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무료 사은품' 위장 상조 결합상품 단속…15곳 적발
관련 기사 목록 7개
기사 본문
등록취소 1건 등 26건 행정조치 서울시청 전경. 2022.9.1/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구진욱 기자 = 서울시가 '사은품 제공', '무료 혜택'으로 포장된 선불식 결합상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막기 위해 선불식 할부거래업체를 집중 점검한 결과 15곳을 적발했다. 서울시는 9일 "올해 선불식 할부거래업체 40곳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등록취소 1건·시정권고 15건·과태료 8건 등 총 26건의 행정조치를 내렸다"고 밝혔다. 적발된 주요 위반 사례로는 소비자 계약해제 신청 시 지점 방문을 강요(7개 사), 고객 납입금 통지의무 위반(4개 사), 해약환급금 미지급 및 소비자 기만행위 등이 있었다. 시는 전화 해약 시스템 도입과 추가 제재를 예고하며 재발 방지를 강화할 방침이다. '선불식 결합상품'은 상조·여행의 장기 할부계약(12~20년)과 가전제품 렌탈계약(3~5년)을 묶어 판매하는 형태로, 만기 완납 후 서비스 이용을 하지 않으면 납입금을 환급...
기사 본문
선불식 할부거래업체 40개사 현장점검 등록취소·시정권고·과태료 등 26건 행정조치 "상조 결합상품은 무료 사은품 아냐...계약 꼼꼼히 확인해야"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사은품’이나 ‘무료 혜택’으로 오인하기 쉬운 '선불식 결합상품' 피해가 이어지며 서울시가 현장점검에 나섰다. 가전제품 증정을 미끼로 계약한 고객에 '별도 계약 상품'이라는 이유로 더 높은 금액을 청구하거나 위약금을 물리는 등의 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서울시는 올해 선불식 할부거래업 40개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한 결과, 15개 위반업체를 적발하고 등록취소 1건, 시정권고 15건 과태료 8건 등 총 26건의 행정조치를 내렸다고 9일 밝혔다. 특히 소비자 계약해제 신청 시 지점 방문을 강요한 업체(7개사)에 대해 전화 해약 시스템 도입을 권고했다. 지난해 3월부터 시행된 ‘고객 납입금 통지의무’를 위반한 업체(4개사)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서울시는 위반업체의 시정 이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
기사 본문
업체 40곳 점검해 15곳 적발·26건 행정조치 7일, 관련 업체 대상으로 준법교육 실시 소비자 절반만 계약 이해해 설명 부족 지적 [이데일리 이영민 기자] 서울시가 무료 혜택으로 오인하기 쉬운 선불식 결합상품의 피해를 막기 위해 관련 업체 40곳을 점검한 결과, 15개 위반 업체를 적발하고 행정조치 26건을 내렸다고 밝혔다. 지난 7일 선불식 결합상품 판매를 막기 위한 준법교육이 이뤄지고 있다.(사진=서울시청) 서울시는 9일 선불식 할부거래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점검과 준법교육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선불식 결합상품은 상조·여행의 선불식 할부계약(12∼20년)과 가전제품 등의 렌탈계약(3∼5년)을 묶은 것으로, 만기까지 비용을 완납하면 납입금의 전액을 돌려주는 약정상품이다. 이 상품은 선불식 할부 업체가 폐업하거나 고객이 중간에 해약할 경우 만기 납입금의 전액 환급이 어려울 뿐 아니라 가전제품의 할인 혜택이 사라지거나 남은 가전 렌탈비를 내야 할 수 있다. 서울시는 이와 같은 피해를...
기사 본문
결합상품 소비자 이해도 52.8%…"설명 불충분" 불만 [서울=뉴시스] 준법교육 사진. 2025.11.09. (사진=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박대로 기자 = #. 가전제품 증정이란 말에 상조 서비스를 가입한 A씨는 중도 해약을 시도하다 낭패를 봤다. 알고 보니 가전제품은 사은품이 아닌 별도 계약 상품이었다. 결국 A씨는 시중가보다 비싼 금액을 계속 내거나 위약금을 물어야 하는 처지가 됐다. 서울시는 올해 선불식 할부 거래업 40개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한 결과 15개 위반 업체를 적발하고 등록 취소 1건, 시정 권고 15건 과태료 8건 등 행정 조치 26건을 내렸다고 9일 밝혔다. 선불식 결합 상품이란 상조·여행의 선불식 할부 계약(12~20년)과 가전제품 등의 렌탈 계약(3~5년)이 결합된 형태다. 두 계약의 만기까지 완납하고 상조·여행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해약할 경우 납입금(상조+가전) 전액을 환급해 주기로 약정하는 상품이다. 시는 소비...
기사 본문
등록취소·시정권고·과태료 등 26건 조치 ‘선불식 할부거래’ 준법 교육 - 서울시는 지난 7일 선불식 할부거래 업체를 대상으로 준법 교육을 실시했다고 9일 밝혔다. 서울시 제공 가전제품을 증정해준다는 말에 상조 서비스에 가입한 A씨는 중도 해약을 시도하다 낭패를 봤다. 알고 보니 가전제품은 사은품이 아닌 별도 계약 상품이었고, 결국 시중가보다 비싼 금액을 계속 내거나 위약금을 물어야 했다. 서울시는 선불식 결합상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선불식 할부거래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과 준법 교육을 했다고 9일 밝혔다. 시는 올해 선불식 할부거래업 40개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했다. 그 결과, 15개 위반업체를 적발하고 등록취소 1건, 시정 권고 15건, 과태료 8건 등 총 26건의 행정조치를 내렸다. 계약 해제 신청 시 소비자가 지점에 방문할 것을 강요한 업체 7개사에 대해 전화 해약 시스템을 도입하라고 권고했고, 작년 3월부터 시행된 ‘고객 납입금 통지 의무’...
기사 본문
40개사 점검해 15곳 적발 “별도 계약” 안내 의무화 서울시 청사의 모습. <서울시> 상조 서비스 등에 가입하면 가전제품을 공짜로 주는 것처럼 판매하는 ‘결합상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속출하자 서울시가 현장 단속에 나섰다. 서울시는 올해 선불식 할부거래업체 40곳을 점검해 위반업체 15곳을 적발하고 등록취소·과태료 등 26건의 행정조치를 내렸다고 9일 밝혔다. 일부 업체는 소비자에게 해약 시 지점 방문을 강요하거나 납입금 통지의무를 지키지 않아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서울시에 따르면 상조·여행 계약(12~20년)과 가전 렌털 계약(3~5년)을 묶은 ‘선불식 결합상품’은 해약 시 전액 환급을 약속하지만, 업체 폐업이나 중도 해지 시 위약금·렌털료는 소비자가 부담해야 한다. 서울시 조사에 따르면 결합상품 계약 내용을 ‘이해했다’는 응답은 52.8%에 불과했으며, 판매자 설명이 불충분하다는 의견이 28.3%로 가장 많았다. 시는 지난 7일 공정거래위원회·소비자단체와 함께 관내 37개 ...
기사 본문
등록취소·시정권고·과태료 등 26건 조치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가전제품을 증정해준다는 말에 상조 서비스에 가입한 A씨는 중도 해약을 시도하다 낭패를 봤다. 알고 보니 가전제품은 사은품이 아닌 별도 계약 상품이었고, 결국 시중가보다 비싼 금액을 계속 내거나 위약금을 물어야 했다. 서울시는 선불식 결합상품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선불식 할부거래 사업자를 대상으로 현장 점검과 준법 교육을 했다고 9일 밝혔다. 시는 올해 선불식 할부거래업 40개 업체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했다. 그 결과 15개 위반업체를 적발하고 등록취소 1건, 시정 권고 15건, 과태료 8건 등 총 26건의 행정조치를 내렸다. 계약해제 신청 시 소비자가 지점에 방문할 것을 강요한 업체(7개사)에 대해 전화 해약 시스템을 도입하라고 권고했고, 작년 3월부터 시행된 '고객 납입금 통지의무'를 위반한 업체(4개사)에 대해서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지난 7일에는 선불식 할부거래 사업자를 대상으로 자주 ...