관 7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편성했다. 울산지검도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사고 직후 전담팀을 꾸렸고, 부산고용노동청 역시 감독관 20명 정도로 전담팀을 구성했다. 노동부는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위반 여부, 검찰과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를 중점적으로 들여다볼 전망이다. 이번 사고가 벌어진 보일러 타워 해체 현장은 동서발전이 HJ중공업에 발주했다. 그 후 HJ중공업은 이를 발파 전문 업체인 코리아카코에 하청을 줬다. ...
기사 본문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 남구 용잠동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에서 60m 높이 보일러 타워가 무너져 2명이 구조되고 7명이 매몰된 것으로 추정된다. 사진은 사고 현장. (사진=연합뉴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와 관련한 수사전담팀이 속속 꾸려지면서 수사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울산경찰청은 형사기동대, 과학수사계, 디지털포렌식계 경찰관 70여 명으로 구성된 전담팀을 편성했습니다. 울산지검도 사망자가 다수 발생한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사고 직후 전담팀을 꾸렸고, 부산고용노동청 역시 감독관 20명 정도로 전담팀을 구성했습니다. 이들 수사팀은 사고 나흘째인 9일 현재까지 매몰자 구조와 실종자 수색 작업이 이어지고 있어서 아직은 본격적인 수사에는 착수하지 못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수사에 단초가 될 서류를 확보하는 등 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단계를 밟아가고 있습니다. 부산고용노동청 관계자는 "지금은 구조가 우선이기 때문에 구조 활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